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현경

 




[image]
'''고려국 1등 개국공신'''
'''시호'''
'''개국무열공(開國武烈公)'''
'''삼사'''
'''태사(太師)'''
'''본관'''
경주 배씨(慶州 裵氏)
'''이름'''
현경(玄慶)
'''초명'''
백옥삼(白玉三)
'''아들'''
배은우
'''출신지'''
신라국(新羅國) 서라벌
'''생몰연도'''
? ~ 936
1. 개요
2. 역임 관작
3. 생애
4. 태조 왕건

[clearfix]

1. 개요


고려의 개국공신으로 태조 신성대왕을 만들어낸 네 공신 중 한 명이다.
경주 배씨(慶州 裵氏)의 중시조이다. 배씨는 삼국사기 신라 건국기사에 의하면 본래 고조선 유민으로 고조선이 한나라에 멸망한 이후 경주 지역으로 남하해서 박혁거세를 추대해 신라를 건국한 6촌 중 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의 촌장 배지타(裵祗沱)의 후손이다. 그러나 신라 시대 배씨의 계보는 기록 실전으로 상고할 수 없어 고려 건국공신인 배현경을 중시조로 삼아서 계보를 잇고 있다. 모든 관향이 배현경의 후손을 자처하고 족보도 통합해서 간행하고 있어 실질적인 모든 배씨의 시조다.

2. 역임 관작


'''배현경의 태봉 관작'''
'''직위'''
마군장군(馬軍將軍)
'''배현경의 고려 관작'''
'''향직 품계'''
대상(大相)
대광(大匡)
고려 초 건국 공신들만 받은 고위 품계.
'''공신호'''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시호'''
개국무열공(開國武烈公)
개국공신이기에 시호에 개국(開國) 미칭이 덧붙여 졌다.[1] 신라 태종 무열왕과 시호가 같다.

3. 생애


경주 출신으로 출생년도는 미상이다. 어릴 적 이름은 백옥삼(白玉三, 白玉衫)이다. 삼국사기에는 '홍술백옥삼능산복사귀'로 붙여서 나오기에 잘못 끊어읽어 '백옥'으로 표기한 번역본도 존재하지만 고려사에는 분명 배현경의 아명은 백옥삼, 신숭겸의 아명은 능산으로 나와 삼국사기에 기록된 아명을 어떻게 끊어읽어야 하는지 명확하다.
궁예가 봉기했을 무렵에는 일개 잡졸에 불과하였으나 뛰어난 무예 실력을 자랑하며 전장에서 수많은 공을 세워 마군장군까지 승진한 입지전적인 인물이었다. 독단과 전횡을 일삼는 궁예의 공포 정치가 지속되고 이에 민심이 흉흉해지자 당시 군부의 실세들이던 홍유, 신숭겸, 복지겸과 모의하여 왕건에게 다음과 같이 거사를 권하며 궁예를 제거하고 고려를 세우는데 공을 세웠다.

“삼한(三韓)이 분열된 이후 도적의 무리가 다투어 봉기하자, 지금의 왕(궁예)이 용맹을 떨쳐 크게 호령하여 마침내 초적(草寇)을 평정하고 세 지역으로 나누어진 나라 땅 가운데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습니다. 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정한지도 스물 네 해[2]

남짓 지났으나, 이제 끝을 잘 마무리하지 못하고 잔학한 짓을 너무 제멋대로 하며 형벌을 부당하게 행하여 아내와 아들을 살육하고 신료를 죽여 씨를 말리고 있습니다. 백성은 도탄에 빠져 그를 원수같이 미워하니 하나라의 걸왕(桀王)과 은나라의 주왕(紂王)의 악정도 이보다 더하지 않았습니다. 포악한 왕을 내몰고 현명한 왕을 세우는 것은 천하의 대의이니, 바라건대 공께서는 은나라와 주나라의 옛 일을 실행하소서.”

고려 건국 후 배현경은 태조 왕건에게 천도(遷都)를 건의했다.

“철원은 궁예의 터전입니다. 철원 도성 백성들의 주상에 대한 반감은 왕권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왕권 안정과 민심 수습을 위해 천도가 필요합니다.”

