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동

 



開新洞 / Gaesin-dong
1. 개요
2. 동 경계와 소분류
2.1. 동 경계
2.2. 서쪽과 동쪽
2.3. 지번
2.3.1. 동부
2.3.2. 중부
2.3.3. 서부
3. 역사
4. 도로
5. 주요 시설
5.1. 공공 기관
5.2. 교육
5.3. 의료
5.4. 공동주택
6. 교통


1. 개요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에 있는 . 한자로는 開新인데, 일반적으로 '개신교', '개신' 등은 改新으로 한자가 다르다.
충북대병원 장례식장 근처 구룡산 자락에 '개신 배수지 공원'이라는 공원이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는 배수지였는데 2008년 공원으로 용도전환되었다. #. 1984년 개신 배수지에 관한 기사
충북대학교는 부지가 대부분 개신동에 있어서인지 학교 표어 역시 '개신(開新)'이다. 캠퍼스 내에 개신문화관이라는 건물도 있다.
행정동으로는 성화개신죽림동으로 성화동, 죽림동과 묶인다. 주민센터는 성화동에 있다.
면적은 대략 2.2㎢ 가량이며 그 중 충북대학교의 면적이 0.7㎢ 가량으로 약 30% 정도이다.
인구는 23,706명(2018.12.).

2. 동 경계와 소분류



2.1. 동 경계


[image]
꽤나 많은 법정동과 접하고 있다. 가경동, 복대동 (흥덕구) / 성화동, 수곡동, 모충동, 사창동, 사직동, 산남동 (서원구)로 총 8개 동과 접한다. 같은 행정동으로 묶이는 죽림동과는 거의 점으로만 접한다.
북쪽 경계는 주로 충북대학교 부지(주로 성봉로), 서쪽은 가경천, 남쪽은 서부로(+구룡산과 매봉산), 동쪽은 예체로 즈음이다.
[image]
동쪽에서 사창동, 사직동, 모충동과 접하는 부분은 연속적인 마을을 임의로 쪼갠 면이 좀 있어서 심지어 길로 나뉘어 있지도 않은 옆집인데도 동이 갈리는 곳이 있기도 하다. 도로명주소 이후 동을 적을 필요는 없어졌으므로 좀 나아졌지만 대략적으로 창신초등학교 남쪽길(1순환로727번길)과, 삼익 1차 아파트~롯데캐슬 4단지 사잇길(예체로29번길) 정도가 개신동-사창동, 개신동-사직동 사이의 경계라고 생각하면 된다.
모충동으로 넘어가는 모충로 일대는 '배티/배고개'라고 했는데 인터넷에도 그 유래가 꽤 잘 기록되어있다.디지털청주문화대전 - 배티 훈으로 梨峴이라고 적었던 사례가 있으니, 훈차일 수도 있긴 해도 정말 과일 배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꽤 있다. 개신동 쪽은 박씨가 많이 살았다고 '박배티', 모충동 쪽은 연씨가 많이 살았다고 '연배티'라고 했다나. 2012년부터는 이 옛지명을 딴 '배티공원'이 생겨나 오늘날에도 쓰이는 지명으로 확실히 부활하게 됐다. 이 고개는 지금도 모충로예체로가 교차하는 곳에서 고갯길을 형성하는데 교차로 이름은 '모충고개삼거리'로 지어졌다.

