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
1. 사전적 정의
- 영어: Secret (시크릿)[1]
- 한자, 중국어: 秘密 (미미)
- 라틴어: Secreta (세크레타)
- 독일어: Geheimnis (게하임니스)
- 일본어: ひみつ、ヒミツ (히미츠)
당사자 본인과 때로는 일부 이해관계자들도 알고 있지만, 그 밖의 타인들에게는 굳이 숨겨서 공개하지 않은 사항. 형용사 '비밀하다'의 어근이기도 하다.
물건이나 행동, 취향 등등 인간의 기초적인 행동양식 및 도구들 가운데에서 대체적으로 대중들에게서 용납받기 힘든 존재들을 남들에게서 감추려 하는 행위 그 자체이자 그렇게 감춘 존재 전반을 의미한다. 여기서 '용납받기 힘든 존재'의 조건은 대체로 비밀을 간직하는 당사자만이 정할 수 있는 기준이므로, 정작 제 3자 입장에서는 '에이~ 그게 뭔 비밀이야~' 싶을 정도로 보편적이고 단순한(?) 존재일지라도 당사자가 비밀로 해야겠다 여기면 충분히 비밀이 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야동'''이 그렇다.
남들에게서 용납받기 힘든 존재라는 것은 그만큼 비밀로 감춘 그 무언가는 분명 누군가에겐 독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만한 것들이 많은 지라 '비밀 = 나쁜 것'으로 취급되는 경향이 강하다. 대체적으로는 자기 자신의 치부가 있는데, 이는 그 치부가 공개되면 대중에게서 안 좋은 이미지를 살 수 있기 때문에 비밀로 삼고자 하는 것이다.
단, 비밀이 언제나 나쁜 것만 감추는 것은 아니다. '군사기밀'이 특히 그러한데, 이 비밀은 분명 해당 군대와 군대가 소속된 국가의 국민들에게 분명 이득이 되는 비밀이다. 그것이 오히려 새어나갔을 때 돌아올 악영향[2] 이 훨씬 더 강하기 때문에 좋든 싫든 비밀로서 남길 수밖에 없는 경우이다. 각종 군경 특수부대 대원들의 신분을 비밀에 붙이는 것도 특수부대 대원들이 나쁜 녀석이라서 그러는 게 아니라, 신분이 노출된 특수부대원들은 주변인들이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감추는 것이다.
이런 큼직한 비밀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크고 작은 비밀들이 비일비재하다. 생각해 보면 온 세상은 전부 비밀투성이다. 다만 이런 의미가 무색하게도 아줌마들끼리 수다를 떨 때 '이건 우리끼리만 알아야 될 사항이라'는 전제로 자주 발설되곤 하지만, 정작 제대로 지켜지는 일은 드물다. 이렇게 작은 비밀들이 노출되면 결국 당사자만 곤란하고 끝나지만, 범국가적 비밀이 누설되기라도 하면 그 국가는 순식간에 패닉에 빠진다. 위키릭스는 각 국가들이 보유한 국가적 비밀들을 공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몇몇의 경우는 비밀의 주체는 비밀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사실 주변의 모두가 언급하지 않을 뿐, 대체로 알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공공연한 비밀(Open Secret)'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방사능 홍차의 경우, 해당 홍차에 들어간 독극물의 특성상 누가 그런 짓을 저질렀는지는 안 봐도 뻔한 비디오이지만, 일단은 확실한 물증이 없는 관계로 그냥 '비밀'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만화 닌자의 왕에서는 비밀의 종류를 3가지로 정의했다. 첫 번째, 아무도 손 못 대게 마음 속 깊이 꽁꽁 숨기고 있는 것, 2번째, 말하고 싶지만, 입 다물고 있어야 되는 것, 3번째, 누군가 물어봐 주길 은근히 기대하며 숨기고 있는 것. 작품 속에서 시미즈 라이코의 비밀은 3번째에 해당하는 경우였고, 메구로 가우가 그의 비밀을 물어 봄으로써 시미즈 남매의 관계가 크게 변하게 된다.
명탐정 코난의 베르무트에 따르면, 여자를 여자답게 만들어 주는 거라고 한다. Kanon의 미사카 카오리도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비밀에는 일본에서 2가지 바리에이션이 있는데, '히미츠'로 발음되는 것과 '나이쇼'로 발음되는 것. 앞의 것은 좀 더 일반적이고 딱딱한 뜻으로 사용되나, 후자는 친근한 의미로 사용되며 성적인 의미로도 사용된다. 한국어로 바꾸면, 기밀과 비밀의 어감 차이 정도로 생각하면 비슷하다. 다만 히미츠의 경우 기밀처럼 공적인 경우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게 차이.
1.1. 대한민국 국군의 비밀
이전엔 군사'''기밀'''이라고 불렸던 것 같으나, 2000년대 후반 언제부터인가 일상용어인 '비밀'로 용어가 바뀐 듯하다. 아마 일조점호, 일석점호 등등 한자식 군대용어들을 아침점호, 저녁점호 등등으로 용어순화를 할 그 무렵이었던 듯.
어쨌든간 설명은 군사기밀 문서에서 되어 있다.
1.2. 관련 문서
2. 일본의 소설과 이를 원작으로 한 영화와 드라마
[image]
작가는 히가시노 게이고. 제52회 일본추리작가협회상 수상작.
이 소설을 원작으로 영화와 드라마도 만들어졌는데 영화는 비밀(일본 영화) 문서로. 주연은 히로스에 료코.
