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진여객

 



'''금진여객 주식회사'''
'''金進旅客'''
'''Geumjin Passenger Co., Ltd.'''
업종명
운수업
설립일
1980년 1월 7일
대표
김용대
주사무소
경상남도 김해시 가락로 252-27 (구산동)
전화번호
055-333-6765
차량번호
부산 70자 13××, 부산 71자 1216.1218
면허대수
정규 40대, 예비 3대
1. 개요
2. 차고지
3. 면허 체계
4. 차량운용대수
5. 운행 노선
6. 폐선, 철수된 노선
7. 현재 보유차량
8. 과거 보유차량
9. 주의사항


1. 개요


화신여객에서 분리하여 1980년에 설립하였으며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에 본사와 차고지를 두고 있는 부산광역시 면허의 시내버스 업체. 면허지는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68번길 2 (연산동)[1]로 되어 있다.
김해3사[2]의 일원 중 하나이며 이들 중에선 사명변경 없이 계속 유지 중이다. 2007년 노선 개편 이후로는 김해시 이외의 노선에도 공동 배차 형식으로 운행하고 있다.
차량 대수는 43대로 현재 성원여객과 비슷한 규모로 버스를 운행하는 업체다. 차량은 '''전 차량'''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한 버스만 운용한다. 김해시 버스회사들중에서 '''유일하게 현대차를 선호한다.''' 김해3사중에서 성원여객과 태영버스는 대우버스만 출고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리고 김해시 버스회사들은 태영버스의 계열사인만큼 몇년전부터는 자일상용차만 출고한다.[3] 자일상용차는 2001년까지 출고했다.[4]

김해시로 오가는 부산 노선 중에서 128-1번은 제일 수요가 많고 수익이 무지막지한 노선이라 금진여객의 미래를 밝혀 주고 있다. 심지어 김해시 면허의 시내방면 노선들과 노선 대부분이 겹치는데도 가축수송에 몸살을 앓는다.
오죽하면 부산김해경전철 개통과 함께 경전철 이용객을 늘려보려고 2011년 상반기 김해시청에서 버스노선을 조정하려고 128-1번을 폐선을 부산시에 요청하자, 금진여객이 직접 김해시청에 처들어가서 항의를 하여 이를 백지화시켰을 정도다.[5] 그도 그럴 것이 128-1번을 당장 폐선시켜 버렸다면, 김해지역 수요의 불편은 말할 것도 없고, 금진여객도 김해, 북구 지역 온갖 노선들을 공동배차하게 됐을지도 모른다.
128-1번과 124번이 메인 노선이고, 나머지 126번, 1009번은 적은 대수로 공동배차하며 별책부록으로 운영하고 있다.
부산 최후의 무냉방 차량을 운행했던 회사로도 유명하다. 1994년식 BS106으로[6] 2004년 중순까지 운행했다.[7]
2015년 말에 버스노선 개편으로 주력노선인 128-1번과 130번의 노선이 바뀌게 된다. 130번은 폐선되어 124번이라는 1004번의 짝퉁 노선이 신설되었다, 128-1번은 200번의 대체노선으로 신라대학교까지 연장되었다. 124번의 경우에는 구.130번보다는 구간 수요가 많지만, 시민공원남문~서면 구간 및 네오스포 경유라는 기형적인 회차루트 때문에 시민들에게 외면받고 있으므로 여전히 적자가 심하다. 128-1번은 승객 물갈이가 잘 되는 덕천교차로 구간과 인제대학교에 이은 신라대학교의 학생 수요가 더 생기면서 더더욱 수요가 늘어난다. 그리고 124번의 장거리 및 기형적인 구간 운행과 126번, 1009번의 장거리 운행 및 장거리 공차회송,[8] 128-1번의 아날로그식 운행방향 안내(...) 때문에 금진여객 승무원들이 본의 아니게 고생하고 있다.
차고지에 가스 충전소가 없기 때문에 128-1번, 124번은 김해시 한림면 신천리에 있는 김해CNG충전소로 이동하여 충전한다. 126번, 1009번은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삼진그린에너지로 이동하여 충전한다.
그리고 2016년 12월, 128-1번에 신도색 저상차량이 들어왔다.[9]
대표노선은 128-1번이다.
2014년 하반기부터는 알루미늄 휠을 장착하여 출고하는 경우가 많아졌다.[10]

2. 차고지



3. 면허 체계


  • 부산 701301 ~ 1343[11]
  • 부산 711216, 1218[12]

4. 차량운용대수


  • 시내버스
    • 124번: 10대
    • 128-1번: 26대
    • 126번: 2대
    • 1009번: 2대
    • 예비차: 3대
    • 도합: 43대

5. 운행 노선


  • 본사 시종착 노선
    • 부산 버스 124 (김해(구산동) ↔ 백양터널 ↔ 서면(네오스포아파트))[13]
    • 부산 버스 128-1 (김해(구산동) ↔ 인제대학교 ↔ 신라대학교)
  • 파견 노선
    • 부산 버스 1009 (금곡동 ↔ 김해공항 ↔ 가덕도선창) ※ 삼진여객, 성원여객과 공동배차[14]
    • 부산 버스 126 (화명동 ↔ 동아대 ↔ 남포동) ※ 삼진여객, 성원여객과 공동배차[15]