2.2. 서쪽과 동쪽


개신동은 충북대를 중심으로 서측에 위치한 개신동, 동측에 위치한 개신동, 그리고 충북대와 방죽말이 위치하는 개신동으로 나눌 수 있다.
일단 개신동 동부지역은 충대병원 쪽 개신오거리에서 우측에 존재하는 곳이다. 이 지역은 1순환로 안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서측에 비해 비교적 오래된 주거지역이다. 모충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에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충북지역대학과 아파트 단지들이 있고, 과거 기무사였던 곳이 현재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한편 가경천을 경계로 가경동과 접하는 개신동 서부지역은 대규모의 학원가와 노래방, PC방 등이 위치해 학생들이 놀기 좋은 지역이다. 이 지역은 2000년대 초반에 본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교육환경이 우수해 젊은 층이 많이 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서부지역은 성화동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있는데 성화동과의 경계인 개신성화사거리를 기준으로 스타벅스나 맥도날드 같은 다양한 프랜차이즈 업체가 위치하고 있다.
서쪽 개신동은 주로 가경동, 복대동과 밀접하며 동쪽 개신동은 사창동, 사직동, 모충동 등지와 밀접하다.[1] 이를테면 개신초등학교는 서쪽 개신동에 있는데 동쪽 개신동 사람들은 거의 아무도 개신초등학교에 배정되지 않고 주로 사창동(개신동 경계에 걸쳐있다)에 있는 창신초등학교로 배정된다. '개신푸르지오', '개신우체국' 등등은 다 서쪽 개신동에 있어서 '개신'이라는 이름은 대체로 서쪽 개신동에 배당되는 듯한 기분. 동쪽 개신동의 '개신동 삼익', '개신동 서우', '개신동 해장국'(?)은 우연의 일치인지 '개신'이 아니라 '개신동'을 쓴다는 게 특징이다.
동쪽 개신동은 충북대학교 대운동장과 특히 가까워서 대학 축제 같은 거라도 하면 대운동장에서의 확성기 소리가 동쪽 개신동 전역에 동네방네 울린다.
또한 서부 개신동과 동부 개신동의 중심에는 거점국립대학교충북대학교가 있다. 물론 법정동상 충북대 전체가 개신동은 아니지만 거의 대부분이 개신동 영역이며 행정동 상으로는 성화개신죽림동이다. 주변의 대규모 주택단지와는 달리 충북대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신동의 중앙 지역에는 특이하게 방죽말이라고 하는 농촌마을이 있는데 주변지역이 개발되는 와중에 이곳은 계속 농촌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사실 개발이 진행될 예정이었으며 방죽말지구 혹은 개신2지구 같은 이름으로 불리던 지역이다. 하지만 여러가지 사정으로 난항을 겪어서 계속 농촌마을 풍경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이곳에는 화훼단지와 산림조합이 위치하고 있다. 땅의 면적이나 위치를 보면 충분히 개발될 법도 하나 돌아가는 것 보면 적어도 수년은 더 지나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3월 6일 개신2지구 도시개발계획 승인이 나면서 장기간 미개발지로 남아있던 이 일대가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서부 개신동과 동부 개신동은 중학교 학군도 서로 다르다. 서부 개신동은 가경동, 복대동, 성화동과 함께 제3학교군이고 동부 개신동은 모충동, 수곡동, 산남동, 분평동과 같은 제4학교군이다.
동서가 분리돼있고 특징이 크게 다르다 보니 서부 개신동과 동부 개신동을 나누어서 많이 칭할 법하지만, 나눠서 칭하는 경우는 별로 없는 것으로 보인다.

2.3. 지번


청주시지번주소는 신시가지와 구시가지에서 번호의 방식이 크게 다르다. 신시가지에서는 보조번호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OO동 9999식으로 네자리까지 쓰는 한이 있더라도 하나의 숫자로 부여하는 방식이다. 한편 구시가지에서는 999-99 식의 소분류를 사용한다.
개신동은 앞서 말한 것처럼 서쪽과 동쪽의 개발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지번주소의 틀 자체가 다르다. 신시가지인 서쪽은 보조번호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이웃한 건물끼리 비슷한 숫자를 사용한다. 대체로 블록 단위로 한 바퀴를 돌아 지번주소를 매기고 다음 블록으로 넘어가는 식이다. 638~688번지처럼 순서대로 붙이긴 하는데 어느 방향으로 붙일 것인지는 붙이는 사람 맘대로인 함정이 있긴 하지만. 반면 동쪽은 999-99 식의 구성을 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이웃한 건물과 주소가 전혀 다른 곳이 상당히 많다. 앞 숫자가 같으면 보조 번호는 서로 비슷한 경우가 많은데, 앞 숫자에 해당하는 지역이 그다지 규칙적이지 않다.
앞번호의 대략적인 위치는 다음과 같다.

