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26

 


[image]
[image]
구도색
신도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이용 시 유의할 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6번
기점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구.화명동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2가(남포동)
종점

첫차
04:40
기점

첫차
05:32
막차
22:35
막차
23:38
평일배차
출퇴근 5분 / 평시 6분
주말배차
7분
운수사명
금진여객 / 삼진여객 / 성원여객
인가대수
30대[1][주말]
노선
구.화명동차고지 - 북구보건소[2] - 와석(화명역) - 수정역 - 부민병원 - 덕천역 - 구포시장 - 구포역 - 북구청 - 삼락동 - 삼락동주민센터 - 삼락생태공원-괘법르네시떼역·르네시떼 - 감전동이마트 - 엄궁동주민센터 - 동아대학교 - 하단교차로(하단역) - 사하구청(당리역) - 괴정시장(괴정역) - 대티터널 - 부경고교 - 구덕운동장 - 서부교회 → 동아대부민캠퍼스국제시장 → 부산데파트 → 남포동 → 서구청 → 부평시장 → 보수초등학교 → 서부교회 → 이후 역순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3.8km다.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1982년 말에 개통되었다. 2002년도에 부도가 나서 폐업한 태화교통에서 단독 배차하였다. 당시 노선은 '덕천교차로 - 구포역 - 산업도로 - 엄궁 - 에덴공원 - 괴정 - 구덕운동장>대청동>남포동>충무동>보수동>구덕운동장>이후 역순'이었다.
  • 1998년 초 남포동행 한정으로 낙동고교를 경유하게 되면서 화명동(수정역)을 수박 겉핥기식으로 경유해 덕천으로 빠져나오는 형식으로 조정된다. 다만 구포행은 덕천과 화명주공일대를 경유하지 않고 구포시장에서 바로 차고지로 갔다.
  • 2002년 태화교통이 가야IBS계열에 인수되어 태영버스로 사명이 변경되고 2004년 6월에는 태영버스가 화진여객을 인수하며, 59번, 126번, 159번은 삼진여객에 매각되며, 업체가 삼진여객 계열이 되면서, 성보버스로 사명이 변경된다. 그리고 2005년 12월에 성보버스가 삼진여객과 흡수 통합되면서 삼진여객 소속 노선이 된다.
  • 화명동 연장 전에는 덕천2동 구룡사 앞이 기점이었으나 행선판은 무슨 이유인지 구 포 ◀▶ 동아대 ◀▶ 충무동으로 표기되었다. 2007년 5월 15일대격변때 드디어 화명동 주민들이 바라던대로 화명동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화명동 수요를 그대로 흡수했기 때문에 수요가 준공영제 이전보다 대폭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의성로 경유를 하지 못하여 이에 관련된 불평들이 존재했었다.
  • 본래 구.태화교통 시절에는 새벽 첫차 출발 시 기점인 구포나 종점인 충무동이 아닌 당시 태화교통 본사가 있던 하단동[3]에서 중간출발하는 차량도 있었다.
  • 좌석버스로 과거 태화시절부터 운행한 노선이었지만 1990년대 후반에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된 이후로 쭉 운행을 하지 않다가 2003년에 다시 신설되었다. 하지만 빗길 교통사고로 3명이 숨지는 불미스러운 일[4]과 승객 저조로 얼마 못가 폐선된다.
  • 예전에는 삼진여객에서만 29대로 운행했지만 2008년 7월 2일에 금진여객 130번 2대가 감차되어 이 노선 공동배차에 참여하게 되었다. 하지만 삼진여객 차량들 중에서 2대가 빠져서 총 인가대수는 29대 그대로 갔다.
  • 2009년 1월에 금진여객이 성원여객에 126번 공배차량 2대를[5] 넘겨주게 되면서 금진여객은 철수하고 성원여객이 참여하게 되었다.
  • 2010년 12월 14일에 126-1번(현.1009번)이 신설되면서 삼진여객에서 2대가 감차되어 총 인가대수 27대로 운행을 하게 되었다.
  • 감차 이후 승객몰림 및 혼잡도 심화로 불만 민원이 많았다. 그래서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2년 4월 27일에 128번이 폐선되면서 성원여객 공배차량을 1대 추가했을 뿐만 아니라 금진여객도 2대가 재공배하면서 총 인가대수가 30대로 설정되었다.
  • 2020년 12월말, 화명동 차고지가 금곡동으로 이전하였다. 그 이유는 화명동 주민들의 차고지 관련 불편민원이 다수 발생해 부지 임대계약 만료에 맞춰 차고지를 이전하였다. 다만 노선연장 승인이 나지않아 금곡동~화명동 구간은 금곡대로를 거쳐 공차회송하며 화명동 구.차고지에서 시종착하고 있다.