6. 폐선, 철수된 노선


  • 부산 버스 123 (김해(구산동) ↔ 서구청)
  • 부산 버스 125 (대동초정 ↔ 구포시장)
  • 부산 버스 128 (김해(구산동) ↔ 엄궁아파트단지) ※ 성원여객, 태영버스와 공동배차[16]
  • 부산 버스 130(구) (김해(구산동) ↔ 덕천교차로) ※ 한진여객(현.성원여객), 태영버스와 공동배차[17]
  • 부산 버스 130 (구.130-1) (김해(구산동) ↔ 부산대학교)[18]
  • 부산 버스 309 (김해(구산동) ↔ 충무동)
  • 부산 버스 555 (강서구청역 ↔ 화전산단 ↔ 부산신항) ※ 삼진여객, 태진여객과 공동배차[19]

7. 현재 보유차량



7.1. 현대자동차



8. 과거 보유차량



8.1. 현대자동차



8.2. 자일상용차



9. 주의사항


버스 동호인들은 주의할 점이 있는데, 금진여객은 차고지 내에서 사진촬영을 절대 허락해 주지 않는다. 이유는 어떤 철없는 초딩 버싸대가 허락도 없이 버스 기기를 무단으로 조작하였기 때문이다. 되도록 이면 금진여객 차고지 출입은 자제 하자. 단, 거리나, 정류장에서 금진여객 소속 차량들을 촬영하거나, 금진여객 소속 차량들 주행영상을 찍는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1] 참고로 금진여객은 연제구 땅을 단 1mm도 밟지 않으며, 소재지로 되어있는 건물은 수도관 공사 부품을 파는 철물점 가게 건물이다.[2] 김해시에 본사와 차고지를 둔 부산 면허의 3개 시내버스 업체(금진여객, 한진여객, 화진여객)를 가리키는 말. 1990년 초에 김해시로 운행하는 부산시내버스 노선을 3개 업체가 공동 배차하면서 일반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하지만 2004년에 태영버스가 화진여객을 인수하면서 이름을 바꿨고 2007년 5월 31일에는 한진여객도 성원여객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결정적으로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 시행과 동시에 김해3사 공동 배차가 폐지되면서 김해3사 체제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2011년 4월부터 잠시 128번을 공동배차했으나 그것도 1년 뒤에 폐선되면서 공동배차 노선 자체가 없다. 그래서 지금은 그저 김해시에 있는 3개의 부산 시내버스 업체로만 존재하는 중.[3] 그러나 2020년에는 자일상용차 베트남 이전으로 인한 울산공장 조업 중단 문제로 태영운송그룹이 현대차를 출고했고, 성원여객도 부산 최초로 에디슨 스마트를 출고했다.[4] 2007년에 진주 신일교통 중고 02년식 BS106도 가져왔으나 얼마안가 성원여객으로 보냈고(1317호, 1321호 → 5139호, 5140호) 1009번 개통과 함께 FX116으로 교체되었다.[5] 당시엔 개통 초창기라그런지 일평균 이용객이 2만 명이 채 안되었을 정도로 이용객이 거의 없었다. 다만 현 시점에서는 일평균 이용객이 10만 명 이상으로 대폭 늘어났고 수지타산도 맞아가는 등 그럭저럭 잘 운영되고 있다.[6] 면허는 1311호.[7] 화신여객도 무냉방 차량이 2004년까지 다녔었다.[8] 126번은 부산시에서도 이용객수와 수입금이 최상위권에 속하지만 2대만 참여해서 의미없다. 그런데 1009번은 107km로 노선이 긴걸 빼면 승객이 적고 배차간격이 길다보니 휴식시간이 많아서 승무원들 사이에서는 평이 좋다. 그리고 1009번과 124번중 승객수는 압도적으로 124번이 많지만 운송수입금 차이는 얼마안난다. 2018년 11월기준 124번이 30만원, 1009번이 29만원으로 딱 1만원 차이였다.[9] 해당 차량은 555번에서 운행하던 구형 동글이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차량 대차분이다.[10] 1301호, 1302호, 1303호가 최초로 알루미늄 휠을 적용했으며 3대 모두 대차 전에는 2006년 4월식 뉴슈퍼에어로시티 디젤 차량이었다.[11] 금진여객 주 면허. 1996년 면허 개정 당시 12##를 받았어야 했으나 어째서인지 남부여객과 바뀌었다. 아마도 좌석버스가 12##를 받은 탓에 혼란을 막기 위해 그렇게 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하지만 당시 구. 금강여객은 일반과 좌석 모두 11##를 배정받았다.[12] 원래는 1201호부터 1231호까지 있었으나 나머지 면허들은 일반면허로 전환돼서 1216, 1218호만 남았다. 단 12#4호 면허는 사용하지 않았다.[13] 2015년 11월 28일에 신설되었다.[14] 회사별로 각각 2대씩 배차한다.[15] 전체 인가대수 중에서 삼진여객이 25대로 비중이 제일 높다. 성원여객이 3대, 금진여객이 2대를 배차한다.[16] 2012년 4월 27일에 부산김해 경전철과 중복 이유로 폐선되었다.[17] 2007년 5월 준공영제 때 130-1번과 통폐합 되었다.[18] 2008년 9월 1일에 부번호가 삭제된 130번으로 노선번호가 바뀌었다. 2015년 11월 28일에 폐선되었다.[19] 회사별로 각각 1대씩 월~토요일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하였었다.[20]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에서 동글이 NSAC 좌석형은 이 업체가 유일했다, 구 1203. 121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