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30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3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우이동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길동역)
종점

첫차
04:20
기점

첫차
05:35
막차
22:50
막차
00:00
평일배차
4~10분
주말배차
4~12분
운수사명
삼양교통
인가대수
43대(예비 4대)[1]
노선
우이동차고지 - 방학동신동아아파트 - 방학사거리 - 도봉보건소 - 쌍문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종암경찰서 - 고려대역·고대앞사거리 - 경동시장 - 동대문구청·용두역 - 답십리역사거리 - 장한평역 - 군자역·용마초등학교 -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 광나루역 - 천호대교 - 천호역·천호사거리 - 강동역강동성심병원·동신중학교 → 천동초등학교·천호도서관 → 길동역 →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 → 강동역 → 이후 역순

2. 개요


삼양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8.7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 2020년 1월 6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됨과 동시에 2대가 증차되었다.[2] 이에 따라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10회씩 늘어나고 현재 평일 12분, 토요일/공휴일 15분인 최대 배차간격이 평일 10분, 토요일/공휴일 12분으로 줄었다.관련 공문
  • 2020년 1월 13일을 기해 길동 방면 운행 시 경동시장사거리(06776) 정류장에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 관련 공문

4. 특징


  • 1권역에서 3권역을 가는 유이한[3] 노선인 만큼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 특히 첫차시간에는 2대가 연속으로 배차된다. 또한, 서울 간선버스 중 일일 이용객수 상위권에 빠짐없이 들어간다.
  • 동사 144번이 강북과 강남 연결을 주 목적으로 한다면 이 노선은 강북에서 강동을 연결하기 때문에 전철로는 긴 환승 길이의 압박[4]을 견뎌야 하는 반면 이 노선은 한번에 연결해주기 때문에 메리트가 뚜렷하다. 그것도 거의 직선 수준(방학사거리 - 천호역 구간이 ㄱ자형 직선이며, 꺾는 건 천호동 - 길동 구간, 우이동 - 방학동 구간 뿐이다).[5] 상일동, 하남에서 도봉구, 강북구 이동 및 고려대 통학 시에 강동역 및 천호역에서 환승하여 130번을 타고 가는 손님들도 종종 있다. 천호역에 오기 전부터 채워오는 것도 덤. 성동구(답십리역, 장한평역)에서 강동구 방향 수요도 있다.
  • 2004년 7월 1일 버스 개편 때 신설되었으며, 현재까지 단 한 차례도 노선이 변경된 적이 없다.[6] 서울시 버스 개편 최대의 성공작 중 하나. 개편과 동시에 빠르게 입소문을 타고 개편한 지 열흘 만에 신설 노선임에도 사람이 가득가득 들어차서 다녔다는 전설도 있다.
  • 배차간격도 괜찮은 편이며 중간 수요도 좋은 편이다. 다만 출퇴근 시간대에는 경동시장사거리 - 종암사거리 구간 정체가 심하여 이 구간에서 많이 밀리나 방학사거리 - 미아사거리, 동대문구청 - 천호역 구간에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있어 심각한 문제는 아니다.(단 강동역 앞쪽에서 회차를 위해 루프를 그리기 때문에, 천호동 - 하남 중앙차로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배차 조율은 대부분 길동 방향에서 이루어지며 동대문구청 사거리에서 두 신호마다 좌회전하는 것이 정상적인 배차라고 한다. 단, 엄청나게 느리다. 모든 신호를 다 걸리고 가며, 특히 초록불일 때도 한번 이상은 걸렸다가 다시 초록불 되면 천천히 기어간다... 당연히 도봉로, 천호대로 저속 끝판왕이다.[7]
  • 또한, 개편 초기엔 144번의 차량 대수가 이 노선보다 10대 넘게 많았으나, 꾸준한 수요 증가로 지금은 이 노선이 더 많게 되었다.
  • 2015년 9월 24일에 KT가 이 버스 승객 중 선착순 130명에게 13,000원이 충전된 대한민국 통신 130주년 기념 교통카드를 증정했다. 카드 종류는 티머니였다. 관련 게시물
  • 낮 시간 때에, 회차 지점인 길동역에서 탈 때 앞뒤차가 밀려있으면, 앞차가 만차일 확률이 아주 높다. 그만큼 이용객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낮 2시 같은 여유있는 시간대에도 앞차는 만차고 뒷차는 텅텅 비는 등의 이용객 수 편차가 상당하다. 이럴 때엔 다음 차를 기다리거나, 몇 정거장만 가서 다른 버스로 갈아타는 편이 좋다.
  • 3212번과 더불어 강동성심병원을 경유하는 둘 뿐인 노선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30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30,376명
-
2014년
30,097명
▽ 279
2015년
31,073명
△ 976
2016년
30,684명
▽ 389
2017년
30,595명
▽ 89
2018년
29,966명
▽ 629
2019년
30,220명
△ 254
2020년
24,863명
▽ 5,357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34대 / 공휴일 31대 운행[2] 144번 감차분 2대(74사 3224, 3225호)가 이 노선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3] 심야버스로는 N13번도 있다. 하지만 이건 130번과 비교하면 굴곡 노선이다.[4] 혹은 환승을 2~3번 해야 한다. 우이신설선이 생기긴 했지만 아직은 비슷한 상황.[5] 개편 전에는 강북에서 강동으로 가려면 16-1번(現.1218번)과 26-1번(2004년 개편 이후 1125번)을 타고 답십리까지 가서 좌석버스인 959번, 1007번(現.9301번)으로 갈아타야만 했다.[6] 동일 권역 내 110번도 A,B 구분만 되었을 뿐 노선이 변경된 적은 없다.[7] 경동시장-동대문구청이 특히 막히는데 이때 130번이 붙어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럴 경우에 기사들은 동대문구청 사거리에서의 배차조절이 필수다.[8] 동대문구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