4. 특징


  • 일반버스 22대, 저상버스 8대로 운행한다. 저상버스는 8대 모두 삼진여객에서 운행한다.
  • 구.태화교통의 주력 노선이었으며[6] 삼진여객으로 편입된 이후에도 15번 다음으로 잘 나가는 준간판 노선이다.
  • 15번과 종점(남포동/서구청)이 같지만 이 노선의 진가는 따로 있다.[7] 지리상으로는 어느 정도 가깝지만 도시철도로는 이동하기 애매한 북구 - 사하구를 바로 이어주는 몇 없는 노선이기 때문이다.[8] 따라서 구간수요보다는 장거리 수요가 우세인 노선. 이는 123번도 마찬가지이지만 126번은 배차간격이 비교적 짧다는 장점이 있다.
  • 68번과 비슷하게 하단 - 엄궁 간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중간 경유지인 동아대학교로의 통학수요도 상당하다. 따라서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구포역에서부터 엄궁삼거리까지 이미 만차가 된 상태로 오기 때문에 승차거부를 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대부분의 이용객들이 사하 갑 지역 주민들이다.[9]
  • 대중교통이 부족한 삼락동을 지나가는 두 노선중 한 노선이다.[10] 2012년 7월에는 삼락동 구간에 국제식품 정류소가 양방향에 추가되었다. 그리고 2016년 11월에 (주)대정.성지 정류장이 추가되었다.
  • 서구 - 중구 구간을 제외하면 거의 직진만 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의외로 줄어들기도 하는 특징도 있다. 하지만 하단교차로부터 동대신교차로 구간까지는 대표적인 상습정체구간이라 RH 시간대에는 시간이 좀 걸리기도 한다. 여담으로 이 노선은 부산 내에서도 손꼽히는 장거리노선으로 자사노선 15번보다 운행거리가 0.8km 더 길다. 그럼에도 인가대수는 15번에 비하여 6대나 부족하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상대적으로 더 길다는 단점이 있다. 배차간격이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
  • 의성로와 낙동고등학교, 화명 롯데캐슬 카이저 남문을 경유하는 유이한 노선이다.[11] 개통 당시부터 남포동행 한정으로 경유하다가 2010년 11월부터 양방향 경유로 변경되었다.[12] 15번, 59번이랑 달리 양방향 구포시장환승센터 정류장을 직접 경유하며 바로 덕천뉴코아아울렛을 찍고 의성로 전 구간을 완주하는 노선이라서 이 구간 내에서도 고정수요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더불어 화명 롯데캐슬 카이저 남문을 직접 경유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아파트 주민 고정승객이 상당하다. 반대로 말하면 화명동, 금곡동으로 가는 노선들 중에 1009번을 제외하고는 유일하게 양방향 구포시장 환승센터랑 덕천역 정류장을 경유하는 노선이라고 할수있다.
  • 구.태화교통 부도 직전[13]에는 126번 역시 차량상태가 말이 아니었으며 무냉방 에어로시티에 신도색으로 재도색한 차량이 1대 운행하기도 했다. 지금도 자사노선들 중에서 차급이 썩 좋은 편은 아니다. 이 노선도 승객수요와 운송수입금이 상당히 많은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금곡동 노선이 아닌 이유로 소외받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다.
  • 2015년에 드디어 이 노선에 초저상버스가 투입되었다. 삼진여객에서만 8대를 신차로 투입하였다. 여담이겠지만 본디 2010년에 이 노선에 초저상버스 2대를 투입할 예정었으나 계획이 바뀌어 투입하지 않았는데 뒤늦게나마 투입한 것이다.[14] 그리고 2020년 3월 이 노선 최초로 신도색 개선형 저상차량이 투입될뻔 했으나, 15번으로 이동했다.[15]
  • 1일 평균 총 22,000명 가량의 승객수, 1일 대당 평균 7백명이 훌쩍 넘는 승객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평시에도 가축수송이 잦은 노선이다. 그런데,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123번 노선이 명지동신호동으로 변경된다는 발표가 있고 나서 이 노선의 가축수송이 상당히 심해질 것이라는 많은 우려가 있었다.[16] 하지만 2016년부터 부산시 노선담당관을 맡고 있는 안 모씨의 답변에 따르면 명지를 경유하는 58-2번168번의 수요가 평균에도 못미쳐 교통편 추가투입 계획이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2016년 11월 27일1009번 투입, 2017년 4월 22일에는 1005번 투입과 3번 신설 등이 있었지만 123번은 개편에 전혀 포함되지 않았으며 부산시에서 당분간 123번 변경계획이 없다고도 언급하였다. 자세한 건 이 문서를 참고하자.
  • 2017년 4월, 자사 노선 15번을 제치고 운송수입금 순위 4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다음 달에 다시 원래 순위로 떨어졌다.
  • 왕복 53km가 넘어가는 장거리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막차 시간이 22:35로 상당히 늦는 편이다.[17] 막차가 남포동을 찍고 다시 덕천역으로 돌아오면 약 00:20 정도 된다. 덕분에 남포동과 하단, 덕천역 연선에서는 그야말로 구세주나 다름 없다.[18]
  • 서대신교차로에서 덕천교차로까지 이어지는 낙동대로를 전 구간 주파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123번은 구포역에서 조금 더 가서 유턴하여 구포대교로 올라간다. 2010년 전 의성로를 가기 전까지만 해도 구포방면은 대리천공영주차장(구포시장종점) 방면으로 가서 전 구간에서 살짝 주파하지 못했으나 2010년 의성로 왕복 개편 이후로는 완벽하게 낙동대로를 주파한다.
  • 주말 운휴차량은 금곡동 임시 차고지가 아닌 김해시 구산동 금진여객이나 삼계동 성원여객에서 주박한다.