왕건은 배현경의 건의를 받아들였으며 배현경을 새 도읍을 건설하는 총 책임자인 개주도찰사에 임명했고 919년(태조 2) 1월 도읍지를 철원에서 송악으로 옮겼다. 이후 배현경은 궁예의 잔당들을 소탕하는데 공을 세워 '대상행이조상서 겸 순군부령도총 병마대장'에 이르렀으며 전장에서 그의 능력을 필요로 할 때는 장군, 중앙 정부에서 그의 능력을 필요로 할 때는 각료로 활동하면서 많은 공을 세웠으며 왕건의 옆에서 보좌할 때는 잘못된 점이 있으면 항상 잘못된 것이라고 직언을 올리는 인물이었다. 그런 배현경을 왕건 역시 굳게 신뢰하였고 배현경의 직언이 있으면 문제에 대해서 잠시 생각하고 다시 결정을 내리는 모습을 이어갔다. 특히 왕건이 인사 문제에 대해서 좋게좋게 넘어가려고 하면 한치의 양보도 없이 꼬장꼬장하게 따지고 드는 모습도 보였다. 왕건이 청주 출신인 현률에게 정2품 순군낭중을 제수하려 하자 "현률한테 야전 지휘권을 쥐어주면 동향 출신 사람들과 작당해서 반란을 일으킬 가능성[3]이 높아서 절대 안됨"이라고 크게 반발하였고 이에 급을 낮춰 야전 지휘권이 없는 병부낭중직으로 고쳐 제수하게 되었다.
말년에는 최고의 등위인 정1품 '대광(大匡)' 벼슬을 받았으나 고려가 통일을 한 직후인 936년에 세상을 떠났다.[4] 고려사에 따르면 배현경의 임종이 임박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왕건이 친히 배현경을 찾아가 손을 잡고 "아, 천명이로구나. 하지만 그대의 자손이 있으니 내 어찌 그대를 잊으리!"라는 말을 하였고 왕건이 손을 놓고 문을 나서자 숨을 거두었다고 하는데 태조는 어가(御駕)를 멈추고 관비(官費)로 장사를 치를 것을 명한 후에 환궁하였다. 사후에 '무열'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고려의 4대 개국공신 자격으로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4. 태조 왕건


[image]
[image][5]
태조 왕건에서는 사극 전문 배우인 신동훈#s-3이 배역을 맡았다.
극 초반부 홍유와 함께 김순식의 휘하 장수로 등장하였고 역사에 기록된 것과 마찬가지로 홍유, 복지겸, 신숭겸과 함께 혁명을 이끈 4기장이 되었다. 실제 역사와는 달리 전쟁 중심 서술이 되다 보니 조정#s-3에서 직언하는 면모는 많이 생략된 편.
극중에서는 적절한 타이밍에 샤프한 아이디어를 내는 장면들이 많이 보인다. 무언가 딱 떠오르는 듯한 표정을 지으며 아이디어를 내는데 마지막 퍼즐 한 조각을 맞추듯 해결이 되는 장면들로 연결된 경우가 많다.
극중에서 그가 낸 아이디어로 일이 일사천리로 풀리는 사례로는,
  • 116회 이후 혁명 모의에서 내군 견제에 필요한 인물로서 염상을 포섭하자는 의견을 냈다. 염상이 포섭되어 내군의 부장 장일을 혁명세력에 끌어들이는데 성공하여 혁명세력은 내군의 손발을 묶어 무사히 왕건을 추대할 수 있었다.
  • 162회 공산 전투 이후 왕건이 신숭겸의 시신을 찾기 위해 공산에 머무를 때 신숭겸이 자신의 왼 발목에 북두칠성과 같은 점이 있다고 말했던 것을 기억해내어 신숭겸의 시신을 찾는 결정적 단서를 제공했다.
  • 192회에는 후백제 정변으로 인한 긴급회의에서 견훤을 움직일 방도로 아자개를 언급하여 박술희가 파견되고 아자개가 견훤을 설득하는 서신을 쓰게끔 하여 견훤이 고려로 망명하게 되는 데 일조한다. 다만 아자개를 언급한 것은 배현경이었으나, 견훤 망명과 연관시켜보자는 건의는 홍유가 한다.
나이가 들었어도 야전에서 를 묻으려는 전형적인 무인 캐릭터로 그려지며 백발이 성성할 때까지 홍유와 세트로 같이 다니며[6] 거의 모든 전투에서 왕건을 따라 참여했다. 싸움도 잘하는 장수로 나오는데 수달에게 발리고 신덕과 무승부를 해서 그렇지 홍유와 거의 동급으로 나온다. 직접 참여하지 않았던 공산 전투에서는 위기에 처한 왕건을 구원하고자 뒤늦게 달려왔으며 왕건의 명에 따라 신숭겸, 김락 등의 시신을 수습하기도 했다. 최응 사후 병부령을 제수받았을 때 고사했지만 왕건의 명으로 겸임하게 되었으며, 역사와 달리 일리천 전투, 황산 전투에도 다른 장수들과 참여하면서 상애의 목을 베고 후삼국 통일의 순간을 지켜볼 수 있었다.
[1] 고려사 예지 태묘조 기록.[2] 정식 국가로서의 후고구려-마진-태봉만 따지면 24년에 꽤 미달하지만, 그걸 넘어 궁예의 세력형성을 기준으로 하는 듯.[3] 일전에 궁예가 국호연호를 여러 번 바꾸면서 아지태를 비롯한 청주 세력을 전폭 기용한 일이 있었다. 당연히 왕건이 고려를 세운 이후 청주 지역 호족들은 왕건에게 비협조적인 자세로 일관했다.[4] 같은 해에 그와 함께 왕건을 옹립한 4기장 중 1명이었던 홍유도 세상을 떠났다.[5] 오프닝에서의 배현경, 유금필, 복지겸. 가장 왼쪽 인물이 바로 배현경. 3명은 1회부터 200회까지의 오프닝에서 1번도 모습이 바뀌거나 교체된 적이 없는 유일한 3인방.[6] 극중에서도 '우리는 자주 같이 다니는 거 같다'고 언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