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 울리히
1. 개요
스래시 메탈 밴드 메탈리카의 리더이자 드러머.
출생지인 덴마크 발음으로 이름을 읽으면 '''라스 울래그''', 주 활동지인 미국식 영어 발음으로 '''라즈 얼리크'''[1] , 동명이인이 가장 많은 독일식으로는 '''라스 울리히'''라고 발음한다. 전세계에 흔해빠진 게르만-노르딕 계열 이름 중 하나로 발음에 별로 일관성이 없으며 동아시아권에서는 주로 독일식으로 읽는다.
조부 때부터 테니스를 하던 가문에서 태어나 테니스 선수로 길러졌다. 코펜하겐에서 딥 퍼플의 공연을 보고 음악에 큰 흥미를 보였으며, 이 때 처음으로 자신의 드럼을 갖게 되었다. 1980년 미국으로 이주하였는데, 라스는 덴마크에서 동연령대 10위권에 드는 우수한 선수였으나 미국의 고등학교 테니스 팀에서는 주전에 드는 데 실패한다. 그는 이 때 테니스를 포기하고 음악을 하기로 결심하게 된다. 라스의 아버지는 테니스 선수임과 동시에 재즈 광이었고, 라스의 대부는 유명한 재즈 색소포니스트 덱스터 고든(Dexter Gordon)이었다. 라스는 책장 여러개 분량의 메탈 음반들을 모으기 시작했고, 1981년 제임스 헷필드를 만나 메탈리카를 결성하였으며, 이후 공백 없이 현재까지 메탈리카의 원년멤버로서 리더이자 드러머를 맡고 있다.
현재 시점에서는 상당히 의외이나, 80년대 초중반까지 라스는 멤버 중 가장 잘생긴 편에 속해 대외적으로도 비주얼 담당이었다. 노래와 멘트는 프론트맨인 제임스가 하지만, 공식석상에서 이런저런 얘기를 하는 것은 리더인 라스였다. 기자 상대를 굉장히 귀찮아하는 투로 느릿느릿 흘려 말하는 다른 세 멤버와 달리 밝은 표정과 또렷한 말투로 인터뷰에 성실히 임하는 편이었다. 다만 키가 166cm로 멤버 중 최단신.
2. 성격
젊을 때는 말수가 썩 많지 않은 다른 멤버들을 대신해 카메라 앞에서 혼자 종알종알 떠드는 수고를 많이 했다. 유머감각은 썩 좋지 않으나 웃겨보이는 행동을 하는 것을 좋아하고, 말하는 것을 좋아해 콘서트에서도 은근히 마이크를 많이 잡는 편. 고향인 덴마크에서 공연을 하면 괜히 공연 중에 한 번씩 마이크를 잡고 덴마크어로 농담을 하기도 한다.
성격이 워낙 강해서 젊은 시절에는 종종 독재형 리더 성향을 보였고, 멤버들과 마찰이 잦았다. 1982년 머스테인과 함께 협작하여 론 맥거브니를 반강제로 탈퇴시키는데 일조하고 1983년에 데이브 머스테인을 굴욕적으로 방출한 주동자가 라스였다. 1986년에는 다른 세 멤버로부터 쫓겨날 위기에 처했으나 현재까지 있는 이유는 1986년 10월 Damage Inc. 투어 중 스웨덴에서 덴마크로 이동하던 밴드 버스가 전복되어 베이시스트 클리프 버튼이 사망해 모든 사소한 문제들을 다 잊기로 한 것 때문.#
이외에도 라스는 밴드 내적으로 몇몇 문제의 중심에 있었다. 1988년 1월 ...And Justice For All 앨범 믹싱 과정에서 자기 트랙이 더 멋지게 들리게 하려고 제이슨 뉴스테드가 녹음한 베이스 트랙 볼륨을 음소거하다시피 한 것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후에도 계속 불화의 중심에 서며 이는 결국 제이슨 뉴스테드의 탈퇴의 주 원인 중 하나가 된다. 제임스가 알콜 및 기타 중독으로 재활원을 거치며 밴드 전체가 심리적 재활 프로그램에 들어갔으나, 이 때도 라스는 성질을 죽이지 못하고 멤버들과 숱하게 투닥거렸다. 제이슨 탈퇴 직후에 했던 인터뷰나 영상을 보면 성숙한 어른의 언동이 아니라 어린아이가 응석부리는 것 같은 모습이었고 제이슨에게는 탈퇴로부터 15년이나 흘러서야 사과했다.
