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絶'''끊을 절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ゼツ
'''일본어 훈독'''
た-える, た-やす, た-つ
'''간체자'''

'''표준 중국어 독음'''
jué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clearfix]

1. 개요


'''끊을 절(絶).''' 끊다, 죽다, 끝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끊다
'''음''': 절
'''일본어'''
'''음독''': ゼツ
'''훈독''': た-える, た-やす, た-つ
'''중국어'''
'''표준어''': jué
광동어: zyut6, zyut3
객가어: chhie̍t
민동어: ciŏk
민남어: che̍h[1] / choa̍t[2]
오어: xxiq (T5)
'''베트남어'''
tuyệt
유니코드에선 U+7D76, 한자검정시험에선 준4급에 배정되어있다.
현재의 자형은 (가는실 멱)과 (빛 색)이 합쳐진 글자지만, 色 자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본자는 色 부분의 머리를 刀처럼 써야 맞는다. 사실 이 글자는 자형이 지속적으로 심하게 변한 글자 중 하나이다. 갑골문 상에서 이 글자는 두 개의 실타래가 이어져 있고, 실타래에 선 여러 개를 그은 형태로 나타난다. 즉 칼로 실타래를 토막내는 모습을 본떠서 '끊다'라는 뜻을 나타내었다. 금문에서는 실의 모양을 본뜬 (작을 요) 자 4개가 (칼 도) 자 사이사이에 끼어 있는 모습(𢇍)으로 나타난다. 그러다 소전에서는 糸 자와 刀 자에 음을 나타내는 (병부 절)을 합한 형성자가 되었다. 이 형태가 예서해서를 거쳐 그대로 이어진 絕이라는 형태가 있는가 하면, 현재 우리에게 익숙한 絶의 형태는 위쪽의 刀 자가 바뀌면서 생겨난 자형이다.
한자로 '끊을 절'자만 무려 '''3개'''다.(...) 각각 ''자와 ''자로 의미와 사용하는 곳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헷갈리면 안 된다. 특히나 切과 絶은 혼동하기가 '''매우''' 쉽다. 보통은 실제로 자를 수 있는 것은 切, 관계나 생각 따위를 끊는 것은 絶로 쓴다. 물론 고사성어 중에 위편삼절(韋編三絶)이나 절장보단(絶長補短)은 실제로 자르는 것이니 완벽한 것은 아니다.
'끊다'라는 뜻 외에도 절경(絶景)이나 절정(絶頂) 같이 긍정적인 단어도 꽤 있다.

3. 용례



3.1. 단어


  • 거절 (拒絶)
  • 근절 (根絶)
  • 기절 (奇絶/棄絶/氣絶)
  • 두절 (斗絶/杜絶)
  • 사절 (死絶/謝絶/辭絶)
  • 절경 (絶境/絶景)
  • 절교 (絶交/絶巧)
  • 절규 (絶叫)
  • 절대 (絶代/絶大/絶對)[여담]
  • 절망 (絶望)[3]
  • 절명 (絶命)
  • 절묘 (絶妙)
  • 절벽 (絶壁)
  • 절세 (絶世)
  • 절식 (絶息/絶食)
  • 절판 (絶版)
  • 절호 (絶好/絶戶)
  • 절후 (絶後)
  • 처절 (悽絶)
  • 혼절 (昏絶)

3.2. 고사성어/숙어


  • 공전절후 (空前絶後)
  • 만고절색 (萬古絶色)
  • 백아절현 (伯牙絶絃)
  • 위편삼절 (韋編三絶)
  • 절륜#s=1 (絶倫)
  • 절세미인 (絶世美人)
  • 절장보단 (絶長補短)
  • 포복절도 (抱腹絶倒)

3.3. 인명/지명/창작물


인명

지명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 (이을 계)
  • (이을 락)
  • (이을 련, 잇닿을 련)
  • (이을 소)
  • (이을 속)
  • (이을 접)

[1] 백독[2] 문독[여담] 한국에서는 '절대' 뒤에는 거의 부정문이 오는 편이지만 일본에서는 '반드시'의 뜻으로도 쓰여서 긍정문에도 쓰인다. 그리고 이 '절대'를 잘못 번역하면...[3] 切望과는 완전히 다른 뜻이다! 切望은 '간절히 바람'이고 絶望은 '기대를 저버리고 체념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