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배포판

 

[각주]
[image]
Linux distribution (간단히 distro)
1. 개요
2. 목록
2.1. 레드햇 계열
2.2. 데비안 계열
2.3. 아치 계열
2.4. 슬랙웨어 계열
2.5. 젠투 계열
2.6. 맨드리바/마제야 계열
2.7. 안드로이드 계열
2.8. 기타 배포판


1. 개요


리눅스 배포판은 리눅스 커널을 중심으로 여러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응용 소프트웨어를 같이 묶어서 구성한 운영 체제이다. 흔히 패키지 매니저, 개말 툴 체인, 각종 유틸리티 프로그램, 데스크톱 환경 등을 포함한다. 주요 용도에 따라 데스크톱 용도, 서버 용도, 임베디드 용도, 다용도 배포판 등 여러 배포판이 존재한다.
리눅스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GUI 요소들은 배포판 간의 차이보다는 데스크톱 환경의 차이가 크므로 데스크톱 환경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좋다. 물론 배포판에 따라서 지원되는 데스크톱 환경들에 차이가 있다. 매우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을 지원하는 배포판[1]도 있는 반면 하나의 데스크톱 환경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배포판[2]도 있다.

2. 목록



광대한 리눅스 배포판의 계보도.[3]
리눅스 배포판들은 주로 패키지 관리자와 저장소를 기준으로 묶인다.

2.1. 레드햇 계열


레드햇 리눅스와, 그 커뮤니티 버전인 페도라에서 파생된 배포판들이다. 패키지 형식은 .rpm이며 패키지 관리자로 yum[4]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서버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얼마 없는 상용 리눅스 중에서도 굉장히 잘나가는 편인데, 이는 서버 시장이 주 타겟인 배포판이기 때문.
  •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 페도라
    • MeeGo
    • 붉은별[5][6]
  • CoreOS

2.2. 데비안 계열


데비안에서 파생된 배포판들. 패키지 형식은 .deb이며, 패키지 관리자로 apt를 이용한다.
데비안
  • 우분투
    • 리눅스 민트
      • 하모니카[7]
    • 쿠분투
    • 주분투 - Xfce를 기본 DE로 사용하는 우분투.
      • GalliumOS - 크롬북, 크롬박스, 크롬비트, 크롬베이스 등 크롬 제품들을 주요 타겟으로 잡았다. 크롬북의 경우 크롬OS와 거의 동일한 성능과 배터리 지속 시간을 보여주며 부팅속도는 이쪽이 더 빠를때도 있다.
    • 우분투 마테
    • elementary OS
    • Zorin OS
    • JingOS
  • Q4OS
  • 크노픽스
    • [8]
    • Damn Small Linux
  • Backbox[9]
  • : 2015년 2월부터 개발이 중지되었다.
  • 라즈비안[10]
  • Neptune
  • 스팀 OS
  • 크롬 OS/크로뮴 OS용 리눅스 도구[11]
  • 구름 OS
  • 기린
  • TmaxOS
  • 라즈베리 파이 OS
  • Tails OS
  • Deepin
  • Endless OS

2.3. 아치 계열


아치 리눅스에서 파생된 배포판들. 패키지 관리자는 pacman이며, 패키지 형식은 특별한 확장자 없이 압축파일 확장자 tar.gz 혹은 tar.xz이다.
아치 리눅스

2.4. 슬랙웨어 계열


슬랙웨어에서 파생된 배포판들. 현재 명맥이 이어지는 배포판 중 가장 오래된 배포판이다.
슬랙웨어 리눅스
  • Slax - USB 저장장치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된 리눅스다. KDE를 데스크톱 환경으로 사용하며, 모든 프로그램이 모듈식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USB저장장치 내의 특정 디렉토리에 모듈 파일을 넣고 부팅시키기만 하면 알아서 활성화 된다.

2.5. 젠투 계열


젠투 리눅스에서 파생된 배포판들. 패키지 관리자는 portage이며, 여기에 속하는 배포판들은 모두 각각 특별한 목적에 따라 개성이 뛰어나기로 유명하다.

