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24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논란 및 문제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4번
기점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구산동기점)
종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네오스포)
종점

첫차
04:45
기점

첫차
06:10
막차
21:50
막차
23:10[1]
평일배차
출퇴근 18분 / 평시 23분
주말배차
토요일 23분 / 공휴일 25분
운수사명
금진여객
인가대수
10대[2]
노선
구산동기점 - 김해여고 - 금강병원 - 김해시청 - 인제대역 - 지내역 - 불암역 - 평강역 - 강서복지회관·우편집중국 - 강서구청 - 구포대교 - (→ 북구청 →) - 구포역 - 구포시장 - 덕천교차로(덕천역) - 구포시장입구 - 구명역 - 구남역(구남중학교) - 모라주공1·3·4단지 - 백양터널 - 국제백양아파트 - 당감시장 - 부암교차로 - 부산시민공원(남문)[단독] - 부전시장서면역·서면지하상가 → 네오스포 → 부산글로벌빌리지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 부전시장 → 이후 역순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3.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80년대에 번호가 같은 노선이 있었다. 화진여객[3]에서 운행했으며 노선은 '강서구 제도(중곡) - 대사리 - 대저안동네 - 구포역 - 모라동 - 덕포동 - 서부산터미널 - 새벽시장 - 주례 - 개금 - 가야 - 서면 - 범내골 - 진시장'으로 운행했으며, 운수사는 화진여객이었다.
  • 그러다가 1985년에 주례로, 1988년에 서부터미널로, 1993년엔 구포시장까지 단축되었으며 이 때는 한진여객(현 성원여객)과 공동 배차로 운행하였다.
  • 그리고 1994년에 '하단 - 제도 - 강서구청 - 구포시장'으로 운행하다가 1995년에 폐선되었다. 124번의 제도 구간은 연산버스가 노선운영권을 가져가 대호교통을 설립하고 강서15번으로 대체되었다. 사실상 마을버스로 격하된 거나 마찬가지.
  • 현 124번은 부산광역시 대중교통과에서 북부산서면권을 연계해주고[4] 1004번 5대 감차[5]로 인한 불편을 메우고자 130번을 폐선시키고 이 노선을 신설하였다.
  • 본디 2014년 12월 개편에 123번 차량분 5대로 김해~강서구청~강서낙동강교(삼락IC)~백양터널~<현재노선>으로 개통하려 했으나 운행업체의 부정적인 반응과 노선경로 상의 문제[6]로 무산되었으며 2015년 상반기에 123번130번에서 5대씩 빼와서 총 10대로 신설할 예정이었으나 이 때도 성원여객은 1004번과 과하게 중복되는 124번 노선에 부정적으로 반응했다고 한다. 때문에 개통이 연기되어 2015년 10월, 금진여객 단독 노선신설로 결정되었다.
  • 2017년 11월 4일에 홈플러스 모라점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 일반버스 3대, 저상버스 7대로 운행한다.
  • 정책노선이며 U턴이 정말 많은 노선중 하나다.[7]
  • 홈플러스 모라점을 경유하는데 31번, 148번, 338번 등 모라주공을 종점으로 삼는 노선처럼 운행한다. 문제는 김해 방향으로 U턴이 하나 더 생겼다는 것이다.
  • 시간이 지나면서 김해시민들의 혼란이 어느정도 줄어들고 폐선된 구.130번처럼 김해에서 구포역구포시장으로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덕분에[8] 구.130번 운행 시절의 수요를 거의 흡수하였다. 김해~선암다리~구포시장 구간 수요가 제법 존재한다.
  • 당감동 구간의 주민들도 동평로를 질주하여 가는 124번의 노선 경로를 파악하기 시작하여 당감동에서 백양터널을 통과하여 신모라사거리덕천동, 구포시장 쪽으로 가는 수요까지 상당히 늘었다. 그 외에 국제백양아파트~부암교차로 간 이용승객도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구포시장에서 국제백양아파트, 당감동 일대까지 한해서 이용승객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 반면에 부암교차로 이남부터는 여전히 공기수송중이다. 가축수송으로 몸살을 앓는 사상6번의 당감동 국제백양아파트/화인아파트에서 서면까지의 수요가 분산되어 수요창출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잠정수요가 큰 폭으로 반감되고 있다. 이유는 서면까지 가지만 1004번처럼 관문대로로 가는 것도 아니고 17번, 23번처럼 진양교차로로 가는 것도 아니다. 어떻게 가냐면 이들 중 가장 최장거리인 사상6번/88번(당감동~부암교차로~진구청~서면)과 같은 루트로 가는 것도 모자라서 부산시민공원남문~부전시장으로 빙빙 돌아간다. 그래서 소요시간이 심각하게 길다.[9] 더군다나 서면의 네오스포로 어지럽게 회차하는 방식도 경미하게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때문에 서면까지 가는 수요는 아예 없는 수준이다.
  • 2016년 4월 23일 개편으로 1004번이 더 이상 대저안동네로 들어가지 않게 되면서 대저안동네에서 수요가 꽤 많이 늘어났다.
  • 구산동이나 삼계동에 사는 사람이라면 김해대로에서 LED를 끈 채로 돌아다니는 버스를 자주 볼 수 있는데 금진여객 차고지에 CNG 충전소가 없기 때문에 충전을 하러 가는 것. 이것은 운수사가 같은 128-1번도 마찬가지이며, 차고지에서부터 한림면까지 왕복 8km가 넘는 거리를 공차회송한다(...).
  • 시외권역 노선들 중 부산진구 범전동(부산시민공원 남문)과 부전역 후문을 양방향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그러나, 범전동 구간은 가장 수요가 없는 구간이다. 2016년 5월 21일 개편으로 103번연제공용차고지로의 노선연장과 동시에 범전동 구간을 철수하게 되어 서면 방향으로도 124번이 단독구간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그래도 승객 수는 거의 없다시피하다.
  • 2017년 3월 기준으로 최근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으로 동해선을 이용하는 승객들과 부전시장에서 이용하는 승객들도 제법 생기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서면구간은 아직도 공기수송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운송수입금으로도 여전히 구.130번에 훨씬 못미치는 수준이다. 구.130번은 1일 대당 38~39만원대를 기록했으나, 이 노선은 여전히 28~30만원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1009번과 운송수입금차이가 얼마안난다.
  • 2017년 기준 일평균 이용수는 3039명[10]으로 폐지된 130번이 2015년 기준 일평균 이용객수 6170명[11] 이였던 걸로 따지면, 딱 절반 밖에 안 되는 수준이다. 2018년 4월 기준 대당 운숭수입금 30만원에 대당 승객수 323명으로 집계되었다. 2018년 6월에는 대당 313명 운송수입 29만원을 찍었다. 11월에는 이용객수 3198명, 운송수입 30만원을 찍었다. 자사노선인 1009번은 이용객수 1187명, 운송수입금 29만원이라 운송수입금은 차이가 얼마 안난다.
  • 대저안동네 구간에서는 구포시장 환승센터를 비롯하여 구포시장동문과 구포시장남문 정류장까지 모두 경유하니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로 가고 싶으면 이 노선을 이용하면 된다.
  • 여담으로 이 노선 차내 노선안내도에 부암역 2호선 마크가 아닌 1호선 마크가 표기되어있다.


