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시내버스
隊員市內
1. 개요
광주광역시에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버스 회사. 주 사무소는 서구 세하공영차고지에 위치한다. 2004년 을로운수[1] 에서 약 60대의 차량을 양도받아 설립되었다. 동광고속과 라정시내버스의 자회사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중 역사가 제일 짧다.
이름에 '''대원'''이 들어가지만 '''KD 운송그룹'''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회사이다. 여담으로 KD는 저속운행을 하지만 여기는 고속주행을 좀 하는 편이다.(하지만 시내에서 밟아봤자 거기서 거기다.)
KD 운송그룹과 관련이 없지만 이상하게 이 회사도 대우버스가 많았다. 현재는 현대자동차 버스가 더 많긴 하지만. . 주로 신차는 대형버스는 현대자동차, 중형버스는 대부분 NEW BS090을 뽑으며 가끔 그린시티도 들여온다. 자회사인 라정시내버스가 현대차를 많이 출고한 영향이 있어서 그런가 보다.
[2]
회사 설립 초기에는 송암공단에 차고지가 있었으나 2006년경 광천동 버스종점으로 이전했고, 도로공사로 인해 광천동 종점이 폐쇄 예정에 있으면서 2차고지로 사용하던 세하공영차고지로 옮겨졌다. 덕분에 순환01번 은 광주급행버스들 중 유일하게 공차회송을 할 필요가 없는 노선이 되었다. 기종점 모두 본사에 있으니까.
2015년 12월엔 광주시 최초로 현대 블루시티를 출고하였다.
2016년 들어 현대차를 주로 뽑다가 10월 뜬금없이 NEW BS090 2대를 출고하기도 했고, 각각 송암68번[3] , 1187번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2017년 1월 진월177번에 대원시내버스 최초로 그린시티가 들어와서 대원시내버스도 현대로 가려나... 했지만 2017년 5월에 다시 NEW BS090을 출고했다. 이 NEW BS090은 수완49번에 투입되었다.
2017년에 예비차 08년식 BS106 F/L 대차분으로 17년식 현대 NSAC 저상버스를 출고했는데 '''자동변속기가 무려 앨리슨이다!'''[4]
2018년에 예비차 09년식 BS106 F/L 5284호 대차분으로 18년식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출고하여 순환01번에 넣었는데, 이로 인해 예비차로 강등당한 버스가 무려 '''12년식 NEW BS106'''이다. 순환01번엔 11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도 돌아다니고 있는데.. 왜 굳이 뉴비버스를 예비차로 강등시켰는지는 의문.[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회사들 중 유일하게 간선 노선을 1개만 보유한 회사다.(금호36번) 근데 그 마저도 대창운수와 공동배차다... [6]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에서 마지막까지 현대 개선형 차량이 없었으나[7] , 2019년 5월 개선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과 개선형 그린시티 1대를 출고하여 각각 순환01번과 진월177번에 투입했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에서 2번째로 뉴 카운티, 최초로 카운티 뉴 브리즈를 2대 출고해 송정97번에 투입되었다.[8]
2. 면허 체계
- 광주 77 바 52##호
3. 운행 노선
3.1. 급행간선버스
- 순환01 (세하동 - 전남대사거리 - 조선대 - 세하동) - 순환노선
- 수완03 (대창운수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조선대 - 송원대) - 삼아교통, 현대교통, 라정시내버스 제외 7개회사 공동배차
3.2. 급행좌석
3.3. 간선버스
3.4. 지선버스
- 수완49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 광주역 - 신가사거리 - 수완지구종점) - 동화운수와 공배
- 상무62 (상무지구종점 - 동천마을단지 - 공항역 - 상무지구종점) - 순환노선
- 유덕65 (덕흥마을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양동시장역 - 광주역)
- 송암68 (송암산업단지 - 송화마을단지 - 유스퀘어 - KTX체육공원) - 대창운수, 을로운수, 현대교통과 공배
- 임곡89 (덕흥마을 - 양동시장역 - 신가동 - 오룡마을)[9]
- 송정97 (광주공항 - 평동역 - 대산삼거리 - 광암복림마을)
- 진월177 (도곡스파랜드 - 대성여자고등학교 - 백운광장 - 양동시장)
- 1187 (덕흥마을 - 광주역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무등산국립공원 원효사지구) - 동화운수, 삼원운수와 공배
4. 보유 차량
4.1. 현재 보유 차량
4.1.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카운티 디젤
- 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디젤
- 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블루시티 저상 천연가스 하이브리드버스
- 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
- 현대 유니시티 천연가스버스
4.1.2. 자일대우상용차
4.2. 과거 보유차량
4.2.1. 자일대우상용차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로얄논스텝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로얄논스텝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BH115E 로얄이코노미 천연가스버스
- 대우 NEW BS110 뉴 로얄논스텝 천연가스버스
4.2.2. 현대자동차
4.2.3. 기아자동차
[1] 당시 삼양시내버스[2] 대원버스 일부 노선이 경기도 광주시에 들어가며, 해당 업체의 연고지인 성남시는 광주시(군)의 일부였다. 심지어 버스 차량면허도 '경기77바'와 '광주77바'로 겹친다.[3] 현재는 상무62번에서 운행중이다.[4] 알 사람은 알겠지만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는 저상버스를 출고할 때는 대부분 ZF의 자동변속기를 달아서 출고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물론 예외도 있다. 바로 지원25번에서 운행 중인 동화운수의 BC211M 클린디젤 하이브리드 준저상버스.[5] NEW BS 시리즈 초기형 차량은 껍데기만 바뀌고 잔고장등의 문제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는 평을 받는다. 실제로도 고장이 잦다고. 비슷한 사례로 현대교통도 2017년 7월쯤 NEW BS106 대여섯대를 몽땅 예비차로 내려 버렸다.[6] 다만 대형버스를 적게 운행하지는 않는다. 순환01번에 24대나 운행 중이기 때문. 대형 차량은 현재 예비차를 포함해 43대가 운행 중이다.[7] 마을버스에는 대우차만 운행하는 석봉운수를 비롯해 현대 개선형 차량이 없는 회사가 존재한다.[8]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최초 뉴 카운티는 동화운수의 지원52번이고, 대원시내버스의 뉴 카운티는 현재 진월177번에서 운행한다.[9] 와산마을은 일부 시간대에만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