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1187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1187번
기점
광주광역시 서구 덕흥동(광주세광학교)
종점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원효사)
종점행
첫차
06:20
기점행
첫차
06:20
막차
22:00
막차
22:00
배차간격
23 ~ 30분
운수사명
대원시내버스, 동화운수, 삼원운수
인가대수
8대
노선
덕흥동 - 유덕동주민센터 - 극락초교 - 광천 e편한세상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그린파크 - 북광주수협 - 광주역(동) - 중흥1동행정복지센터 - 금남로4가역 - 국립아시아문화전당(구.도청) - 동구청 - 법원입구 - 장원초교(서) - 제4수원지 - 충장사(남) - 무등산국립공원(원효사)
[image]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1187-1번(주말)
기점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원효사)
종점
광주광역시 동구 장동(전남여고)
종점행
첫차
07:38
기점행
첫차
07:00[1]
막차
17:20[2][3]
막차
17:20
평일배차
'''미운행'''
주말배차
20 ~ 25분
운수사명
세영운수
인가대수
3대[4]
노선
무등산국립공원(원효사) - (1187과 동일) - 동구노인종합복지관 - ( ← 동구청 ← 문화전당역 ← 국립아시문화전당(구.도청) ← 5.18민주화운동기록관 ← ) - 전남여고

2. 개요


'''228번, 419번, 518번과 더불어 노선번호 부여법칙을 따르지 않는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18번 시내버스(신창동 - 광주역 - 전남여고 - 농장다리 - 원효사)가 전신이다. 당시에는 호남대 광산캠퍼스에서 구.도청을 거쳐 무등산으로 올라가던 777번 좌석버스가 있었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50~60분으로 크게 길었다.
  • 광주시에서 좌석버스가 쇠퇴해감에 따라 777번도 이런 흐름을 버티지 못하며 입석버스로 전환되는 동시에 노선이 크게 변하게 되었다.
  • 2004년 개편 때 777번의 종점이 지산유원지로 바뀌고, 18번은 구.도청으로 단축된 동시에 번호가 1187번으로 바뀌었다. 이 때는 10개 회사가 모두 운행하기도 했다.
  • 광천동 회차지 문제로 인해 2017년 노선 개편안에서 덕흥동까지 연장할 계획이 있었다. 관련 기사 그러다가 광천동 차고지가 패쇄되는 17년 8월 28일부터 덕흥동에서 회차한다고 한다. 하지만 광천동 ~ 덕흥동 구간은 공차운행한다. 화순교통 때문에 그런 조치를 한 듯 싶다.
  • 2018년 3월 2일 노선이 덕흥동으로 공식 연장되었다.
  • 2019년 7월 4일부터 농성지하차도 확장으로 차선이 짧아져, 농성교차로에서 좌회전해와 그린파크 방향으로 갈 수가 없게 되었다. 그로 인해 원효사 방향만 유스퀘어→현대자동차→광천초교→농성1동주민센터→그린파크로 경로가 변경됐었다.[5] 그러다 2020년 5월 1일부로, 양방향 정상 운행으로 환원되었다.[6]
  • 2020년 6월 27일부터 원효사 방향에 한해 기존 건강협회 사거리에서 좌회전 후 무정차로 통과하였던 농성파출소(2055)와 서구청(2050) 정류장을 추가로 정차한다.
  • 8월 둘째 주에 발생한 광주지역 집중호우의 여파로 '충장사 ~ 원효사' 구간의 일부 도로가 유실 및 파손됨에 따라 1187번은 8월 12일 부터 단축 운행에 들어갔고, 8월 22일 19시를 기해 정상 운행에 들어갔다. 본래 주말에만 운행하던 1187-1번의 경우 같은 사유로 2020년 8월 16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8월 29일부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4. 특징