4.1. 논란 및 문제점




4.2. 노선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4번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신천대로'''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
▲ 부산진초등학교
'''가야대로'''
'''중앙대로'''
부전시장 ▼
'''중앙대로'''
송상현광장 ▼
▲ 부전역
'''범전로'''
부산시민공원남문 ▼
▲ 동해선 부전역
'''시민공원로'''
부산진구청 ▼
▲ 부산진중학교
'''새싹로'''
부암고가교 ▼
▲ 부암교차로
'''동평로'''
개원초등학교 ▼
▲ 백양로교회앞
'''백양관문로'''
모라주공3.4단지 ▼
▲ 국제프라자아파트
'''모라로'''
모라주공1단지 ▼
▲ 모라주공3.4단지
'''모라로110번길'''

▲ 홈플러스
'''모라로'''
모라새마을금고 ▼
▲ 신모라입구
'''백양대로'''
구포시장 ▼
▲ 덕천교차로
'''낙동대로'''
강서구청역 ▼
▲ 북구청
'''낙동북로'''
강서구청 ▼
▲ 강서구청역
'''대저로'''
부산교도소 ▼
▲ 중리입구
'''낙동북로'''
불암역 ▼
▲ 대사리1구
'''김해대로'''
금강병원 ▼
▲ 김해시청
'''가락로'''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 둘러보기 #==




[1] 지정된 막차시각은 23:10이지만 교통상황으로 인하여 23:30~23:35 경에 회차하기도 하며, 구포역에도 00:10 경에 도착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고 한다.[2] 공휴일 9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3] 2004년에 태영버스에 인수되었다.[4] 공지에는 원도심이라 써 있는데 이 노선은 원도심을 지나지 않는다.[5] 이 5대는 2014년 12월 27일에 개통된 1005번에 투입되었다.[6] 강서낙동강교~백양터널은 엄연히 중앙고속도로의 일부이다. 입석버스는 자동차전용도로를 이용할 수 없다.[7] 몇 곳은 좌회전 금지구간이 있기 때문이다. 강서구청, 북구청, 신모라사거리, 부암교차로, 삼전교차로에서 U턴한다. 이중 강서구청, 신모라사거리에서는 양 방향 U턴을 하므로 한번 운행할때 유턴만 7번 한다. 게다가 경원고 앞 삼거리(백양터널어귀 삼거리)에서 좌회전 할 때 말이 좌회전이지 유턴에 가깝다. 사실상 8회 유턴. [8] 구포역은 거의 동의하지만 구포시장은 호불호가 갈리는편인데 구포대교에서 구포역 방면으로 빠지는 진출램프가 없는 관계로 저 멀리 북구청까지 가서 유턴해서 돌아와야해서 시간이 조금 걸리는 편이다. 그래도 P턴으로 편도회차하는 방식보다는 신호대기가 적게 걸려서 빠르긴 하다. 다만 덕천초등학교 방면 구포시장 입구 방면이 주 목적인 승객들은 127번이나 128-1번을 타는 것이 좋다.[9] 때문에 당감동에서 서면으로 빠르게 가려는 승객들은 부암교차로에서 다른 노선들로 환승하여 가는 편이다.[10] 평일 기준으론 3200여명 이다.[11] 평일 기준으론 6400여명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