드라마는 비밀(일본 드라마) 문서로. 주연은 사사키 쿠라노스케, 시다 미라이.
3. 밀리터리 커뮤니티
조선일보 유용원 기자가 운영 중인 군사 사이트. 사이트 주소에 bemil이 붙기 때문에 흔히 비밀이라고 불린다. 유용원의 군사세계 문서로.
4. 시미즈 레이코의 순정만화
탐미주의 작가의 거성인 시미즈 레이코가 1999년부터 연재하는 만화. 원제는 秘密 ―トップ・シークレット―. 일본에선 비밀이라 읽지 않고 톱 시크릿이라 읽는다. 제로 시리즈하고 비슷한 케이스. 백천사의 순정만화 잡지인 Lala LX에서 격월단위로 연재 중. 초기에는 1년에 한번(!) 연재했다.
맨 첫번째 에피소드인 미국 대통령 살인사건에 대한 단편은 단편집 '와일드 캣'에 수록된 것을 재수록한 내용이다.
가까운 미래, 제9연구소라는 범죄감식기관에서 '''사람의 뇌에 자극을 줘서 죽은 사람이 살아생전 본 모든것(3년동안)을 보면서 범죄를 밝힌다는게 주된 내용이다.''' 소재가 상당히 충격적이며, 묘사가 적나라한 것이 특징.
2012년 12권으로 완결.
2008년 매드하우스+니혼 TV 조합으로 〜The Revelation〜라는 부제를 달고 애니화되었다. 총 26화.
영화화가 결정되었다. 2016년 개봉. 감독은 바람의 검심 실사영화를 연출했던 오오토모 케이시. 출연배우는 마키 역에 이쿠타 토마, 아오키 역에 오카다 마사키.
현재는 비밀 시즌 제로 9권까지 한국 발매가 완료된 상태.
4.1. 등장인물
제9연구실 실장. 경시정. 33세(2060년 시점)→ 39세(2066년 시점). 키 163cm. 몸집이 작은 체격과 동안이며 여성으로 혼동되는 미모의 소유자.실제 나이보다 훨씬 젊게 보이며 미성년자로 오인되는 경우도 많다. 흥분하면 닥치는 대로 물건을 던지거나 자해하는 버릇이 있다. 원작에서는 불안정하고 여린 성질이 강조되지만 애니메이션판에서는 거의 동요하거나 격앙하지 않고 수사를 지휘한다. 자신의 트라우마인 가이누마 사건에서 졸도하나, 시종 냉정했다.
도쿄 대학 법학부 졸업.24세(2062년 2월 시점).키 189cm, 야위형의 장신.근시로 안경을 쓰고 있다. 솔직하고 성실, 정의를 믿고 돌진하는 한결같은 성격, 사람 좋아하는 풋내기 수사원. 감정의 기복이 심해 울거나 우울하거나 기뻐하거나 바쁘게 표정을 바꾸는 묘사가 많다. 솔직하고 남의 말을 고지식하게 믿어 제9의 선배들로부터 놀림을 많이 받는다. 엘리트이긴 하지만 직매나 회식 총무 등의 잡무도 담당하고 제9멤버의 무모한 짓이나 장작의 비위에 좌지우지되는 고생한 사람.
5. MBC의 드라마
6. KBS의 드라마 비밀
7. 2015년 개봉 영화 비밀
8. 아이유의 노래
2011년 11월 발표한 아이유의 정규 2집 '''Last Fantasy'''의 1번 트랙. 정석원이 작곡했으며, 김이나가 작사했다.
8.1. 가사
9. 태연의 노래
10. 박정현의 노래
가수 박정현의 7집 타이틀곡으로, 미디움 템포의 달인 조영수가 작곡한 곡이다. [3] 그래도 기존의 수 많은 조영수 스타일의 곡들과는 다르게 따뜻하고 아름다운 분위기의 R&B 발라드곡이다. 실제로 박정현도 이런 명성(?)을 익히 알고 있어 곡 작업을 의뢰하고도 살짝 걱정했는데 생각과는 다르게 전혀 다른 느낌의 곡이어서 수락하였다고 한다(...)
10.1. 가사
11. 박완규의 노래
12. VOCALOID 오리지널 곡
12.1. 히토시즈쿠P의 VOCALOID 오리지널 곡
12.2. 마후마후의 VOCALOID 오리지널 곡
12.3. 하루마키고한의 VOCALOID 오리지널 곡
13. 하스스톤의 비밀 카드
[1] 표기와 발음에서도 알 수 있듯이 라틴어에서 온 말이다.[2] 예를 들면 대한민국 국군이 '만약 우리가 북한과 전쟁을 해야 하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전술을 짜두었을 경우가 있다. 물론 영원한 우방은 없고 일단 내 조국이 더 잘 되는 게 좋다는 생각은 누구나 다 하는 생각이지만, 그래도 기왕이면 당사국인 북한이 모르게 하는 게 전략적인 측면으로도, 인도주의적 차원으로 훨씬 더 좋기 때문. 전략적인 측면으로는 이쪽 계획이 다 누설되면 북한 측이 대비책을 다 세워둘 게 뻔하니 감추는 게 좋고, 인도주의적 차원으로도 되도록이면 굳이 싸울 일을 안 만드는 게 이득이 더 많은지라 전쟁을 피하는 구도라서 감추는 게 좋다.[3] 박정현의 곡 중에 정석원이 작곡한 곡이 '''매우'''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