4.1. 이용 시 유의할 점


  • 15번과 달리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남포동, 서구청행만 경유한다. 화명동행은 서구청 - 부평시장 - 보수초교 - 서부교회 이하 역순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남포동, 서구청 일대에서 부민캠퍼스를 가려고 이 노선을 기다리고 있으면 안된다.[19] 부민캠퍼스를 가려면 남포동에서는 15번, 70번, 그리고 103번113번[* 103번과 113번의 경우, 상당히 먼쪽(흑교사거리에서 서부교회로 가는 길목)에 정류소가 있다. 이 곳에서 하차하게 되면 좀 걸어야 하기 때문에 그다지 추천하지는 않는다. 참고로 126번도 이곳을 지나가긴 하지만 남포동행은 부민캠퍼스 앞을 직접적으로 경유하는 특성상 혼동을 방지하기 위함인지 이 정류장을 유일하게 무정차 통과한다.]을, 국제시장에서는 40번, 81번을 이용하는 편이 좋다.[20]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는 양방향 경유하며 승학캠퍼스로 가려면 무조건 이 노선을 타야 한다.[21] 자신이 가려는 캠퍼스를 잘 살핀 후 탑승할 것. 또한 화명동에서 부민캠퍼스를 갈 때에는 15번 버스가 구덕터널을 통과하는 것과 달리 126번은 승학캠퍼스를 경유하여 빙 돌아가기 때문에 15번을 타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 구포시장 방면 덕천역 정류장에서 화명동으로 가려는 사람들은 절대로 이 노선을 타면 안된다. 111번처럼 금곡대로로 우회전하겠지 생각할 수 있지만, 이 노선은 구포시장으로 직진하기 때문이다. 화명동 방면으로 가려면 111번, 121번을 타거나 반대편으로 건너가서 이 노선을 타면 된다. 쉽게 말해, 111번, 121번과는 덕천역 정류소에서 진행 방향이 반대이다.
  • 화명동에서 남포동으로 가려는 사람들도 가능한 이 노선을 이용해서는 안 된다. 낙동대로 ~ 하단역으로 빙 둘러서 가기 때문이다. 남포동으로 갈 경우에는 15번을 이용하거나 의성로 구간에서 이용한다면 구포에서 15번으로 환승하자. 구덕터널을 이용하여 바로 질러주기 때문이다. 15번이 126번보다 배차간격도 짧기에 굳이 126번을 타고 갈 필요는 없다.
  • 59번, 126번, 금정1번, 북구3, 북구7-2번 마을버스들은 금곡동노선[A]과 달리 화신중학교(화명역)에 정차하지 않고 화명역(화신중)[22]정류장에 정차하며 화명역 6번출구 바로 앞에 있어 편리하다! 금곡동 노선[A]을 타려면 도시철도역과 조금 떨어져있는 화신중학교(화명역) 정류장으로 가서 타야 한다.
  • 22:00~22:35에 기점에서 출발하는 차들은 10분 간격으로 운행하니 주의해야 한다.

