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복원

 


洪福源
1206년(희종 2) ~ 1258년(고종 45)
1. 개요
2. 가문
3. 생애
3.1. 몽골에 투항
3.2. 몽골에 빌붙다
3.3. 처참한 말로
4. 후손
4.1. 아들 홍다구
4.2. 손자 홍중희
4.3. 손자 홍바투르
5. 같이보기


1. 개요


고려의 간신이자 역신(逆臣), 매국노. 본관은 남양(南陽)[1]. 현대의 시각에서 본다면 민족반역자. 초명은 홍복량(洪福良). 홍다구는 그의 아들이다.

2. 가문


1218년(고종 5년) 고종강동성 전투가 발발할 당시 몽골 제국, 동하가 개입하여 처음으로 몽골이 고려에 들어왔는데 당시 아버지 홍대순이 인주도령으로 재직 중 몽골에 투항 및 항복하면서 이때부터 홍씨 가문과 고려의 질긴 악연이 시작된다.[2]

3. 생애



3.1. 몽골에 투항


홍대순의 아들인 홍복원은 신기도령을 지내면서 1231년(고종 18년) 권황제 겸 몽골군 총사령관 살리타이의 1차 침입시 몽골에 투항하여 항복했고 1차 침입이 있은 이후 다루가치가 서경, 개경 등 2경과 북계 주변에 곳곳에 설치되었는데[3] 당시 다루가치가 무기를 휴대하고서 고려인을 겁박하고 피해를 끼치는 사례가 많자 서경의 고위층 내부에서 다루가치 살해 음모를 꾸몄고 이 당시 서경낭장의 지위에 있으며 영향력을 행사한 홍복원은 서경 주민들의 불안감[4]을 조성하면서 서경 주민의 난을 조장했다.
이처럼 몽골의 철병 이후 꾸준히 그들과 연락을 취하며 재침이 있을 것을 확신하고 각 주군의 고려 사람들을 끌어모아 살리타이의 군대와 합세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등 주도면밀함까지 보였다. 종합하면 서경의 민심을 조장하여 항전 개입을 차단시켰고 유사시 바로 전투에 돌입하도록 별동대를 조직한 것이다.

3.2. 몽골에 빌붙다


이후 살리타이의 2차 침입시 같이 세력을 합쳐 고려를 침탈하는 행위를 본격적으로 자행하기 시작했는데, 앞잡이 및 길안내 역할을 하며 당시 고려의 지리를 잘 몰랐던 몽골의 침입을 도와 준다. 헌데 이때 살리타이김윤후에게 저격당하며 2차 침입이 막을 내렸는데 나머지 사후 처리[5] 문제를 전적으로 홍복원에게 일임하여 총책임자로 만들었고 홍복원은 서경을 아지트로 두면서 필현보 등과 서경의 몽골군과 합세하여 반란을 일으켜 몽골에 투항하고 서경을 몽골군에게 바쳤다. 이 때문에 고려인들과 최우 밑에서 일하는 도방의 가신들은 홍복원을 '''주인 보고 짖는 개'''라고 욕했다고 한다.
그러나 1233년(고종 20년) 12월 마침내 고려로부터 퇴출되어 필현보는 죽고 본인은 교활하게 1,500호를 이끌고 몽골에 귀부하며 항복했는데[6] 이 때 귀주를 비롯한 서경도호 예하의 40여 성을 들어다 몽골에다 갖다 바쳤다.[7] 몽골은 홍복원이 들어다 갖다 바친 땅을 심양로(瀋陽路)에 편입시켰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고려군민만호, 안무고려군민총관 직위를 제수 받고 데리고 온 1,500호의 관리 및 차후 몽골로 귀부하는 고려인에 대한 모든 관할권을 부여받아 옛 동경로의 수부(首府)가 위치했던 요양에 총관부를 설치하여 이민 업무를 담당하고 요양 - 심양 등지의 고려민을 다스렸다. 그는 매양 고려를 침탈해야 한다는 등, 고려가 몽골을 얕보고 있다는 등 온갖 참소를 하여 여-몽 관계를 이간질시키는데 한몫을 했다.
이후 몽골은 고려를 침탈할 때면 늘 홍복원과 영녕공 왕준[8]을 데리고 가서 길잡이 역할을 시켰고 고려는 홍복원의 이 같은 만행에 이를 갈다 못해 어떻게든 홍복원을 회유하고 달래기 위하여 앞서 '반역의 무리'라며 구금된 아버지 홍대순을 대장군 직위에 동생 홍복순은 낭장 직위를 주었고, 장위를 홍복원의 사위로 삼아 뇌물을 보내는 등 달래기 위해 애를 썼으나 그의 악행은 거기서 그칠 줄을 몰랐다.
이 같이 사악하고 납득하기 어려운 그의 행적을 두고서 고려사에선 '주인을 무는 개'라는 표현을 쓰는 등 깎아내렸고 실제로 반신 열전에 포함되어있을 정도로 악랄한 자였다. 툭하면 분쟁을 사주하고 항복하거나 월경한 고려민을 지배하는 등 당시 불편한 여-몽 관계에서 중간 이득을 취한 좀도둑 같은 인간이었다.

