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선
1. 서적
東文選.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우리나라 역대 시문선집으로 총 세 종류가 존재하고 있다.
1.1. 서거정의 동문선
1.1.1. 개요
동국통감, 동인시화, 필원잡기, 태평한화골계전, 오행총괄, 사가집, 경국대전 서문 등을 편찬한 서거정이 성종 9년(1478년)에 성종의 명을 받아 우리나라 역대 인물들의 시문들을 모아 편찬한 국가 시문집. 총 133권 45책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김인문, 설총, 최치원, 김부식, 이규보 등 신라시대의 인물들부터 시작하여 조선 초기의 위인들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역대 500인의 작품 총 4302편을 수록했다.
동문선의 주요 특징은 작품 선정에 있어 그 저자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쓰거나 검열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조선 유학자의 입장에서 보면 배은망덕한 간신인 최충헌 부자를 미화하고 찬양한 시문이나 숭유억불적 사상에 크게 문제가 되는 원효(元曉)의 불서 서문이나 기타 승려 29인의 작품 82편 등이 모두 수록되었다.
구성은 크게 권1∼3까지가 사(辭)와 부(賦), 권4와 5는 오언고시, 권6에서 8은 칠언고시, 권9에서 10은 오언율시, 권11은 오언배율, 권12에서 17은 칠언율시, 권18은 칠언배율, 권19에서 22는 오언, 칠언, 육언절구, 권23에서 30은 조칙(詔勅)과 교서(敎書), 제고(制誥), 책문(冊文), 비답(批答), 권31에서 45는 표전과 비답, 권46에서 48은 계(啓)와 장(狀), 권49에서 51은 노포(露布), 격서(檄書), 잠(箴), 명(銘), 송(頌), 찬(贊)이다.
이후 권52에서 56은 주의(奏議)와 차자(箚子), 기타 잡문, 권57부터 63까지는 서독(書牘), 권64부터 95까지는 기(記)와 서(序), 권96에서 98까지는 설(說), 권99는 논(論), 권100과 101은 전(傳), 권102와 103은 발(跋), 권104는 치어(致語), 권105는 변(辯), 대(對), 지(志), 원(原), 권106은 첩(牒)과 의(議), 권107은 잡저, 권108은 책제(策題)와 상량문, 권109에서 113까지는 제문과 축문, 소문(疏文), 권114는 도량문(道場文)과 재사(齋詞), 권115는 청사(靑詞), 권116부터 121까지는 애사(哀詞), 뇌(誄), 행장, 비명(碑銘), 권122에서 130까지는 묘지(墓誌)이다.
삼국시대부터 조선 초까지 우리나라 역대 위인들의 주요 작품들을 최대한 원형 그대로의 모습으로 방대한 양을 현재까지 물려주었다는 점에서 한민족사에 있어 일대 쾌거로 여겨지고 있으며, 후세에 있어 매우 값지고 소중한 문화재로 평가받는다. 예를 들어 삼국사기의 표문인 진삼국사기표의 내용도 오직 동문선을 통해서만 전해진다. 서거정이 동문선에 이 표문을 싣지 않았다면, 당장 우리나라 현존 최고의 역사서인 삼국사기도 표문조차 전해지지 않는 책이 되었을 것이다.
[image]
1.1.2. 바깥고리
- 한국고전종합DB에서 동문선 번역본을 볼 수 있다.
1.2. 신용개, 김전, 남곤의 속동문선
1.2.1. 개요
조선 중종 13년(1518)에 신용개(申用漑), 김전(金詮), 남곤(南袞) 등이 서거정이 지은 동문선의 뒤를 잇는다는 취지에서 편찬한 국가 시문집. 총 23권 11책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성종대부터 중종 연간까지의 중요 문학 작품들을 분류, 수록한 것으로 문체 종류는 37종, 작품 수는 1281편이다.
서거정의 동문선과 구분되는 특징은 속동문선이 편찬되던 당시는 사림 계열의 진출이 있던 시기로, 내용면에서 기존 동문선이 신라, 고구려 때의 불교와 관련된 문헌이 풍부하게 실려 있었던 것에 반해 완전히 유교문화 중심 체제의 작품만을 수록한 것이 주요 특징이다. 또한 기존 동문선에는 큰 문제 없이 실려 있던 중국에 보내는 표문(表文)들이 속동문선에서는 모두 제외되었데, 이는 사림 진출 초기 이들이 가지고 있던 자주적이고 독자적인 편찬의식을 살펴볼 수 있음과 동시에 속동문선은 기존 동문선과 달리 상당한 취사선택과 검열이 있었음도 알 수 있다.