  • 1187번은 광주광역시의 유명 관광지이자 상징 중 하나인 무등산의 해발 고도가 1187m이라서, 이를 상징하기 위해 붙여진 번호다.
  • 무등산으로 가는 노선들은 많지만, 위 두 노선을 제외하면 전부 증심사로 간다.
  • 산수오거리에서 원효사까지 상당히 깊숙히 들어가는 덕분에 행락철에는 많은 등산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7] 이로 인해 주말[8]에는 세영운수 차량 중 주말에 운행하지 않는 3대를 가져와서 임시노선인 1187-1번을 운행한다.[9]
  • 버스가 자주 안 오는 임동 자동차거리와 양동 주공아파트 지역에서 시내를 이어주는 역할도 한다.
  • 금남로 일대에 행사가 있어 통제될 경우 보통 금남로4가역 ~ 예술의거리입구 ~ 전남여고 ~ 동부노인복지회관 구간으로 우회한다. 다만, 2017 충장축제 때 수창초교 정문까지 통제됨에 따라 롯데백화점을 거치지 않고 대인광장 ~ 동부소방서 ~ 전남여고 ~ 동부노인복지회관 구간으로 우회했다.[10] 2019수영대회 통제 안내문에는 아직도 덕흥동 연장이 반영되지 않았다. [image]
  • 1187-1도 주말에 행사가 있을 경우 조정되는데, 전남여고>동부소방서>대인광장(2곳)>롯데백화점>5가역, 4가역>예술의거리입구>전남여고 순으로 루프한다. 다만 역시 2017 충장축제 기간[11]에 다르게 우회해야 하는데, 정작 안내문에는 빼놓고 있다...
  • 금정산을 오르내리는 부산 버스 203에 비하면 양반이지만, 이 노선도 산을 오르내리는 노선인 만큼 급커브가 상당히 많아 이니셜 B(...)를 느낄 수도 있는 노선. 대신에 산수오거리에서 출발하여 무등산으로 올라가는 도로 구간은 드라이브 명소로 손에 꼽는 명구간인 만큼 혼잡한 도심을 벗어나 자연을 느끼기에 안성맞춤인 노선이다. 그러나 급경사 구간을 오르내리는 만큼 눈 내리는 날에는 '덕흥동 ~ 산수오거리' 구간만 운행한다. 1187-1번의 경우 그냥 결행... 대신 증심사 쪽은 결행이 적으니 그쪽으로 가자[12].
  • 차량 운용의 경우 광주에서 매우 드물게 현재 전 차량이 대우버스로 운행되고 있다.[13] 단독 배차 노선으로는 몇 개 존재하지만 공동 배차 중인 노선에서는 이 노선이 유일하다.
  • 아트버스 차량이 2대(2772호, 3714호) 있었으나, 3714호의 래핑이 뜯기고,[14] 첨단20번으로 이동되었다. 그래서 현재는 2772호 한 대만 아트버스로 남아 있다.
  • 윗 노선 틀에서 1187번과 1187-1번은 저 네 회사가 각각 운행한다고 써져 있지만, 무등산 정상 개방 등의 성수기 때는 대창운수, 을로운수 같이 전혀 관련이 없는 회사도 1187번과 1187-1번을 지원 운행하기 위해 투입되는 경우도 있다.

5. 연계 철도역


  • [image]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문화전당역, 금남로4가역,[15] 금남로5가역, 농성역
  • 일반 철도역 : 광주역(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1] 첫차를 포함해 2, 3회차(07:20, 07:40) 출발 차량은 편도 운행[2] 정상 개방 시 18:20[3] 오후 4시 30분 출발 차량 부터는 편도운행.[4] 정상 개방 시에는 추가 증차 운행한다.[5] 우회운행 구간은 무정차, 덕흥동 방향은 그대로 운행[6] 하지만 특성상 건강협회사거리에서 노선버스에 한해서 좌회전이 허용(그 외에는 좌회전 금지)되지만 상공회의소는 정차하지 않는다.[7] 앞문까지 꽉꽉 태운 다음에 산길을 오르락내리락한다. 만약 주말에 타게 된다면 가능한 이른 시간에, 기점과 가까운 유스퀘어, 광천동 쪽에서 타는 걸 추천한다.[8] 2015년에는 주중에 운행하기도 했다.[9] 보통 송암72번 차량들이 투입된다. 옛날에는 저 위에 사진처럼 진월07번 차를 주로 가져왔다. 길이 험해서 중형버스인 송암72번으로 변경된 듯.[10] ...가 정상이나 정작 안내문에는 일반적인 통제구간을 복붙해 금남로4가역을 경유해 이상하게 되었다...[11] 토요일[12] 실제로도 증심사로 운행하는 버스 노선이 훨씬 많다. 원효사는 1187번, 1187-1번만 간다(...). 1187-1번이 임시노선임을 고려하면 1187번 하나만 다니는 것과 비슷하다...[13] 2010년 이후 BS090의 출고가 매우 적었다. 08~10년식 대우차의 좋지 않은 연비에 크게 데인 듯. 또한 광주 10개 회사는 NEW BS090 차량을 2014년까지 단 한 대도 도입하지 않았다.[14] 이유가 조금 황당한데 래핑이 어두운 분위기를 연출해서 민원이 들어왔다고...[15] 이상 2개역 1187-1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