3.3. 처참한 말로


나중에는 영녕공 왕준과 사이가 벌어져[9] 영녕공 왕준을 업신여기고 모함하다가 몽골 황족인 왕준의 아내(칸의 딸이자 공주)에게 딱 걸려 몽골 조정에 고발되었다. 몽케 칸은 그 즉시 홍복원의 제거를 명했으며 이를 알고 기겁하며 도망치려다 그만 장사 수십 명에게 몽둥이로 '''박살(撲殺)''' 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10][11]
드라마 무신에서 홍복원이 나오는데 배우 이원재가 연기했다. 그야말로 역사 그대로 비굴하고 악랄한 인물로 나왔다.

4. 후손



4.1. 아들 홍다구



한편 그는 홍다구, 홍군상[12], 홍웅 등의 아들을 두었지만 홍다구는 아버지보다 더 악랄한 인물이 되어 홍씨 가문과 고려의 악연은 3대째 이어진다. 아버지의 비참한 죽음으로 고려에 반감을 품었던 아들 홍다구는 이후 관령고려군민총관이 되어 아비의 지위를 물려받고 1258년(고종 45년) 자랄타이와 고려를 침공한 이후부터 원종 재위시기 삼별초의 난, 일본 정벌 등 굵직한 역사적 사건에 깊게 관여했다.
한 가지 실례로 삼별초의 난을 진압했을 때 삼별초군의 왕인 승화후 왕온을 직접 잡아 죽였으며, 1차 일본 정벌 이후 1278년 (충렬왕4년) 정동원수의 자격으로 당시 삼별초의 난 진압으로 명망있던 김방경을 참소하고 고문한건 유명하다. 그는 김방경이 삼별초의 난 진압 후 무기를 숨겨두어 반란을 꾀했다는 등 거짓 자백을 받아내려 하였고 이를 빌미로 남부 지역에 둔전군을 더 주둔시켜 개경 정부를 견제해야 한다고 원나라 중서성에 건의를 올렸다. 실제 홍다구는 고려 왕실에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어 이외에도 여러 번 고려 측을 참소하며 경계한 강경한 부원파 세력이였다.

4.2. 손자 홍중희


홍다구의 아들 홍중희 역시 고려와 악연을 맺은 인물이다. 충선왕원무종 카이샨의 어머니 흥선태후(다기)와 협세하여 무종 옹립에 공을 세워 심양왕(심왕)에 봉해지자 홍중희와 여러차례 트러블을 빚었는데 그 이유는 요동 등지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이미 토호 세력으로 자리잡은 홍중희의 입장에서 볼 때 심왕을 경계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결국 "입성책동"을 주장하며 정동행성을 폐지하고 원의 내지화를 주장했고 고려왕, 심왕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은 옳지 않다고 하여 충선왕을 여러차례 견제한다. 실제로 심왕은 이름 뿐인 명예직이 아니며 고려 국왕보다 지위가 높았다. 이처럼 충선왕의 지분이 올라가자 시기하는 주변의 세력은 한둘이 아니었던 것이다.

4.3. 손자 홍바투르


홍웅의 아들 홍바투르(洪波豆兒)는 삼촌 홍다구, 사촌 홍중희와 달리 개념있는 인물이었는데, 일본 원정을 위한 군선 건조를 감독하기 위해 고려에 왔을 때 고려 왕궁을 바라보고는 말에서 내려 눈물을 흘리며 말하기를, "비록 금의환향(衣錦還鄕) 하지만 맡은 일이 백성을 수고롭게 하는 것이니 부끄럽다." 하였다고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다.

5. 같이보기



[1] 당홍계.[2] 홍씨 가문은 대대로 인주(麟州, 현 평안북도 의주군)를 관할하던 지방토호 수령가문이었다.[3] 살리타이가 철병 조건으로 설치한 다루가치이다. 원사에는 72인이 설치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고려 말 유학자 이제현은 저서 역옹패설에서 72인은 지나치게 많으며 다루가치 설치는 믿을 수 없다며 반론했다. 수치는 믿을 수 없으나 당시 고려사 기록으로 볼 때 다루가치는 몽골군에 의해서 확실히 설치되었다.[4] 다루가치 살해는 대몽 외교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다. 당시 몽골 1차 침입시 고려인을 잔인하게 살육하며 유린했는데 살리타이가 재침을 하기 위해 도강을 준비한다는 뜬소문이 돌자 대다수 주민이 아비규환에 빠질정도로 정신을 못차렸고 이때 최우강도로 수도를 천도해 방어(배수진)에 들어갔다. 헌데 개경의 이같은 자구책은 서경인들이 보기엔 그닥 안 좋았을 것이다.[5] 몽골에 투항한 고려인, 내부한 성의 관리 등.[6] 이후 서경 주민을 전부 해도로 입보시켜 서경은 황무지가 되었음.[7] 원사신원사 지리지에 그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8] 정간왕의 후손으로 삼별초에 의해 왕으로 옹립됐던 승화후 왕온의 동생. 태자라고 속이고 불모로 몽골에 갔다. 그러나 태자가 아니라는 게 들켜 그냥 몽골에 정착하게 된다.[9] 왕준에게 홍복원이 가지고 있던 몽골 영내의 고려인들에 대한 관리권을 주었다. 이 일로 사이가 멀어졌다.[10] 어찌나 처참하게 처맞았던지 그의 사체에서 탈장이 된 장기들이 그대로 드러났을 정도였다고.[11] 그의 비참한 최후는 이후 아들 홍다구가 고려를 원망하여 악랄한 만행을 저지르는 배경이 된다.[12] 홍복원, 홍다구와는 달리 원나라와 고려를 오가며 고려를 도와 고려의 공신으로 책봉되기도 한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