2.3.1. 동부


동부의 주소는 도로명주소로는 주로 모충로예체로, 1순환로의 지선으로 붙는다.
적당히 2~3자리 수부터 시작하는 이웃 동과는 달리 1부터 지번을 붙인다는 것이 특징이다. 아예 '개신동 1', '개신동 3'과 같은 집도 있다.
  • 1: 개신삼익아파트 남쪽이면서 모충로25번길 동쪽 지역에서 사용한다. 동쪽의 예체로에 가까워지면 430번대를 사용하는데 그 경계는 대략 모충로35번길 정도이다.
  • 2~4: 개신삼익아파트 남쪽이되 모충로25번길 서쪽 지역에서 많이 사용한다. 1순환로에 인접해지면 40~50번대를 사용하는데, 바뀌는 규칙은 전혀 없다. 같은 블록의 옆건물인데도 한 건물은 4-44이고 옆 건물은 51-12 식으로 뒤섞여있다.
  • 8: 태암베스트윙 아파트
  • 9: 선인빌라
  • 10: 개신삼익아파트 1차
  • 11: 개신삼익아파트 2차
  • 12: 충북대학교
  • 40~50: 1순환로에 면한 몇 개 블록. 대체로 사창동에 면한 북쪽 부분에서부터 남쪽 부분으로 숫자가 커진다.
  • 430번대: 개신삼익아파트보다 남쪽, 모충로25번길 동쪽, 모충로보다는 북쪽인 지역에서 많이 사용한다. 주로 436-O, 438-O 식이다. 439는 모충로 북쪽에 한 채, 남쪽에 한 채씩 있다.
  • 440번대: 모충로 이남. 모충동에 인접한 동쪽에서부터 시작해서 서쪽으로 갈수록 숫자가 커지는 양상을 보인다.
  • 450번대: 개신오거리 남쪽의 흰돌교회 일대

2.3.2. 중부


  • 60~110: 개신동 중간부 논밭. 그 중에서도 약간 동쪽 지역. 서쪽은 300번대를 사용한다. 서부로1440~1460번길 지선 일대.
  • 260~300: 성봉로 동쪽의 아파트 지대와 일부 논밭. 대체로 남쪽으로 갈수록 숫자가 커진다. 성봉로 200번 일대.

2.3.3. 서부


성봉로 서부부터는 보조번호를 쓰지 않고 각 건물이 모두 다른 번호를 사용한다. 이쪽부터는 숫자가 확 커져서 600번대부터 시작한다. 단, 성봉로 서쪽에서도 일찍이 건물이 들어서있던 서남교회는 예외적으로 305를 사용한다.
  • 500번대: 개신주공1단지 북쪽 일대. 도로명으로는 신율로50번대 지선, 장구봉로130번대 지선으로 많이 붙는다.
  • 506: 시영아파트
  • 590: 개신주공 3단지
  • 600~610: 개신주공1단지 서쪽, 장구봉공원 동쪽 일대. 신율로53번길로 많이 붙는다.
  • 613: 개신주공 1단지
  • 620~630: 개신푸르지오 북쪽 일대. 도로명주소로는 경신로 30~45 일대.
  • 634: 개신푸르지오
  • 635: 개신뜨란채 2단지
  • 638~688: 개신뜨란채 2단지 남쪽 구역. 앞서 말했듯이 서남교회만 예외적으로 305. 성봉로169번길 일대.
  • 690~710: 개신푸르지오 서쪽, 개신동 최서단 일대. 도로명주소로는 주로 복대로 10번대로 붙는다.

