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본왕
[clearfix]
1. 소개
고구려의 제5대 군주. 민중왕과 마찬가지로 해씨 고구려설 떡밥에 포함된다.'''"왕은 날이 갈수록 난폭해지고 학대하니, 사람을 깔고 앉고 누울 땐 사람을 베고 누웠다. 사람이 혹이나 움직이면 바로 죽였다. 신하 중 간언하는 자가 있으면 활을 쏴 죽였다."'''
王日增暴虐, 居常坐人 臥則枕人. 人或動搖 殺無赦. 臣有諫者 彎弓射之.
일단 《삼국사기》에는 대무신왕(대주류왕)의 아들이라 한다[4] . 고구려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인 삼국사기는 그를 대무신왕의 아들로 칭하고 있으니 현재까지의 정설은 대무신왕의 아들. 어머니는 호동왕자를 시기하여 음모를 꾸며 죽게 만들었다고 알려진 대무신왕의 첫째 왕후. 다만 장남임에도 불구하고[5] 태자 책봉은 차비 해씨 소생인 호동왕자가 죽은 뒤에나 이뤄졌다.
2. 내정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의 모본왕 기록에는 재위 2년에 군사를 동원했다고 나오고 그 뒤 관련 내용은 없이 후일의 폭정만 말한다.
모본왕 2년에 고구려가 중국을 공격한 일이 있는데 사서에 따라서 기록에 약간씩 차이가 있다.
- 후한서 광무제 본기: 요동 변방의 맥인이 우북평(右北平), 어양(漁陽), 상곡(上谷)[6] , 태원(太原)을 침략했다.
- 후한서 동이 열전: 구려(句麗)와 선비가 북평, 어양, 상곡, 태원 등지를 침략하다가 제융이 은신(恩信)으로 부르니 다시 항복하였다.
- 삼국사기 모본왕조: 재위 2년, 장수를 보내 후한(後漢)의 북평(北平)[7] , 어양(漁陽), 상곡(上谷), 태원(太原)을 습격하였다. 이에 후한의 요동 태수 제융(祭肜)이 화친을 청해와 화친하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모본왕이 중국을 공격한 그 해에 폭풍이 불고 서리와 우박이 내리는 등 악천후가 있어 음력 8월에 사신을 보내 굶주린 백성들을 진휼하였다고 한다.
3. 폭군
모본왕은 인간 베개[8] 였던 두로가 못 참고 휘두르는 칼에 시해당했으며 이후에 신하들이 불초하다며 태자를 폐하고 종실에서 고궁이라는 아이를 왕으로 세우니 이 사람이 태조대왕이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어떤 사람이 두로에게 말하길 "대장부가 왜 우느냐? 옛 사람이 말하기를 '나를 쓰다듬으면 임금이요, 나를 학대하면 원수로다.'[9] 고 하였다. 지금 왕의 행함이 잔학하여 사람을 죽이니 백성의 원수다. 네가 그를 죽여라." 두로는 이를 듣고 왕을 시해했다고 한다.
한때 후한 동북방 일대를 위협할 만큼 군사적인 능력이 있었으나, 내부적으로는 학정을 일삼다 암살을 겪은 폭군이라고 할 수 있다.
3.1. 역사의 피해자?
다만 실제 폭군인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런 주장을 하는 이들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 1번째로 모본왕의 재위 기간 도중 고구려에 기근이 들어 아사하는 사람이 생기자 사신을 보내 굶주리는 백성들을 구제하도록 했다는 기록이 있다. 굶주린 백성들을 돌보았던 임금이 과연 폭군이었을지 의문이 가는 것이다.
- 2번째로 모본왕을 암살한 두로라는 인물이 사건 이후로 기록상에서 완벽하게 사라져 버렸다는 점이다. 어쨌든 폭군이라고는 하나 임금을 시해한 대역죄를 저질렀기에 어떤 처벌을 받았다든지 하다못해 폭군을 몰아내고 정사를 바로잡은 반정을 성공시킨데 대한 정상 참작으로서 그에 따른 보상을 받았다든가 하는 기록이 남아있어야 할 것인데 그런 기록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두로가 단독으로 모본왕을 암살한 것이 아니라 배후 세력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배후 세력이 태조대왕 일파였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 이 암살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모본왕은 악마가 되어야 했고 결국 모본왕은 만들어진 폭군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모본왕의 친모가 호동왕자를 질투하여 자살하게 만든 악녀라는 것이 빼도박도 못하는 사실이라 아들인 모본왕 또한 자연스럽게 어머니의 악독한 성격을 빼닮은 폭군으로 만들 수 있었을 것이다.
4.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 모본왕 본기'''
一年 모본왕이 즉위하다
一年秋八月 홍수가 나다
一年冬十月 왕자 익을 태자로 삼다
二年春 장수를 보내 후한의 북평, 어양, 상곡, 태원을 습격하였다가 요동태수의 요청으로 후한과 화해하다
二年春三月 거센 폭풍이 불다
二年夏四月 여름에 서리가 내리고 우박이 떨어지다
二年秋八月 굶주린 백성을 구제하다
四年 모본왕이 사납고 잔인해지다
六年冬十一月 두로가 모본왕을 죽이다
[1] 삼국유사 기준. 해우에서 우(憂)가 이름이라면 성은 해(解)가 된다.[2] 여기서 해가 이름일 수도 있지만 성씨일 가능성도 있다. 해씨 고구려설의 주요 떡밥이다.[3] 출생년이 32년이라는 위키 백과발 주장이 있었으나, 그가 32년 12월에 태자가 됐음을 고려하면 신빙성이 없다.[4] 『광개토대왕릉비』를 근거로 대주류왕의 아들이 아니라 손자나 증손자로 추측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왕계상 계승 순위로 본다.[5] 삼국사기 모본왕 본기에 모본왕이 대무신왕의 맏아들(元子)이라는 기록이 있다.[6] 현재의 톈진, 베이징 지역이다. 고구려가 요동을 넘어 요서를 공략한 기록은 그 후의 태조대왕에도 나와서, 요동의 정확한 위치를 비롯해 역사학자들을 골치아프게 한다.[7] 현대 기준으로는 북평하면 베이징이지만, 당시 기준으로 북경은 연경, 계, 광양군으로 불렸고, 오히려 한나라의 '우북평군'이 조위 시절 '북평군'으로 개칭되는 등(《진서》 14권), 우북평=북평이었다. 베이징 일대를 북평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은 남경만을 수도로 인정하느라 '북경'이란 호칭을 피한 중화민국 시기에나 들어서이다. 이 북평/우북평 지역은 현재의 탕산시唐山市 일대이다.[8] 《삼국사기》에서 왕은 날이 갈수록 포악해져 앉을 때는 언제나 사람을 깔고 앉았으며 누울 때는 언제나 사람을 베고 누웠는데 그 사람이 움직이면 용서없이 죽였다. 신하 중에 잘못을 간하는 자가 있으면 활을 당겨 죽였다.라고 했으니 두로는 모본왕이 베고 잤던 사람이다.[9] 撫我則后 虐我則讎. 《서경(書經)》〈주서(周書)〉태서편(泰誓篇)에 있는 문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