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卩'''병부 절
|
| | '''획수'''
| 2획
|
| 미등재
| | 미등재
|
|
| -
|
'''일본어 음독'''
| セツ
|
'''일본어 훈독'''
| -
|
|
| -
|
'''표준어 병음'''
| jié
|
|
강희자전 부수
|
25{{{#!wiki style="margin: -3px; font-size: 16px" 卜 | 26{{{#!wiki style="margin: -3px; font-size: 16px"← 卩 →
| 27{{{#!wiki style="margin: -3px; font-size: 16px" 厂 |
-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
| '''부수+획'''
|
| '''육서'''
|
|
|
|
| '''주음부호'''
|
| '''창힐수입법'''
|
| '''사각호마'''
|
|
|
| '''광둥어 병음'''
|
| '''민남어 병음'''
|
|
| '''일본어 오음'''
|
| '''일본어 한음'''
|
| '''일본어 당음'''
|
| '''학년'''
|
| '''상용한자표'''
|
|
|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1px" - [ 더보기2 ]
| U+5368{{{#!wiki style="margin: -4px; font-size: 18px" 卨 | U+5369{{{#!wiki style="margin: -4px; font-size: 18px"← 卩 →
| U+536A{{{#!wiki style="margin: -4px; font-size: 18px" 卪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1px" - [ 부수 ]
|
[clearfix]
1. 개요
병부 절(卩).
병부란 나무쪽으로된 병사를 동원하는 부적으로 이 나무쪽으로 된 부적에다 글자를 쓴 후 반을 쪼개어 한쪽은 왕이 한쪽은 각 지방의 지방관이 가지고 있다가 전쟁과 같이 군대를 동원해야 할때 왕이 편지와 함께 병부를 보내면 지방관이 병부를 맞추어보고 군대를 동원하였다 이렇게 병부를 맞추어보는데서 부합이라는 용어가 유래됐다.
글자에 자원은
설문해자에서는 병부의 나무쪼가리의 상형자라 나와있으나 기타 고문자 연구에 따르면 위에 뜻과 전혀 상관 없이 꿇어 앉은 사람의 본떠 만든 글자라는 견해도 있다.
유니코드는 5369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분류되지 않는다.
2. 자형
3. 부수
명칭 : 병부절부
강희자전 안에 26번째에 수록된 부수이다
부수의 의부로 붙을때에 꿇어있는 사람에 관한 뜻을 나타내며 卩, ⺋ 두 가지의 형태로 붙는다.
추가 획
| 한자
|
기본자
| 卩 ⺋
|
2획
| 卯
|
4획
| 卵 印 危
|
5획
| 即
|
6획
| 卷
|
7획
| 卽
|
10획
| 卿
|
3.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 병부절부
- 중국 : 單耳旁, 硬耳朶
- 일본 : ふしづくり, まげわりふ
- 미국 : Radical Se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