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石'''돌 석
'''부수
나머지 획수'''

石, 0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セキ, (シャク, コク)
'''일본어 훈독'''
いし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dàn, shí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세부 정보
2.1. 부수
3. 사용례
3.1. 고사성어
3.2. 인명
3.3. 지명

[clearfix]

1. 개요


이라는 뜻의 한자. 한자를 배우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 중 하나이다.

2. 세부 정보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돌
'''음''' : 석
'''일본어'''
'''음독''' : セキ ·シャク ·コク[1]
'''훈독''' : いし
'''중국어'''
'''표준어''' : shí
광동어 : sek6
객가어 : sa̍k
민동어 : siŏh[2]/sĭk[3]
민남어[4] : chio̍h, sia̍h[5] / se̍k[6]
오어 : zaq (T5)
'''베트남어'''
thạch, đán
유니코드에는 U+77F3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ㄕˊ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一口(MR)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기초적인 한자치고는 조금 높은 수준인 6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상형자로써, 절벽에서 돌이 떨어지는 모습을 본 딴 것이다. 대략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2.1. 부수



石의 부수형태는 변[7]이나 발[8] 등이 있다. 돌석부는 강희자전에서 112번째 부수로 분류되며, 이것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500개가 있다.
돌이라는 의미를 담고있는 한자답게, 돌과 관련된 한자에 부수로 자주 등장한다. 예를 들어 돌쇠뇌 포(砲), 바위 암(岩), 규소 규(硅), 비석 비(碑), 초석 초(硝), 유황 류(硫), 자석 자(磁) 등 헤아릴 수 없이 많다.

3. 사용례


돌 석은 일반적인 단어에서도 많이 쓰이지만 인명, 지명 등에도 굉장히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한국중국에는 (石)씨가 있으며, 일본의 성씨 이시카와(石川)는 일본에서 27번째로 흔한 성씨이다. 또한 지명에 있어서 石자는 한중일 가릴 것 없이 절찬리에 쓰이는 단골한자이다.

3.1. 고사성어



3.2. 인명




3.3. 지명


  • 서석면 (瑞石面)
  • 석수동[11] (石水洞)
  • 석교리 (石橋里)
  • 석현리 (石峴里)
  • 스러우현 (石柱县)
  • 스자좡시 (石家莊市)
  • 스주 투자족 자치현 (石柱土家族自治县)
  • 스첸현 (石阡县)
  • 스취현 (石渠县)
  • 스취안현 (石泉县)
  • 스타이현 (石台县)
  • 신석동 (申石洞)
  • 이시가키시 (石垣市)
  • 이시카와현 (石川県)
  • 지스산 바오안족 둥샹족 사라족 자치현 (积石山保安族东乡族撒拉族自治县)

[1] 石이 아니라 斛의 한자음에서 비롯된 것이다[2] 백독[3] 문독[4] 주류 대만어 기준[5] 백독[6] 문독[7] 왼쪽에 놓인 부수[8] 밑부분에 놓인 부수[9] 이시나기(石凪)라는 성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10] 석씨는 昔을 쓰는 사람들도 있으나, 石씨보다 월등히 적다.[11] 석수 1,2,3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