프론트맨인 제임스와의 마찰도 어느 정도 있었는데, 2000년대 이전에는 주로 음악적 성향 차이로 마찰이 일어난 반면 밴드의 혼란이 최고조에 달한 St.Anger 때부터는 개인적인 마찰도 일어나는데, St.Anger 제작 다큐멘터리 Some Kind of Monster에서 잘 드러나 있다. 제임스는 최대한 성질을 죽이며 화를 참는 모습을 볼 수 있지만 라스는 불만을 여과없이 그대로 내보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최근에는 합주중 로버트 트루히요와 불화가 일어나는 영상이 올라오기도 했는데, 사소한 일로 금방 끝나긴 했지만 역시 유들유들하게 넘어가는 로버트와 반대로 끝까지 불만을 표출하는 모습이 드러난다.
3. 역량
프로 드러머이긴 하지만, 그의 드럼 실력에 관해서는 팬들이나 뮤지션 사이에서 논란이 다분하다. 대체적으로는 동시대에 활동했던 타 헤비메탈 밴드들의 드러머에 비해 기량이 많이 떨어진다는 평을 내리는 편인데, 이에 대해 본인의 변을 들어보자.
바이오그래피에서 알 수 있듯 그는 단순히 음악에 열정을 가지고 드럼을 취미로 하던 덴마크의 유소년 테니스 선수였다. 전문적인 트레이닝은 받지 않았으며, 드러머가 되기로 마음먹은지 1년만에 밴드를 결성하고 2년만에 데뷔 앨범을 내게 된다. 이후 연속 대박을 내며 커리어가 진행되는 와중에도 그의 기량은 연습 태만과 노력 부족으로 늘 제자리걸음이었고,[2] 이로 인해 동시대 최정상급 메탈 밴드의 드러머[3] 들과 비교하기 죄송한 실력으로 늘 까임거리가 되어왔다.처음 제임스와 나는 ‘그냥 가라오케 메탈 밴드’ 마인드였고, 순식간에 떴고, 앗 하고 보니 2집 활동이 끝나 있었다. 연습 같은 건 할 시간도 없었다. 한 달의 휴식기동안 커크를 따라 조 새트리아니에게 가서 그의 동료에게 드럼을 조금 배웠는데, 4집 완성 시점에서 생각해 보니 무대에서 능력을 보여줄 것을 강요받는 느낌이었다.
데이브 롬바르도나 찰리 베넌트같은 드러머들 틈바구니에서 나도 연주를 잘하면서 동시에 원래 하던 작곡도 잘 하고 싶었다. 1~2년쯤 해봤는데, 결론은 그냥 진정하고 내가 원래 하던 대로 리프를 지원하고 곡에 가장 어울리는 드러밍이 뭔지 생각하는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중략) 롬바르도는 롬바르도고 나는 나다.#
기본 중의 기본인 박자부터 리듬, 사소한 테크닉까지 프로 드러머로서의 모든 기초소양이 엉성한데다 라이브에서 노트 미스나 박자 이탈 없이 완벽하게 연주하는 곡이 한 곡도 없다. 다이내믹스 개념도 부족해 젊을 때나 나이들어서나 빠른 곡이나 느린 곡이나 항상 풀스윙[4][5] 으로 일관했으며, 평소보다 좀 빠르게 연주하나 싶다가 갑자기 박자를 놔버려 다른 멤버들이 일제히 드럼을 쳐다보는 일도 잦다.
라스의 실력에 대해 "니가 더 잘 치냐?", "라스는 메탈리카의 드러머인데 넌 뭐냐", "더블베이스 할줄 아니까 라스가 최고다" 라는 투의 황당한 클리세로 말싸움을 걸며 그를 변호하는 극성 팬들이 유명하다. 난장판이 된 댓글창을 보자. 라스가 정확도가 떨어져서 그렇지 프로로서 아마추어들에게 좋은 영감을 주는 독특한 기교들[6] 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칭찬할 수는 있겠으나...