3. 역사


  • 1897년: 충청북도 청주군 서주내면(西州内面)
  • 1914년: 충청북도 청주군 사주면(四州面) 개신리: 부군면 통폐합으로 신기리(新基里), 백현리(栢峴里), 화제리(華弟里), 동리(東里) 등을 합쳐 개신리를 만듦.
  • (1931년: 청주군 청주면이 청주읍으로 승격)
  • 1946년: 충청북도 청원군 사주면 개신리 (청주읍→청주부, 청주군→청원군으로 개칭)
  • (1949년: 청주부가 청주시로 개칭)
  • 1963년: 충청북도 청주시 개신동 (사주면이 청주시에 편입됨에 따라 이 됨)[2]
  • 1995년: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 (청주시 상당구/흥덕구 분구)
  • 2014년: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개신동 (청주시 통합에 따라 서원구, 청원구 신설)
[image]
1914년 서주내면/북주내면/동주내면/남주내면을 '사주면'으로 통합하던 시기에 제작된 지도와 오늘날의 지도를 비교한 이미지. 개신리(오늘날의 방죽말)를 중심으로 신기리(新基里, 오늘날의 개신현대아파트 일대), 백현리[3](栢峴里, 오늘날의 충북대 노천극장 일대 혹은 개신주공단지 일대[4]), 화제리(華弟里, 오늘날의 충대도서관 일대), 동리(東里, 오늘날의 충대의대 인근)를 합친 것으로 보인다. 대충 지도 이미지를 맞춰보면 아무래도 충북대학교 일대인 듯. 서쪽에 가경(佳景)도 옛 지도에 나와있지만 파일에선 짤렸다. 개신동이라는 지명은 그 유래가 농경지 개척 당시에 지어진 이름으로 추측된다.
1931년 청주군의 중심지 청주면이 청주읍으로 승격해서 떨어져나간 이후, 동쪽 옆 동네 모충동은 1935년 청주읍에 편입되었지만 사창동~개신동 일대는 해방 이후 1963년에야 다시 청주로 합류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주읍, 청주부에 속했던 적은 없다.
1914년 사주면 개신리가 되면서 '개신(開新)'이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얻게 되었다. 창고가 있어서 사창동, 사직단이 있어서 사직동, 모충사가 있어서 모충동인 인근 마을에 비하면 '새로 열다(開新)'라는 뜻으로 지명은 꽤나 추상적인 편이다. 아무래도 더 먼저부터 시가지에 속해있던 모충동(당시엔 화흥리)에 비해서 새로 개발된 마을이라는 의미였던 것 같다. 지방 도시들이 대체로 다 근대에 개발되긴 했지만 이름에서부터 근대에 개발되었다는 걸 보여주는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에 들어서는 더 서쪽으로 개발이 진행돼서 가경동이 새로 개발된(開新) 동네가 되었다.
마을 사람들끼리는 '비 오는 날 개도 신발을 신고 다녀서 개신동이다'라는 개드립이 꽤 유행했던 모양이다. 학교 선생님들한테서 들은 사람들이 꽤 있다.#

4. 도로


굵은 글씨는 버스가 지나는 길이다.
동의 중간 즈음을 서부로모충로가 동서로 가로지르고 있다. 남북으로는 서쪽부터 복대로, 신율로, 성봉로, 1순환로, 예체로 등이 이 동을 경유한다. 경신로는 '개신로'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거의 서쪽 개신동만을 지난다. 가경동도 조금은 지나기 때문에 '경(가경)' + '신(개신)'로로 이름붙긴 했지만.
동쪽 인근의 충북대병원 앞에 개신오거리가 있다. 충북대병원 앞에 있기 때문에 '충대병원오거리'라고 하기도 한다. 오거리이긴 한데 길 하나는 충북대 내부로 통하는 길이어서 사거리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꽤 있다. 2008-2009년에는 개신오거리고가차도가 건설되었다.
서쪽에는 가경천을 건너는 다리가 '개신 1교~3교'까지 개신이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모두 가경동으로 통한다.

5. 주요 시설



5.1. 공공 기관


  • 청주개신동우체국
  • 충북대학교우편취급국
  • 청주평생학습관 개신동분관

5.2. 교육


그밖에 창신초등학교(사창동), 가경초등학교, 가경중학교, 청주외국어고등학교(가경동)가 다른 동의 개신동 쪽 경계에 붙어있다. 성화초등학교, 성화중학교(성화동), 서경초등학교, 서경중학교, 서원고등학교(가경동) 등도 개신동 경계 인근.
동 면적은 그다지 좁지 않은데 이상하게도 중학교, 고등학교가 없다. 옆 동네 가경동에 무려 '''13개'''의 초중고등학교가 있는 것과 대조된다. 심지어 성화개신죽림동으로 셋을 다 합쳐도 고등학교는 단 한 개도 없다.[5] 그래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성화중이나 서경중 등으로 많이 배정된다.

5.3. 의료



5.4. 공동주택


2동 이상의 단지만 기재하였다. 대체로 서쪽 → 동쪽 순으로 적었다.
  • 개신주공1단지 아파트 - 2002년 2월 입주
  • 개신뜨란채2단지 아파트 - 2000년 12월 입주
  • 개신주공그린빌 3단지 아파트 - 2003년
  • 청주 개신 푸르지오 - 2004년 11월 입주
  • 개신 청주아파트 -1990년 12월 입주
  • 현대아파트 -1990년 12월 입주
  • 개신동 삼익아파트[6] (1~2차) - 1차 1990년 11월 입주, 2차 1993년 2월 입주
  • 태암베스트윙 아파트 - 2005년 9월 입주
  • 삼익송학아파트 - 1991년 12월 입주
  • 두산한솔아파트 (1~2차) - 1차 1993년 5월 입주, 2차 동년 11월 입주
  • 두진백로아파트(1~2차) - 1차 1993년 4월 입주, 2차 동년 12월 입주
  • 개신동 서우아파트 - 1987년 12월 입주.