1.2.2. 바깥고리
1.3. 송상기의 신찬동문선
1.3.1. 개요
조선 숙종 39년(1713)에 송상기(宋相琦) 등이 동문선, 속동문선의 뒤를 이어 편찬한 국가 시문집. 총 35권 15책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당시 중국 청나라에서 조선에 고문연감(古文淵鑑), 패문운부(佩文韻府) 등 300여 권의 주요 중국 책들을 선물로 보내면서 양국의 우애로서 조선의 작품들 또한 보내달라 청함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당시 조선 왕실에서 북경에 보내기 위해 편찬한 시문집이다.
당시 국내에 반청의식이 매우 강하여 대부분의 조선 작품들이 혐중사상과 반청사상을 강하게 내포했기 때문에 청나라의 심기에 거슬리지 않는 문장들을 뽑느라 크게 고생했다는 일화가 있다.
청나라의 요구로 만든 것이었기 때문에 청나라에 보따리 싸 보낸 후 우리나라에서는 신경 끄고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다. 때문에 중국에서의 유명세와는 달리 정작 국내에서는 언급이 거의 없고 알려지지도 않았던 책이다.
1.3.2. 바깥고리
2. 출판사
1984년 신성대 대표가 설립한 출판사.[1] 위 서거정의 동문선과는 관계가 없는 듯 관계가 있다.
처음 신 대표는 '글을 가려 뽑는다.’는 의미에서 출판사의 이름을 ‘문선(文選)’이라고 지을 생각이었는데, 중국에 같은 제목의 책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 ‘우리나라’를 의미하는 ‘동(東)’자를 하나 덧붙여 이름을 지었다. 그런데 사람들에게 '도서출판 동문선 대표'라며 소개하자 많이 들어본 출판사라며 반겼다고 한다. '신생출판사인데 어떻게 들어 봤다는거지?'라며 궁금해한 대표는 나중에서야 위의 동문선이 존재한다는걸 알게 되었고 부끄러움을 느끼며 이름에 걸맞는 출판사가 되겠다고 결심하였다고 한다.#[2]
출판사의 대표적인 시리즈 작품으론 문예신서와 현대신서 시리즈들이 있다. 위 결심의 산물로 출간하고 있는 시리즈로 인문학도, 철학과생이라면 몇번 책장을 뒤적여 봤을 법한 책들을 내고 있다. 롤랑 바르트, 자크 데리다, 질 들뢰즈 등 프랑스 현대철학서적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다만 실제로는 저작권 법이 바뀐 시기에 저작권 계약을 독점해서 이득을 본 것이라는 설이 일반론이다. 돈이 안 된다고 하지만, 해당 이론가들의 핵심 저서이기 때문에 주요 도서관에는 반드시 비치되어야 하는 책들[3] 이었고, 이 경우 저작권 계약+번역료+출판사 내부 비용을 제해도 상당히 남는 장사가 됐던 것. 연구자들 입장에서도 동문선이 한국 판권 계약을 했기때문에 어쩔 수 없이 계약해서 냈던 경우가 허다하다. 실제로 동문선의 번역 퀄리티는 악명이 자자하고, 교정교열도 거의 유명무실한 수준. 애초에 동문선 대표는 극우파 인사에 가까운데도 불구하고, 동문선에서 나오는 번역서는 대부분 극좌파, 혹은 중도좌파 정도의 사상가들을 다룬다. 역으로 심도 깊은 현대 우파 사상가들의 책은 거의 내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4] , 동문선의 주장과 실제 출간 맥락 사이에는 거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마디로, 동문선이 저작권법이 바뀌던 시기에, 팔릴 것 같은 책들 중 저작권이 싼 책들을 덮어두고 다 싹쓸이 계약을 했는데, 계약하고 보니 좌파 철학자들 책이여서 좌파 철학자들 책을 내고 있다는 아이러니가 철학계에서는 거의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십팔기보존회의 입장에 입각한 무예서도 발간하는데, 이 책들에 대한 역사왜곡은 꽤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검증되지 않은 내용을 마치 사실인냥 서술한다거나 타 무술단체에 대한 원색적인 비난을 하는 등 여러모로 문제가 많다.
[1] 정확하겐 당시 출판사는 등록제였기에 정부의 허가 없이는 출판업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신성대 대표는 신문광고를 내 민속학자 심우성 선생의 '서낭당' 출판사 등록증을 사들여 개명하였다고 한다.[2] 인터뷰 기사를 보면 꽤나 솔직한데다 고집 뚜렷한 괴짜임을 알 수 있다. 오죽하면 인터뷰 기사는 '異人열전'이란 이름으로 실렸는데 월간조선에서 이인열전으로 검색되는 인물은 이 분과 '칭기스칸의 조상은 고주몽이다'(...)라는 전원철 변호사 둘뿐이다.[3] 주요 도서관, 대학, 연구자들이 구입할 경우 최소 1000부 이상 고정적으로 판매할수 있고, 해당 이론가 붐이 일 경우 2000부 이상 판매가 가능하다. [4] 개인차가 크지만 유명세와 무관하게 친좌파 성향의 학자들의 저작권이 훨씬 싸고, 우파 학자들의 저작권료가 훨씬 비싼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