이렇듯 빈말로도 기량이 좋다고는 못하는 드러머인 탓에 그의 드럼 실력과 관련된 재미있는 잡담거리들이 많이 있다.
- 제이슨 뉴스테드는 Flotsam and Jetsam의 베이시스트이던 시절 배킹보컬용 마이크 앞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고 관객들과 호흡하는 타입의 연주자였는데, 메탈리카에 들어오고부터 관객석 대신 드럼 방향으로 발을 딛고 라스를 바라보며 연주하는 일이 잦아졌다. 제이슨의 연주가 항상 흠잡을 데 없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문제가 어느 쪽에 있었는지는...[7]
- 5집 앨범 녹음을 앞두고 프로듀서 밥 록이 라스에게 몇 시간동안 메트로놈 트레이닝을 시켰다는 루머가 유명하다.
- 기타 히어로에서 라스의 드러밍 모션을 따기 위해
연주를 시켰는데, 자기가 썼고 당시까지 20년간 70번은 공연했던 곡을 숱하게 미스냈다. 첫 5트는 인트로에서부터 막혔고, 6트째는 끝까지 갔지만 "Failed, Try Again." 판정. 자기가 생각해도 자기가 쓴 곡의 초반에 몇박을 쉬고 치고 몇박을 쉬는지 모두 까먹고 다시 세고 있는 자신의 모습에 어이가 없는지 계속 박장대소하며 "이거 익숙해질 시간 좀 줘"라든가, "나 이런거 되게 빨리 배우는 편이야"라든가 계속 농담을 한다. # - 인트로부터 삑사리를 내고 곡을 두번 세번씩 다시 시작하는 돌발상황이 잦아서, 제임스가 막간을 때우려고 하는 농담들이 많다. "또 다시 해야돼?, "라스, 서두르지 마. 집에 가려면 시간 많이 남았어." 등...
- 2009년 메탈리카가 모터헤드의 리더이자 모든 메탈키드의 우상인 레미 킬미스터와 함께 공연을 한 일이 있다. 연습 때 제임스가 "저희 어때요, 모터헤드 멤버가 될 수 있을까요?"라고 농담을 던졌는데, 레미는 "드러머 빼고 다 좋아"라고 정면에서 자기를 우상으로 여기는 라스에게 묘한 디스를 넣었다. 영상(10분 2초부터)
제임스 : We hired? (저희를 고용하실 거에요? 헤헤헤)
레미 : Yes guess so. Have to get rid of the drummer though. (좋아. 그런데 드러머는 좀 빼야겠다.)[8]
레미 : Yes guess so. Have to get rid of the drummer though. (좋아. 그런데 드러머는 좀 빼야겠다.)[8]
- 1993년 멕시코시티 공연에서 드럼을 두 세트 놓고 제임스와 드럼 대결을 했는데, 20년이 넘게 흐른 오늘날 해당 영상의 유튜브 댓글 등지에는 제임스가 더 낫다는 놀림으로 도배되어 있다. 물론 저 때 라스는 당연히 제임스보다 잘 쳤다.
- 라스의 실력이 개판인 것이 오늘날에는 하나의 밈이 되어, 유튜브 등지에는 Lars Failed, Larsed 등으로 검색해 볼 수 있는 라스의 삑사리 컴필레이션 영상이 가득하다. 몇몇 아마추어 연주자들이 '라스는 드럼을 이렇게 친다'며 놀리는 영상들을 올리기도 한다.#
- 메탈리카가 슬레이어 3집의 Raining Blood를 커버해 연주할 때 라스는 드럼 파트의 45% 를 생략해 좋은 곡을 바보로 만들었다.
-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차이나 심벌에 너무 맛을 들여 아무 곡에나 좀 허전하면 차이나 심벌을 난타하는 식으로 때운다. 이 역시 까임 소재로 밈이 되었다.
- 2004년 다운로드 페스티벌 당시 부상으로 빠진 라스의 자리를 데이브 롬바르도가 메웠는데, 드디어 메탈리카에 드러머가 생겼다는 등의 반응이 줄을 이었다.[9]
- 2011년 BIG 4 리허설을 하는데 드럼을 찰리 베너티가 잡고 있었다. 역시나 댓글은 칭찬일색.
