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23

 


[image]
[image]
구도색 NEW BS106
신도색 NEW BS106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논란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3번
기점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구산동기점)
종점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2가(서구청)[1]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35
막차
21:50
막차
23:08
평일배차
출퇴근 10분 / 평시 11분
주말배차
토요일 13분 / 공휴일 14분
운수사명
성원여객
인가대수
22대[주말]
노선
구산동기점 - 김해여고 - 금강병원 - 김해시청 - 인제대역 - 지내역 - 불암역 - 평강역 - 강서복지회관·우편집중국 - 강서구청 - 구포대교 - (← 구포역 ←) - 북구청 - 삼락동 - 삼락동주민센터 - 괘법르네시떼역·르네시떼 - 감전동이마트 - 엄궁동주민센터 - 동아대학교 - 하단교차로 - 사하구청(당리역) - 괴정시장(괴정역) - 대티터널 - 서대시장(동대신역) - 동아대부민캠퍼스 - 부산대학교병원(토성역) → 서구청 → 충무동교차로 → 토성동 → 부산대학교병원(토성역) → 이후 역순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2km다.[2]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이 노선은 금진여객 운행으로 개통되었으며 1990년에 공동배차제로 금진여객, 화진여객, 한진여객 공동배차로 운행되었다. 한때 좌석버스도 있었으나 얼마 가지 못해 폐지된다. 2007년 준공영제 시행 당시 동아대학교까지 단축하려고 했으나 기존 이용객들의 반발로 현행 유지되었고 성원여객, 금진여객 공배로 운행하게 되었다.
  • 준공영제 시행 당시 인가대수는 25대였으나 성원여객이 23대로 다니고 금진여객이 2대로 다녀 인가대수의 차이가 압도적이었다.[3] 그러다 2010년에 신설노선 구.126-1번(현.1009번) 공배와 구.128번 공배[4]로 인해 3대가 감차되어 22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이때 금진여객 공배차량 2대는 전면 철수해 126-1번으로 가고, 성원여객 공배차량들 중 1대가 128번으로 갔다.
  •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에서 노선을 하단역에서 명지국제신도시명지오션시티를 경유하여 신호동까지 다니게 변경할 계획이었으나 성원여객, 삼진여객의 반발과 김해시민과 기존 이용객들의 반대, 명지국제도시의 수요 형성이 덜 되었다는 점 등이 있어서 노선 변경이 현재 무기한 보류된 상태다. 자세한건 이 문서를 참고하자.

