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
1. 천의 한 가지
[image]
정확하게는 목화에서 뽑은 무명실로 짠 옷감의 종류이다. 면직물 이라고도 한다. 평민들의 옷감으로 가정에서 베틀을 이용해서 짜며, 덕분에 조선시대에도 매우 흔한 편이었다.
보통 40자가 한 필이며, 4번 접어서 16겹이 되게 필을 짓는다. 조선시대 때는 상평통보 보급 전까지 기축화폐로도 사용되었으며, 옷으로는 만들수 없는 화폐 전용의 추포라는 옷감이 있을 정도였다. 원래는 오승포(五升布)라고 하여 가장 평균이 되는 무명을 화폐로 사용하였지만 가치가 높아서 오승포보다 가치가 낮은 순수한 교환용 화폐 목적으로 이승포(二升布)를 만들어 이를 추포라고 부른 것이다. 자루로도 사용할 수 없을 정도의 저질이라서 정부에서 몇 번이나 제작과 유통을 금지시켰지만 민간에서의 필요 때문에 계속 사용되었고 이후 사용을 허가했다. 19세기에 영국이 인도를 식민지배 하면서 인도산 목화를 영국에서 기계로 방직한 옥양목이 조선에 들어와 조선산 무명 가격을 폭락시켰고,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산 기계 방직 면직물인 광목 천이 들어와 전통 무명은 거의 사라졌다.
2. 無名
noname. 직역하면 이름이 없다는 의미가 된다. 보통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즉 유명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쓰는 말. 이를테면 '무명 작가', '무명 배우', 무명 일러스트레이터' 등의 식으로 쓰인다. 속어적인 의미로 듣보잡이라는 단어가 쓰인다.
창작물에서는 특수한 용례로, 가장 기초적인 신상정보인 이름조차 알려지지 않고 베일에 싸인 인물의 특성을 나타낸다. 전자와는 달리 이 쪽은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중2병과 종종 결합하여 아웃사이더로서의 속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많이 쓰인다. 도망자라든가의 이유로 인해 스스로 이름을 밝히지 않는 경우도 있고, 타인들이 달리 적당한 이름을 붙여주지 못할 정도로 거물인 경우도 있고(은둔고수라든지), 아예 단역이나 엑스트라 급으로 비중이 없어서 이름이 없는 경우 등(...) 이유는 그야말로 가지가지이다.
- 이름이 없거나 밝혀지지 않은 인물 혹은 존재
- 이름없는 자 - 플레인스케이프 토먼트
- 네임리스 원 - 참마대성 데몬베인
- 네임리스(KOF) - KOF 2002UM
- 황제(Warhammer 40,000) - Warhammer 40,000
- 대요정, 소악마, 책읽는 요괴 - 동방 프로젝트
- NO NAME - 칵테일
- 무명 - 곡성
어릴 때 오라버니가 지어준 이름이며, 한자도 無名이다.
공식적으로 본명이 정해지지 않았다.
- 그 외에도 이름이 밝혀지지 않는 등장인물도 참조해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3. 갑각 나비의 등장인물
갑각 나비의 '탐정'편에서 등장'''했었던''' 인물.
추후 완결편까지 연재되어 개정 출판된 최종본에서는 탐정편 자체가 삭제되었기에 존재하지 않는 인물이다.
작중에서 본명은 나오지 않았으나, 편의상 '무명'으로 표기된다.
녹안을 가졌으며 황실근위병이 쓰는 언어를 사용하는 아가씨. 루자 펜블렌이 연상되지만 루자는 흑안이었으니 루자는 아니다. 녹안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쿠드와 무언가 관련이 있을 수도 있지만...
탐정편은 존재 자체가 사라졌기에 앞으로 본명도 그 정체도 영원히 드러나지 않을 것이다.
4. 퓨전무협 신승의 등장인물
무명(신승)참조.
5. 비뢰도의 등장 인물
무명(비뢰도) 문서 참조.
6. 육룡이 나르샤에 등장하는 조직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의 등장하는 고려의 비밀 결사 조직
자세한 내용은 무명 항목 참조.
7. 춘원 이광수의 중편 소설
1939년 2월, 문학지 《문장(文章)》에 발표된 이광수의 중편 소설. 창작 당시의 제목은 "박복한 무리들"이었으나, 문장지에 발표되면서 "무명"이라는 이름으로 게제되었다.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기록된 작품으로, 인간군상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인도주의적 경향이 잘 드러난 작품. 주인공인 ‘나’는 병감(病監)에 수감되어 있다. 병에 걸린 사람들이 많은 특성상 각종 질병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함께 감옥에 들어와 있고,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하여 자신들의 성격을 보여주는 내용으로 진행된다. 작가 개인에 대한 거부감이 아니라면 한번쯤 읽어보면 재미있을만한 소설이다.내가 출옥한 뒤 석 달이나 지나서 출옥한 간병부의 말을 들으니, 민도 죽고, 윤도 죽고, 강은 목수일을 하고 있고 정은 병이 악화되어 본감 병감에 가 있는데, 도저히 공판정에 나가볼 가망조차 없다고 한다.
- 소설의 마지막 장면
한밤에 들리는 절의 종소리나 중간중간 나오는 불교 용어, 그리고 죽음에 임박한 등장인물들이 불경을 외우는 등[1] 전체적으로 불교적 색채가 강하다. 제목 무명도 이름없음을 뜻하는 無名이 아니라 깨닫지 못한 미욱한 상태를 의미하는 無明이다. 소설 속 등장인물들은 욕망에 충실할 수밖에 없는 감옥이라는 장소를 배경으로 서로 부대끼며 유치한 이유로 싸우기도 하고, 기호품이나 약을 조금이라도 더 많이 받고자 간병부나 간수 같은 권력자에게 아첨하고, 위장병을 앓고 있음에도 눈앞의 밥을 지나치지 못해 과식을 하기도 한다. 소설의 화자 '나'는 역시 병감에 수감된 환자이지만 그나마 점잖은 관찰자의 입장으로서 깨닫지 못한 중생들끼리 치고 받는 아귀다툼을 담담하게 서술한다.
작중에서 '나'는 성씨를 따서 일본식으로 '진 상'으로 불리나 죄목이나 자세한 정체는 끝까지 불명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감옥의 간병부들, 함께 수감된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 성격 등으로 묘사된 것을 보면 독립운동 등으로 수감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자아내고 있다.
8. 버벌진트의 1집 앨범
무명(앨범) 문서 참조.
9. 고수(웹툰)의 등장인물
무명(고수) 문서 참조
[1] 이마저도 불심으로 죄를 뉘우치고 참회하기 위함이 아니라, 중병이나 재판 판결을 앞둔 공포를 이겨내고 자기합리화를 하기 위한 방어수단이자 감방 동료들에게 자신의 개심(?)을 선전하는 보여주기일 뿐이다. 결국 같은 감방 동료들에게도 이 행위는 너무도 속이 뻔히 보이는 바람에 비웃음을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