- 최근 Worldwired 투어 영상을 보면[10] 그래도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 하나의 장점은 스튜디오 앨범의 드럼 사운드를 잘 뽑아낸다. 전성기 시절 들려준 앨범의 드럼 사운드는 평단으로부터 꽤 호평을 받을만큼 강렬하고 시원하기로 유명했다. St. Anger 녹음 당시에 그 장점을 까먹기는 했지만...
4. 작곡 등
제임스 헷필드와 함께 모든 작곡을 담당해 오고 있으며, 드럼 실력과 달리 이 쪽에서는 그래도 메탈리카를 일궈낸 작곡가로서 인정받는다. 제임스가 기타리스트 겸 보컬로서 가사와 리프를 짜는 데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성과 곡 배치, 기술적인 부분에는 라스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기술적인 부분은 별도의 엔지니어가 담당하지만, 주로 라스가 전반적인 검수를 맡는다.
단 8집과 9집에 한해서는 대곡에 집착해 짧아도 되는 곡을 두 배로 늘여놓는다고 욕을 많이 먹었다. 별다른 리프 전환이나 변주가 있는 것도 아니면서 곡마다 분량이 6~8분쯤 되는 일이 예사였다. 이래 놓으니 리스너들의 집중력이 분산되고 앨범의 밀도가 떨어진다는 말이 많이 나왔으며, 라디오 등에서 틀 수 없는 길이의 곡들 투성인지라 앨범 흥행이나 홍보에도 큰 장애물이 되었다. 긴게 나쁜 건 아니지만, 길게 만들고 싶으면 곡이 좋기라도 해야 했다는 것. 일례로 8집의 <Some Kind of Monster>같은 곡은 뮤비화되면서 곡이 반으로 뚝 잘렸는데도 허전한 느낌이 없다.
특히 9집에 대해 라스에게 비판이 많이 가해졌다. 라우드니스 워(Loudness War)로 리스너들의 귀를 괴롭힌 음반이었는데, 여기에 대해 라스가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항변한 인터뷰가 있었기 때문. 게인이 너무 높아 음반 전체가 지저분하게 들렸다.
작곡은 공동이라고 하면서 나쁜 부분에 대해 제임스에게 연대책임을 물리지 않고 라스에게만 비판이 몰리는 것은 제임스가 평소 보여준 모습이 팬덤 내에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제임스는 성격이 괄괄하던 과거부터 라스와 다툼이 많기는 했으나 최소한의 물러섬[11] 은 있는 사람이었고, 이러한 마인드는 재활원을 다녀오고 정신수양을 거치면서 더 도드라져 2000년대 이후에는 아예 득도한 듯한 모습을 보인다. 한편 라스는 알려진 바로 항상 멤버들에게 이래라저래라하고 자신의 주장에 타협하라고 하는 모습만 비춰졌지, 자신이 타협하는 모습은 보여준 적이 없다. 리더로서 밴드에 가해지는 비판에 맞서 인터뷰를 하는 사람이 리더인 라스라는 점도 한 몫을 한다고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두 사람의 작곡스타일 차이로도 나눌수 있는데, 제임스는 작곡을 짧게 하는 반면 라스는 곡을 길게 쓰는것을 좋아한다고 한다. 아마도 초창기 앨범들의 히트곡들이 긴곡들인 것들을 감안하면, 그 선택이 틀리지 않았다는 본인 나름대로의 확신이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초반에 이 문제로 인해 메탈리카의 공동 작곡자로서 다툼이 많았다고 하며, 결국 제임스가 한발 물러나서 "그럼 곡이 긴대신 들었을때는 짧은 느낌이 들게 해줘(...)" 라고 했다고 한다.[12]
다른 밴드들의 6-8분 정도되는 곡들을 보면 곡의 짜임세가 좋고 테크니션 위주인 멤버들이 다양한 솔로와 사운드들을 제공해서 한곡에 들을거리들을 제공한 점을 본다면, 메탈리카 멤버들의 개개인의 실력으로 봤을 땐 블랙 앨범 때처럼 4-5분짜리 곡들이 가장 적합했을 수도 있다. 클리프 버튼 사후 베이스는 라이벌 밴드인 메가데스 조차 'Holy Wars...The Punishment Due'같은 곡도 7-8분 정도하지 나머지 곡들은 4-5분 안팍으로 굵고 짧게 곡을 쓴편이다.