2.6. 맨드리바/마제야 계열


마제야에서 파생된 배포판들. 본래 맨드리바 기반이었으나, 맨드리바가 개발 중단되면서 독립하였다. 쉬운 사용성을 추구하며, KDE를 주력 데스크톱 환경으로 밀고 있는 몇 안되는 배포판들이다.

2.7. 안드로이드 계열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 계열 배포판들. 패키지 형식은 apk이다. 기존 리눅스와는 구조가 크게 달라서 다른 배포판과 함께 엮지 않는 경우도 많지만, 어쨌거나 리눅스로 본다면 현재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리눅스 배포판 중에는 가장 메이저하다.
안드로이드 문서와 안드로이드 커스텀 롬, 사용자 인터페이스 문서 참고.

2.8. 기타 배포판


모듈화가 잘 되어 있어 용량이 작으면서도 프로그램의 설치가 간편하다. CD에 설치돼서 부팅시에 램 상에 운영체제를 통째로 얹어서 운용하는 방식이 기본이다. 패키지 관리자는 pet-get이며 패키지 형식은 .pet이다. 다른 계열의 패키지도 사용가능하다.
  • openSUSE - 원래 S.U.S.E였다가 SuSe로 바뀌었고, 다시 openSUSE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쪽은 유럽이 본진인지라 유럽에서 흥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우분투와 CentOS가 널리 알려지기 이전에는 인지도가 있었다. 처음에는 슬랙웨어 기반이었지만 현 시점에서는 슬랙웨어와 관계가 너무 멀어진 데다가 패키지 형식으로 .rpm을 사용해서 분류가 상당히 애매해졌다. 그렇다고 .rpm으로 완전히 전환된 것도 아니라서 레드햇 계열에 분류하기에도 애매하다. 영미권에서는 주로 수세 리눅스라는 독자적인 계열의 배포판 취급받는 듯.
  • 포톤(Photon)
VMware에서 만든 배포판이다. CoreOS와 마찬가지로 경량화를 강조하고 있으며, CentOS페도라 같은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매니저를 포크해온 tdnf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1] 우분투, 아치 리눅스[2] elementary OS, Deepin[3] 원작은 2012년 12월에 업데이트가 끊겼지만 다른 기여자가 GitHub에 옮겨서 계속 갱신하여 위키백과에 업로드하는 중이다. GNU FDL 버전 1.3에 따라 허가된다.[4] 페도라에선 dnf로 바꿨다.[5] 북한에서 페도라를 기반으로 제작한 OS. 미하일(Mikhail)이라는 러시아 유학생이 자신의 블로그에 올리면서 알려졌다. 국내에서 이것을 다운로드, 설치, 배포 등 붉은별과 관련된 행동을 하는 것이 불법은 아니다. 하지만 감시용 코드가 내장되어있다. 다만 사용자의 행동이나 접속 프로그램등을 감시하는 건 아니고 파일에 워터마크를 삽입해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구분하는 정도라고 한다.[6] 참고로 게임도 몇 개 들어 있는데 "알색맞추기", "원자맞추기", 지뢰찾기는 KDE에 들어 있는 KSame, KAtom, KMines 게임을 번역한 것이다. 북한 개발로 보이는 장기 게임도 있다.[7] 초기에 대한민국 정부 지원으로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커뮤니티 주도로 개발되고 있다.[8] 현재는 지원이 완전히 끊어졌다. 지금 보면 이 리눅스는 4년 전에 나오고, 지원도 완전히 끊어져 있는 우분투를 수정한 것이다.[9] 백트랙이나, 칼리 리눅스처럼, 침투 테스트할 때 사용하라고 있는 리눅스이다.[10] 라즈베리파이 + 데비안.[11] 본래 크롬OS/크로뮴OS는 젠투 기반이지만, 리눅스 터미널 및 네이티브 앱 실행 시 가상화된 데비안을 통해 실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