4.2. 노선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6번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구덕로'''
서구청(충무동) ▼
▲ 남포동
'''보수대로'''
'''중앙대로'''
부평시장 ▼
▲ 부산데파트
'''흑교로'''
'''대청로'''
서부교회 ▼
▲ 영락교회
'''구덕로'''
구덕운동장 ▼
▲ 동대신역
'''망양로'''
서대신교차로(서대신역) ▼
▲ 서대신역.서대신교차로
'''낙동대로'''
덕천역 ▼
▲ 구포시장
'''만덕대로'''
숙등역.부민병원 ▼
▲ 덕천역
'''의성로'''
수정역 ▼
▲ 롯데캐슬카이저 남문
'''금곡대로'''
북구보건소 ▼
▲ 화신중학교(화명역)
'''산성로'''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1] 금진여객 2대 / 삼진여객 25대 / 성원여객 3대[주말] 토요일 29대 / 공휴일 28대 운행. 삼진여객 차량만 감차한다.[2] 정류장에는 북구보건소라고 되어있지만 안내방송으로는 북구보건소.인도네시아센터라고 나온다. 실제 정류장은 화명교를 지나 금곡동 방면에 위치해 있다.[3] 노선이 중간에 하단동을 거쳐 지나간다.[4] 맞은편의 68-1번 버스와 정면충돌했다. 그로 인해 해당 차량인 3655호는 2003년식 슈퍼 에어로시티에서 2003년식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되는 일이 일어나고 만다.(대차 이후 해당 차량은 58-1번에 투입된다.) 현재 3655호는 FX116으로 대차되어 1004번에서 운행하다 1005번이 신설되어서 1005번으로 이동해 1005번에서 운행 중이다. 68-1번 차량은 당시 하이파워였고 03년형 슈퍼에어로시티로 대차되었다가 2010년에 F/L 뉴슈퍼에어로시티 CNG로 조기대차되었다. 이 때 창성여객에서는 07년형 뉴슈퍼에어로시티 디젤도 일부 조기대차했다. 그러나 05년형 뉴슈퍼에어로시티는 대차되지 않았다.[5] 진주 신일교통이 부도나면서 나온 02년식 BS106 디젤이었고 1009번이 개통하면서 FX116으로 교체되었다. 부산여객에도 신일교통 출신 106이 다녔다.[6] 59-1번과 58-1번도 그런대로 수요가 있었으나 당시 59-1번은 너무 장거리였고 58-1번은 좌석버스였기에(1990년대 후반의 좌석버스는 오성여객의 107번과 학성여객의 157-1번, 부일여객의 240번을 제외하면 흑자를 보는 노선이 드물었다.) 이 두 노선은 본인 앞가림하기 바빴다. 실질적으로 126번이 태화교통을 이끌어가는 가장이었다.[7] 덤으로 15번하고 운행거리가 거의 똑같은데 인가대수는 이 노선이 15번에 비해서 6대가 적다.[8] 때문에 부산 도시철도 5호선 착공 계획이 나와서 2017년도에 착공에 들어가서 건설중에 있다.[9] 사하구는 선거구가 사하 갑과 사하 을로 양분되어있다.[10] 이 구간에는 123번과 마찬가지로 타고 내리는 사람이 거의 없다. 덕천역, 구포시장 등지에서 앉아서 가지 못했다면 엄궁이나 동아대 승학캠퍼스에 도착할 때까지 그대로 서서 가야 한다.[11] 다른 하나는 1009번이다. 