4. 특징


  • 김해로 가는 부산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구포시장을 경유하지 않는 노선이다.[5]
  • 강서구에서 유일하게 원도심 일대로 가는 노선이다.
  • 성원여객이 2015년 6월에 차고지를 삼계동으로 이전했지만 삼계동 - 구산동은 공차운행 구간으로 승객을 받지 않는다. 김해시와의 조율이 이루어지지 않아 승하차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6] 따라서 부산행 차량도 차고지에서 공차로 와 구산동에서부터 승객을 받고, 차고지행 차량도 구산동에서 모든 승객을 내리게 하고 차고지까지 공차로 간다.
  • 김해시에서 출발하는 부산 시내버스 노선 중 1004번과 함께 가장 부산 시내를 깊숙하게 들어가는 노선인 덕분에 일반버스 노선 중에서도 몇손가락 안에 꼽히는 노선 길이를 자랑한다. 이 때문에 김해 시내 한복판에서 부산의 대표적인 중심가인 남포동 근처[7]까지 환승없이 한 번에 갈수 있다. 특히 309번 좌석버스가 폐선된 이후부터는 메리트가 더 커졌다.
  • 상술한 것처럼 김해시에서 남포동 언저리까지 환승없이 한 번에 갈수 있는 노선이라는 점, 그리고 구포삼거리부터 서대신역까지 126번과 함께 낙동대로 연선의 초과수요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 있어서 노선의 수요는 상당하다. 126번과는 달리 구포시장과 남포동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무언가 모자라 보이지만, 낙동대로 연선(특히 삼락동)을 제대로 훑어주는 유이한 노선 중 하나인지라 출퇴근 시간에는 126번 못지않게 혼잡한 상태로 나간다. 더군다나 두 노선 모두 정중앙에 동아대학교(승학캠퍼스, 부민캠퍼스)를 경유한다.
  • 노선의 특성 상 장거리 승객이 상당히 많아 구포삼거리에서 롯데마트 엄궁점 일대까지는 승.하차가 빈번하게 일어나지 않는다. 바꿔 말하자면, 승객회전이 상당히 안되기 때문에 엄궁삼거리(김해행) 혹은 구포삼거리(서구청행)를 지나칠 때까지 자리를 차지하지 못하면 그냥 앉아서 가는 편안함은 포기하는 것이 맘 편하다(...) 김해를 빠져나왔다면 적어도 엄궁까지는 가축수송에 시달릴 각오를 해야 한다. 서구청행은 구포역도 미경유하니 엄궁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하차하는 승객이 거의 없다.
  • 경부선 구포역에서 이 노선을 타게 되면 얼마 가지 않아 그대로 유턴하여 도시철도 구포역을 찍고 구포대교를 건너가서 김해 방면으로 가기 때문에 구포역에서는 서구청이나 하단역 등지로 가려고 절대로 이 버스를 타면 안된다. 구포역에서 하단역으로 가려면 126번을 서구청으로 가려면 15번[8] 또는 126번[9]을 이용해야한다.
  • 체감 혼잡도가 높지만 통계에서는 수익금이나 승차량이 부산시내버스 평균보다 저조하다.[10] 이 때문에 인가대수 22대를 합쳐 부산 최악의 적자노선이라고 비난 하는 경우도 있으나 운송원가 산정과 차량교부금 배분은 노선이 아니라 차량·업체 단위로 하기 때문에(참조. 운송원가의 상당수가 인건비다) 이런 땡깡은 무의미하다(...). 더군다나 준공영제 체제에서 버스운송의 목표는 교통불편지역 해소와 안정적인 배차이지 민영제처럼 이윤추구가 아니다.
  • 22대로 운행하지만 이 역시 노선이 지나치게 긴 탓에 연착[11]이 되면 배차간격이 크게 벌어질 때가 간혹 있다. 배차간격은 준공영제 실시 전부터 고질병이었는데 128-1번이 4대정도 지나가야 겨우 이 노선이 1대가 올 정도였다.
  • 과거 김해시 시내버스에 부산 교통카드가 호환되기 이전에는 강서구에 거주하는 학생(대사리,평강)들의 통학 수요 또한 만만치 않았다. 요금이 비싼 좌석버스였던 128, 130-1, 309번과 김해행만 대저안동네를 경유하는 127번, 128-1번 그리고 있으나 마나였던 구.130번(2007년 폐선)과 48번을 제외하면 거의 유일하게 양방향 대저안동네를 경유하는 일반버스였기 때문.[12] 그러나 김해시 시내버스에 부산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8번 버스를 이용하는 학생들이 생기고 준공영제 시행으로 128번[13]과 130-1번[14]이 일반버스로 전환됨으로써 통학수요는 분산되었다.
  • 127번과 운영 업체가 동일한만큼 차량 구성도 비슷하다. 과거 성원여객 차고지 차량 방화 사건 발생 후 급하게 출고한 뉴 슈퍼 에어로시티 몇대와 그 대차분으로 출고한 에디슨모터스 스마트 11 차량 몇대 외에는 자일대우버스 차량이 대부분이다. 다만 127번과 다른 점이 있다면 저상버스인 BS110 대신 일반버스인 NEW BS106이 신차로 계속해서 도입되고 있다는 점. 덕분에 김해에서 출발하는 부산시내 일반버스 노선들 중에서 125번과 같이 저상버스가 존재하지 않는 노선이다.[15]
  • 여담이겠지만 부산시에서 124번을 구상할때 이 노선의 인가대수 5대로 신설하려 했다. 하지만 성원여객은 1004번과 과하게 중복되는 124번 노선에 부정적으로 반응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노선의 인가대수는 빼지 않기로 결정되었다.
  • 회차지점인 서구청으로 갈 때에는 부산대병원에서 까치고개로를 통해 바로가지만 회차하여 되돌아갈 때엔 충무동교차로를 지나서 구덕로를 따라 빙빙 돌아간다. 때문에 서구청을 지나서 충무동교차로나 토성동에서 하차할 승객은 앞차로 갈아타라고 승무원이 얘기하신다. 이후 앞차로 가서 뒤차에서 왔다고 얘기하면 된다.[16]
  • 평강, 대사리에서 하단 쪽으로 갈 경우에는 시간만 맞다면 본 노선보다는 강서구15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순수하게 123번을 이용하지 않고 하단역에서 도시철도나 더 자주 오는 버스로 환승하여 괴정, 남포동 쪽으로 가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123번이 지나는 길이 도심 구간이라 상습정체구간이 많은데다 대저안동네를 빙빙 돌기 때문. 반면 강서15번을 이용할 경우 낙동강하굿둑 구간 외에는 교통량이 적은 곳이라 (제도로를 경유한다) 특별한 일이 없으면 하단역에 빨리 도착한다.
  • 서구청 충무동교차로에서 동대신동, 서대신동 사하구 괴정, 당리, 하단동 주민들은 이 버스를 타고 창원역이나 마산시외버스터미널 합성동 갈려면 김해금강병원 정류소에서 김해 버스 140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4.1. 논란