6. 교통



6.1. 버스


밑줄 부분은 개신동 내에서 해당 도로변에서만 탈 수 있는 버스이다.
동부 개신동의 버스 정류장에서는 특별히 이름으로 쓸 만한 고유명사가 별로 없는지 삼익아파트의 서/남/동쪽 길 모두 '삼익아파트'라는 버스 정류장 이름을 쓰고 있다. 세 '삼익아파트' 정류장은 서로 약 500m 가량 떨어져있다.

6.1.1. 서부로 ~ 모충로


  • 정류장 (서→동)
    • 서부로
      • KBS
      • 방죽말
      • 충대병원장례식장
      • 충북대학교병원(북)
    • 모충로
      • 삼익1차아파트(북)/삼익아파트(남)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6.1.2. 장구봉로 ~ 성봉로


  • 정류장
    • 장구봉로
      • 가경중학교(북)/청주시영아파트(남)
    • 성봉로 (북→남)
      • 충북대학교정문
      • 복대초등학교
      • 현대아파트(서)/개신동현대아파트(동)
      • 개신2단지뜨란채


6.1.3. 1순환로


  • 정류장 (북→남)
    • 충북대학교후문
    • 삼익아파트(동)
    • 충북대학교병원(동)
    • 충북대학교병원(서)/삼익송학아파트(동)
1순환로 동쪽에 비해 서쪽에는 이에 대응하는 정류장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길 서쪽이 충북대학교이기 때문인 듯하다.

6.1.4. 예체로


  • 정류장
    • 삼익아파트(서)/주공2단지아파트(동)
예체로 경유 버스는 이상할 정도로 간격이 길다. 제일 짧은 843이 35분, 842 계열이 44분이다. 863 계열은 아예 70~80분의 배차 간격을 보인다. 버스 시간을 맞춰서 타거나 아니면 1순환로/모충로 쪽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래서인지 2017년 3월 시점에서 이쪽 도로를 지나는 버스는 이 위키에 문서조차 없었으나, 5월 즈음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모충로를 만나서 끝나는 예체로의 특성상, 위의 버스들도 모충로를 만나는 지점에서 끝나지 않는 한(그런 버스 노선은 없다) 예체로 남단에서는 모충로를 지날 수밖에 없다. 단, 예체로 동쪽의 모충로로 빠져나가므로 개신동 지역의 모충로는 지나지 않고 모충동의 모충로를 지난다.

6.1.5. 복대로


  • 정류장
    • 개신주공3단지
    • 개신푸르지오아파트
[1] 수곡동, 산남동과는 구룡산-매봉산으로 나뉘어 있어서 약간 더 거리감은 있는 편.[2] 95년 도농복합시가 출범한 이후부터는 읍면리가 시에 편입되더라도 동으로 바꾸지 않아도 된다.[3] '백현'이라는 지명은 2011년 도로명을 지자체별로 진행하던 시기에 '백현로'라는 이름으로 잠시 부활하기도 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도로명주소가 새로 붙으면서 사라졌다.[4] 이곳에는 배틔(베티마을)이라는 마을이 있었다. 배티라는 지명을 분석해보면 티는 '대치(대치동)>한티(한티역)'에서 알 수 있듯 언덕을 의미하며, '배'는 '梨峴'과 같은 훈차 표기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뜻은 '배' 외에 다른 것일 수도 있겠지만 읽기는 확실히 '배~백'이라고 읽었던 듯하다. 일제시대 지도 가운데에는 梨峴라고 쓰고 '배고개'라고 읽는 것도 발견된다. 이 지명은 개신 삼익아파트 인근의 '배티공원'을 통해 다시 지역 이름으로 사용되게 됐다.[5] 경계에 세광고등학교가 있기는 한데, 아마 행정적으로 세광중학교와 함께 산남동으로 넘어갔다는 모양이다.[6] 이 아파트는 신기하게도 입구가 사직동이다. 그러나 입구 빼고는 모조리 개신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