그런데 1009번은 워낙 배차간격이랑 노선이 안습이고 요금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시내로 가지 않는 노선 이라 탈 일이 거의 없다.[12] 준공영제 이전 에는 애매한 구룡사 차고지의 위치와 신호문제 때문에 의성로를 왕복으로 경유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화명동까지 노선을 연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노선을 바꿔주지 않아 민원이 대량 발생하였고 결국 왕복운행을 하게 된 것이다.[13] 이 노선이 같은 식구 노선들을 먹여살리기에는 노선들의 적자폭이 상당히 심했다. 이 노선이 거의 58번 시리즈, 59번, 159번, 520번 등을 멱살잡고 태영버스를 이끌어낼 정도였다.[14] 참고로 2010년에 126번에 투입할 예정이었던 2대는 111번에 추가시켰다. 본디 111번은 2010년에 2대만 투입할 계획이었는데 126번에 투입 예정이었던 2대를 111번에 추가하면서 4대가 투입된 것이다. 하지만 얼마 못가 126-1번 신설에 따른 트레이드 및 업체 변경으로 4대 중에서 2대가 121번으로 넘어갔다.[15] 2015년 이후 약 5년만에 투입하는 저상차량이 될 뻔 했으며, 면허는 4826호로 대차 전 차량은 2019년 사고로 인해 전면부가 박살이 나고 몇 달 동안 방치되어 있었다.[16] 가축수송이 가장 심각한 구간은 덕천역 - 동아대학교인데 여기까지는 123번이 공동으로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반면에 동아대학교 - 남포동은 버스편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편이다.[17] 반면 15번은 막차시간이 22:05로 126번에 비해 30분이나 빠르다. 심야버스가 있지만 주간 막차와 심야 간의 공백이 25분 정도 된다.[18] 참고로 123번은 서구청 막차시간이 23:08로 빠른 편이고 덕천동으로 가는 15번도 일반막차와 심야첫차 사이에 21분 간격이 있다. 그래서 그 이후부터는 126번을 타려는 사람들이 서구청에 바글바글한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19] 구덕로 연선에서는 하단으로 이어주는 123번과 구포역 이북으로 가는 15번이 있기에 노선 분배 차원에서 이 노선을 화명동 방향 한정으로 보수동을 경유시킨 것이다.[20] 국제시장에서는 15번도 있으나 남포동을 거쳐가서 시간이 다소 걸리기 때문에 추천하지는 않는다.[21] 도시철도 이용 시 하단역에서 끊기는데다 남포동 일대에서 승학캠퍼스 가는 노선이 이거 하나 뿐이다. 서구청에서는 123번을 이용해서 가면 된다. 그러나 123번은 서구청이 회차지점이라 충무동교차로>토성동>부산대학병원을 거쳐서 빙 돌아간다. 다른 노선으로 16번도 있으나 구덕운동장에서 노선이 끊기고 엄궁 방면도 송도윗길, 고신의료원, 감천을 경유하여 빙빙 돌아가기 때문에 사실상 이 노선이 유일하다.[A] A B 15번, 111번, 121번, 1009번 [22] 마을버스는 화신중학교라고 안내방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