부산 버스 123/논란 문서로.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9291.14

2015년
8965.86
▽ 325.28
2016년
8309.29
▽ 616.57
2017년
7695.71
▽ 613.58
2018년
8069.00
△ 373.29
2019년
7686.42
▽ 382.58

4.3. 노선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3번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보수대로'''
토성동 ▼
▲ 서구청
'''구덕로'''
'''까치고개로'''

'''구덕로'''
서대시장(동대신역) ▼
▲ 서부교회
'''대영로'''
서대신교차로(서대신역) ▼
▲ 서대신역.서부경찰서
'''낙동대로'''
강서구청역 ▼
▲ 구포삼거리
'''낙동북로'''
강서구청 ▼
▲ 강서구청역
'''대저로'''
부산교도소 ▼
▲ 중리입구
'''낙동북로'''
불암역 ▼
▲ 대사리1구
'''김해대로'''
금강병원 ▼
▲ 김해시청
'''가락로'''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1] 정류장 위치 기준[주말] 토요일 19대 / 공휴일 17대 운행[2] 삼계동 성원여객 차고지까지의 공차회송 거리를 합치면 약 79.8km이다.[3] 차고지 방화사고 당시 123번 차량들이 전부 피해를 입어 금진여객 차량이 몇대 더 들어가 대신 다니기도 했다.[4] 같은 날 520번부산역 연장으로 태영버스 128번 대수 감차로 인해 재공배했다.[5] 장유~하단 노선이자 220번과 공동배차 노선인 221번 제외[6] 김해시 시내버스의 비교적 긴 배차간격으로 인해 북부신도시 주민들의 민원이 굉장히 많이 들어오고 있으나 김해시 측에서는 이 구간이 허용될 경우 수요가 분담되어 재정적 손실이 난다는 이유로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앞으로도 승하차가 가능하긴 힘들어 보인다.[7] 서구청에서 비프광장까지는 5분 정도 걸어야 한다. 만약 비프광장까지 걷기가 싫다면 15번이나 126번을 이용하거나 환승해야한다[8] 모라, 서부터미널, 새벽시장, 구덕운동장 경유[9] 삼락, 엄궁, 하단 경유[10] 실제로도 승객 수가 한참 떨어지는 같은 회사 소속인 1009번과 수익금차이가 크게 나지않는다.[11] 부산 시내버스 대부분의 노선들이 같은 문제점을 앓고 있으며 123번의 경우에는 충무동 육교가 있었던 자리(보통 서구청 입구 좌측 GS25 앞에 정차한다.)에서 몇 분간 휴식 후 배차간격을 조율하면서 하행으로 출발해야는데 빨리 도착해서 쉬기 위해 몇몇 이기적인 승무원이 그냥 출발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되면 뒤차를 운행중인 승무원이 벌어진 배차간격으로 인해 피해를 보게되며 실제로 이런 문제 때문에 승무원들끼리 다투기도 한다. 아무래도 성원여객 차고지가 삼계동으로 이전한 것이 한 몫하고 있다. 이때문에 40~45분 배차간격의 노선길이가 107km인 1009번이 승무원들 사이에서 꿀 노선(...)으로 취급받고 있으며 1009번이 파견노선인데도 그 쪽으로 가고 싶어하는 승무원도 존재한다(...).[12]평강역쯤 가면 낙동중학교까지 무정차 통과는 흔했다. 강서15번이 등교시간 한정으로 대저안동네를 통해 강서구청까지 연장운행했다.[13] 현재는 폐선[14] 130번으로 변경되어 오랫동안 운행되다가 폐선되고 124번이 신설되었다.[15] 노선에 저상버스가 운행하는 데는 별 문제가 없지만, 업체 재량으로 투입시키지 않고 있다. 성원여객의 사정이 넉넉하지 못하다 보니, 비싼 저상버스를 123에도 투입하는 데 부담을 느낀다고 한다. 한때 125번도 전 차량 저상으로 운행했었는데, 2020년에 전 차량 일반차량으로 대차되어 운행중이다.[16] 다만 토성동이 목적지라면 부산대학병원 정류장에 하차하여 걸어가는 것이 훨씬 낫다.[A] A B 김해방면에 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