5집인 블랙앨범의 다큐멘터리에서 프로듀서인 밥 락이 피드백 해주는 장면들이 나온다. The Unforgiven의 인트로 부분에 드럼을 넣어야할 타이밍과 넣지 말아야할 타이밍에 대해서 입으로 음을 내주면서 설명을 해주는데, 밥 락이 요구 한 버전은 보컬이 시작하기 전에 틈틈이 드럼을 연주해서 사운드를 더 풍부하게 만드는 방향이었고, 라스의 원래 의도는 밥 락이 요구한 것보다 드럼을 덜 연주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밥 락은 라스가 의도한 사운드는 "Very Stupid"이라고 평했다. 이처럼 본인이 전체적인 사운드를 잡고 곡의 전체적인 틀을 잡기엔 상당히 기량이 부족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인데, 문제는 이게 별도의 성장을 하지않았고 계속 유지되고있다는 점이다.
5. 기타
- 1992년 라이브때 멤버들끼리 포지션을 아예 맞바꿔서 다이아몬드 헤드의 Am I Evil?을 커버했던 적이 있었는데, 보컬을 맡았던 라스는 오지 오스본과 액슬 로즈 그리고 이기 팝을 적절히 섞은듯한 광란의 퍼포먼스를 보여줬다. 아무래도 이런거엔 능력이 있었는듯. 마이크 포트노이 도 모 인터뷰에서 '이런저런 비판이 있지만 그의 무대 장악력만큼은 굉장히 존경한다.' 고 말한 바 있다.
- 일본의 헤비메탈 밴드 VOW WOW의 극렬한 빠돌이로도 유명하다. 데뷔 전부터 공연장도 찾으며, VOW WOW가 낸 전 앨범을 모두 다 소장하고 있다.
- 라스 울리히는 대단한 순수미술 애호가이며 장 미쉘 바스키아의 팬이다. 그의 그림을 사고 팔았다.
- 음악가인 부친 토벤 울리히 덕에 색소폰 연주자 덱스터 고든을 대부(가톨릭)로 두었다. 그래서 드럼 연주 역시 일반적인 스래쉬 메탈들에 비해 멜로디와의 적절한 밸런스를 따르고 있다. 본인은 당시에 삭막했던 덴마크의 락, 메탈 씬에서 벗어나 멜로딕한 전개를 할 수 있게끔 드러밍을 하고자 했다고 한다.
- 또 오아시스의 노엘 갤러거와도 사이가 좋으며, '라스를 찾으려면 오아시스 공연장에 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오아시스의 음악을 좋아한다.[13] [14] 헌데 제임스는 오아시스를 매우 싫어한다. 자기만의 독창성과 창조력이 없는 그저 비틀즈 카피 밴드라고 생각하는 듯.[15]
- 2016년 미국 대선 때 트럼프가 당선되면 덴마크로 돌아간다고 말했다.
[1] Lars라는 이름의 발음은 '라즈'이나 한국에서 죄다 라스로 발음해서 문제. 그리고 성인 Ulrich도 미국식 발음으로는 "유리크"나 "유릭"에 가깝다. [2] 음악을 하기로 마음먹게 해준 딥 퍼플의 이안 페이스는 2018년 기준으로 만 70세인데, 전성기 때보다 꿀리지 않을 정도로 더 잘치고 있고, 미미한 뇌졸중 증세가 있는데도 잘만 연주한다.[3] 비슷한 연배를 가지고 있고 당시의 유명 드러머로 데이브 롬바르도(슬레이어), 바비 자좀벡(페이츠 워닝, 핼포드), 찰리 베넌티(앤스랙스), 닉 멘자(메가데스), 가 사무엘슨(메가데스), 진 호글란(다크 앤젤, 테스타먼트), 폴 보스타프(포비든, 슬레이어), 스콧 트래비스(레이서 X, 주다스 프리스트), 잉고 슈바이첸베르크(헬로윈), 비니 폴(판테라), 마이크 테레나(레이지) 등이 있다. 모두 라스와 비교하는 것이 모욕인 연주자들이다. 마이크 테레나와 가 사무엘슨은 스래시/파워 메탈 계열 전문도 아니었고 라스 이전 세대의 드러머였음에도 스래시/파워 메탈 드러밍도 전혀 손색이 없는 사람들이다. 심지어 자기보다 약간 한 기수 아래 후배들인 세풀투라의 이고르 카발레라나 드림 시어터의 마이크 포트노이, 메슈가의 토마스 하케는 물론이고, 심저어는 어벤지드 세븐폴드의 사망한 드러머 더 레브보다 못하다느니(물론 레브는 정말 잘 쳤었다.) 