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철
奇轍
(? ~ 1356)
1. 개요
고려 후기의 권신, 간신. 몽골식 이름은 기바얀부카(奇伯顔不花). 본관은 행주(幸州).
당대 패권국가이었던 원나라에 붙어먹은 부원배이다. 누이동생은 기황후. 전대의 홍복원과 함께 고려사의 최악의 매국노로 유명하다.
2. 생애
고려 충혜왕 시기의 무신인 기자오(奇子敖)의 아들이다.[1] 기자오는 5남 3녀를 낳았는데, 막내딸이 원혜종의 황후였던 기황후다. 원나라의 공녀로 차출된 기황후는 메르키트 바얀의 실각으로 제2황후에 책봉되고[2] , 죽은 아버지 기자오는 영안왕(榮安王)에 추존된다. 그의 오빠인 기철 또한 원나라의 행성참지정사(行省參知政事)에 임명되었으며, 고려로부터 덕성부원군(德城府院君)에 봉해졌다. 황후의 권세를 통해 권력을 쥐게된 기철과 그의 형제들은 날이 갈수록 교만해지고 포악해졌으며,[3] 권력남용에다 덤으로 토지를 무단으로 강탈하는 등의 횡포를 일삼았다.
그러다가 자신의 왕 충혜왕이 엄청난 폭정과 잔인한 만행들을 일삼자 원나라에 도움을 요청하여 충혜왕을 폐위시키는데 앞장섰고 훗날 원나라가 쇠퇴하자 그는 자신의 권력을 지키기 위해 친척과 측근들을 요직에 앉히고 역모를 꾸민다. 그러나 1356년 공민왕의 배원(排元) 정책으로 인해 권겸(權謙), 노책(盧頙) 등과 함께 살해당하고 만다. 당시 공민왕에게 초청되어 궁궐에서 연회를 열던 도중 권겸과 함께 철퇴에 맞아 끔살당했다. 그의 악명이 얼마나 높았는지 시신은 공민왕에 의해 저잣거리에 버려져 방치되었고, '''흥분한 백성들이 그의 시신에 달라들어 칼로 난도질해 심하게 훼손되었다고 한다.''' 그 때 공민왕은 기철은 물론 '''기철의 형제와 아내와 자식들까지 한꺼번에 몰살시켰으며'''[4] 기철과 결탁하여 권력을 함부로 휘둘렀던 측근들까지 죄다 쓸어버렸다고 한다. 당시 철저한 반원 정책을 펼치던 공민왕에게 기철은 그야말로 눈엣가시이자 자신의 정책에 있어서는 최악의 걸림돌이었으니 어찌보면 정말로 당연한 결과. 다만 이때 기철 일가가 모두 몰살당한 건 아니었고 당시 고려에 없었던 기철의 아들인 기사인테무르(奇賽因帖木兒)가 살아남아 요동성의 군벌이 되었으나 공민왕의 제1차 요동정벌 때 고려군에게 패하여 몽골로 도주한다. 그외에 기철의 어머니 또한 살아 남았다.
원나라의 수도인 대도에 있던 기황후는 오라버니 일가의 전멸에 분노해 충선왕의 서자인 덕흥군 왕혜(王譓)를 국왕으로 옹립하려던 최유에게 1만 군사를 주고 덤으로 자신의 조카인 기삼보노(奇三寶奴)[5] 를 세자로 삼아 고려를 치게 하지만 최영과 이성계에 의해 개발살나며 패주한다.
3. 가족관계
4. 대중매체
2005년에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신돈>에서 등장. 배우는 이대연. 악랄하지만 뭔가 심하게 모자란(?) 간신배 연기를 맛깔나게 해냈다. 1화부터 29화까지 등장했으며, 공민왕(정보석 분)의 지시를 받은 정세운(김명국 분)과 김용(윤철형 분)[7] 의 칼날에 목이 떨어졌다.
2012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 신의에서도 유오성이 맡아 열연했었다. 상당히 위압감 넘치고 무섭다.
[1] 정확히는 둘째 아들로 장남은 기식이나 이쪽은 일찍 죽어서 기철이 실질적인 장남. 그 외에 기원(셋째)과 기주(넷째), 기윤(막내)이 있다.[2] 원래 메르키트 바얀은 철저한 몽골주의자였다. 몽골인이 아닌 기황후를 황후로 삼을 수 없다며 데려온 인물이 몽골의 명문가 옹기라트 가의 딸 바얀후투그 황후다. 그러나 바얀후투그가 1365년에 숨을 거둠으로써 기황후는 제1황후에 책봉된다. 드라마 기황후에서도 묘사가 되어있는데, 드라마와는 전혀 달리 원혜종을 압박해 책봉된 것이다.[3] 원나라 공주인 덕녕공주조차 현 황후인 기황후보다 권위가 약했기에 기철을 막아내기가 어려웠다.[4] 동생 기원은 앞서 조일신의 난 때 사망했다.[5] 기철의 아들인지는 불명이다.[6] 왕후의 아들.[7] 김용이 자신에게 칼을 들이댈 줄은 예상도 못했다는 듯이 김용에게 "'''지금까지 자네가 해달라는 것은 다 해 주지 않았느냐'''"라고 하다가 거꾸로 김용의 칼에 베여 쓰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