炭
[clearfix]
1. 개요
'''숯 탄(炭).''' 숯, 목탄, 석탄, 연탄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에선 U+70AD, 한자검정시험에선 5급에 배정되어있다.
설문해자에서는 뜻을 나타내는 火(불 화)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岸(언덕 안) 자의 생략형이 합쳐진 형성자라고 설명한다. 혹은 山(뫼 산), 厂(기슭 엄), 火(불 화) 자가 합쳐진 회의자로 볼 수도 있다. 일부 자형에서는 厂자를 ナ와 같은 형태로 써 山+灰(재 회)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자원(字源)상으로는 灰 자와 관련이 없다.
현대에는 '''탄소'''라는 용례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중화권에서는 '탄소'라는 뜻을 따로 나타내기 위해서 왼쪽에 石(돌 석) 변을 더한 碳[1] 자를 새로 만들었다. 굳이 새로 글자를 만든 이유는, 중화권에서 원소를 나타내는 모든 글자는 상온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글자를 부수로 가진다는 규칙이 있기 때문이다. 즉 탄소는 상온에서 고체 비금속 물질이므로 石 자가 붙은 것이다.
3. 용례
3.1. 단어
- 탄#s-2 (炭)
- 연탄 (煉炭)
- 목탄 (木炭)
- 석탄 (石炭)
- 석탄산 (石炭酸)
- 갈탄 (褐炭)
- 무연탄 (無煙炭)
- 유연탄 (有煙炭)
- 역청탄 (瀝靑炭)
- 구공탄 (九孔炭)
- 구혈탄 (九穴炭)
- 비장탄 (備長炭)
- 아탄 (亞炭)
- 이탄 (泥炭)
- 토탄 (土炭)
- 백탄 (白炭)
- 탄광 (炭鑛)
- 탄화 (炭火)
- 탄화 (炭化)
- 탄소 (炭素)
- 탄수 (炭水)
- 탄수차(炭水車)
- 탄수화물 (炭水化物)
- 저탄수화물 고지방 식이요법 (低炭水化物高脂肪食餌療法)
- 탄산 (炭酸)
- 탄단지 (炭蛋脂)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지명/창작물
'''인명'''
'''지명'''
-
'''창작물'''
4. 관련 문서
[1] U+78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