유튜브의 아마추어,준 프로급 드럼 연주자 스트리머에게도 비교되면서 까이고 있으니......[4] 6~7집에는 Until It Sleeps, Hero of the Day 등 그루브를 좀 타는 곡들도 있었으나 자주 연주되지도 않았고, 커리어 전체에서 그런 곡의 수가 많지 않다.[5] Fade to Black과 같이 완급조절이 많이 필요한 곡에서도 항상 풀 스윙이다. 1985년 공연 링크[6] 2박에 심벌을 쳐 곡의 분위기를 환기시킨다든가, 가장 단순한 필인으로 가장 무거운 분위기를 낸다든가 하는 등.[7] 제이슨처럼 박자감각이 훌륭한 연주자가 눈 앞에서 박자에 맞춰서 헤드뱅잉 해주는 것 자체가 메트로놈을 보고 있는 것과 효과가 같다. 원칙대로라면 밴드에서 비트 라인은 드러머가 잡지만 드러머가 베이시스트의 도움을 받아 박자를 잡는다는 것은 뭔가 이상한 일이 아닌가?[8] 웃으면서 농담조로 말하기는 했지만 라스의 드럼 실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잘 알고 있었던 모양이다.[9] 이 공연에서 조이 조디슨도 몇 곡 연주했으나 Creeping Death같이 빠르지 않은 곡을 더블베이스로 달려버리는 등 자기 색체를 그대로 드러내서 약간의 악플도 보이기도 하지만 그래도 라스보다 낫다는게 다수...[10] 1분 19~20초 사이에 또 박자를 놓쳤다. 하지만 그간 본인 체력문제로 곡에서 아예 빼버렸던 더블베이스 연타가 부활했다는 자체만으로도 대단하다고 할 수 있겠다.[11] 6집과 7집의 방향성에 대해 제임스는 영 맘에 들지 않았으나, 라스와 커크가 강하게 주장하자 잘 따르겠다고 물러섰다고 한다. 커크가 밴드 내에서 입김을 내는 것을 썩 즐기지 않는 멤버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라스의 주장에 굽힌 것이라 짐작해볼 수 있다.[12] 농담 같지만 초기 명곡들에서 정말로 이렇게 해냈고, 프로그레시브 록을 방불케 하는 드라마틱한 전개는 평론가들이 메탈리카 음악을 높게 평가하는 주 원인이 되었다. Master of Puppets와 Orion이 대표적.[13] 갤러거 형제가 마약을 끊은 것을 계기로 자신도 마약을 그만두었다고. 2010년엔 호주 인터뷰에서 노엘이 자기네 찍은 다큐멘터리 잘 봤다고 문자 보낸 거 가지고 '최근 몇 년간 음악인생에서 최고의 날이다'라고 말 그대로 날뛰었다... [14] 노엘도 메탈리카를 아주 많이 좋아한다고 한다. 단, 음악은 빼고... [15] Load 녹음 시 라스가 붙여둔 오아시스 포스터를 다트판으로 사용했다고 한다.[16] The Big 4 공연 비하인드 씬에서 데이브 머스테인과 라스 울리히가 공연전에 서로 만나서 잡답을 하는데 자기 아들이 메가데스 광팬이란걸 데이브에게 말해준다. 매일 등하교할때 차 태워주면 메가데스만 틀었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메가데스의 곡들을듣게 되엇고 데이브가 어떤 음악을 하고있는지 알게 됐다고 한다.[17] 잉베이 맘스틴의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본인 입맛에 맞거나 친분이 있는 사이 아니면 까는 것이 기본이기에 라스와 개인적 친분이 있거나 라이브 연주는 들어보지 않았고 앨범만 듣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높다.[18] 여담이지만 같은 인터뷰에서 커크해밋에게 '속주는 정말 잘하지만 피치도 안맞고 음악성도 없는거같다'고 칭찬과 디스를 동시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