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수원IC

 

'''동수원 나들목'''
'''東水原 나들목'''
'''East Suwon Interchange'''

인천 방면
북수원IC
← 6.1 km
[image]
영동선'''12'''
강릉 방면
신갈JC
4.9 km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관리기관'''
영동선

수도권본부 군포지사
'''개통'''
영동선
1991년 11월 29일
'''접속도로'''
(창룡대로)
1. 개요
2. 정체
3. 구조
3.1. 강릉 방향
3.2. 인천 방향
4. 역사

[clearfix]

1. 개요


'''영동고속도로 12번.'''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동고속도로 36 (이의동 807-9)에 위치한 영동고속도로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수원시에서 유래했다. 이 나들목을 이용해 43번 국도를 경유한 뒤 용인서울고속도로 광교상현 나들목으로 진출할 수 있다.
명칭이 동수원[1]인데, 수원시의 동부인 영통구에 위치해 있어 이렇게 지어진 듯보인다.[2]
신분당선 광교역광교차량사업소가 여기서 멀지 않다.
2001년 4월까지 이곳과 신갈 분기점 사이에 '''동수원 요금소'''가 있었다. 개방형으로 운영되던 왕복 4차선의 신갈안산고속도로 시절에는 동수원, 부곡 두 곳의 본선 요금소가 존재했지만, 왕복 6-10차선으로 확장공사하면서 요금 징수 방식을 폐쇄형으로 전환하며 사라졌다. 또한 이 시기에 동수원 나들목의 진출입로가 지금의 광교로 구간에서 현재 진출입로로 변경되었다.[3] '''동수원 요금소''' 터2009년 초까지 남아있다가 광교신도시의 개발로 철거되었다. 과거 위성사진
광교신도시 한가운데를 지나는 만큼, 광교신도시로부터의 수요가 엄청나다. 또한 용인시 수지구와 매우 가깝기 때문[4]에 수지구민도 자주 이용하는 나들목이다. 또한 수원시 영통동망포동수원신갈 나들목과 가깝지만, 매탄동광교동, 인계동, 우만동(수원), 연무동, 영화동(수원) 등은 대부분 여기와 신갈 분기점을 거쳐서 서울로 간다.

2. 정체


신갈 분기점 → 동수원 나들목 구간은 영동고속도로 최악의 정체 구간 중 하나이다. 특히 퇴근 시간대 정체가 심각한데, 마성 나들목 - 신갈 분기점 구간이 편도 5차로인 반면 광교터널은 편도 4차로인데다가 신갈 분기점와 동수원 나들목 진입 차량이 가세하기 때문이다. 신갈 분기점 자체도 경부고속도로로 들어가는 차량이 많아 정체가 뒤로 이어져 마성터널부터 시작되기도 한다.
광교터널만 통과하면 정체는 해소되지만, 신갈 분기점에서 동수원 나들목 구간을 지나는데만 20~30분이 걸린다. 문제는 이 구간을 마땅히 우회할 방법도 없어, 다른 선택지가 없다는 것. 굳이 우회도로를 찾자면 창룡문사거리를 지나 경수대로를 타고 북수원IC 방향으로 갈 수 있으나, 영동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것보다 두 배 이상 걸리며 사실상 자살 행위이다. 이런 사정 때문에 동수원IC의 진입이 아무리 어려워도 무조건 차량들이 여기로 모두 진입하여 엄청난 정체를 일으키고 있다.
동수원 나들목에서 북수원 나들목까지는 이미 갓길까지 모두 사용하여 편도 4차로를 간신히 확보해두어 그나마 광교터널만 지나면 정체가 해소되는 상황이다. 편도 3차로 시절에는 여기서부터 안산 분기점까지 막히는 위엄을 보여주고 있으며 4차로로 확장된 지금도 주말에는 신갈 분기점안산 분기점 전 구간이 정체 구간이다.
목적지가 상현동을 비롯한 수지 방면이라면, 차라리 마성IC 에서 미리 나와서 석성로를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구성동만 지나면 막히는 구간이 거의 없다. 그러나 이 우회도로가 점점 알려지며 통행량이 늘어나고 있는 중.
일단 이 구간의 정체 해소를 위해 수원북부순환로가 공사되어 9월 21일에 개통한다. 이 도로가 완공되면 마성 나들목 - 북수원 나들목 간 우회도로의 역할을 하게 될 예정. 그러나 북수원 나들목 - 안산 분기점 역시 편도 3차로이기 때문에 정체 구간이 서쪽으로 이동하게 될 뿐이라는 견해도 있다. 지금도 부곡 나들목 - 군포 나들목 구간이 상습 정체 구간이어서 안산 방면 이동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 구간은 현재 편도 3차로인 반월터널 의 확장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3. 구조


  • 고속도로 진입 방향
    • 2,3,4,5,7,8차로 하이패스 / 1,6,7,9차로 일반차로[5]
  • 고속도로 진출 방향
    • 1,2,6,7차로 하이패스 / 3,4,5,8,9차로 일반차로

3.1. 강릉 방향


  • 진출 가능 : 창룡대로 양방향, 용인서울고속도로 서울 방향[A]
  • 진입 가능 : 창룡대로 양방향, 용인서울고속도로 서울 방향[A]

3.2. 인천 방향


  • 진출 가능 : 창룡대로 양방향, 용인서울고속도로 서울 방향[A]
  • 진입 가능 : 창룡대로 양방향, 용인서울고속도로 서울 방향[A]

4. 역사


  • 1991년 11월 29일 신갈반월고속도로 신갈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6]
  • 1992년 4월 29일 신갈반월고속도로의 명칭이 신갈안산고속도로로 변경되었다.
  • 2001년 8월 25일 신갈안산고속도로가 영동고속도로에 편입됨에 따라 영동고속도로의 나들목이 되었다.

[1] 정작 경부고속도로수원신갈 나들목보다 서쪽에 있다. 수원시청과의 거리도 동수원 나들목이 가깝다. 이것은 경부고속도로 개통 당시인 1970년대에 수원 나들목이 위치한 곳이 허허벌판이어서 가장 가까운 도시인 수원시의 이름을 갖다 붙였기 때문에 이런 모순점이 생긴 것이다. '''일단 수원 나들목의 소재지는 수원시가 아닌 용인시다.''' 그래서 2015년에 수원신갈 나들목으로 개명한 상태.[2] 마찬가지로 북수원IC는 수원시의 북부인 장안구에 있고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서수원IC는 수원시의 서부인 권선구에 있다. 남수원 IC는 없고 남수원초등학교가 권선구에 있다.그럼 팔달구는 바로 수원시의 중심 수원역이 있다. 이 명칭들을 연결해보면 영통구는 동쪽 장안구는 북쪽 팔달구는 중심 권선구는 서남쪽과 딱 들어맞는다.[3] 동수원 톨게이트 5월부터 1100원 통행료 징수, 2001-03-29, 동아일보[4] 이곳에서 신갈분기점 사이를 지나가다 보면 아예 '''상현동 (광교신도시 상현동이 아니다!)의 아파트들이 보일 정도다.'''[5] 흔히 1차로부터 하이패스 차로인 경우가 많으나 여기는 1차로는 일반 차로다. 낚이지 않게 주의하자. 실제로 우리도 낚였다 7차로는 화물차 차선이므로 중복이다.[A] A B C D 창룡대로를 경유하여 간접연결된다.[6] 판교~구리 신갈~안산 수도권高速道 개통, 1991-11-30, 경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