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10

 


110A번.
110B번.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10A번
기점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정릉북한산국립공원입구)
종점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정릉북한산국립공원입구)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00
막차
22:40
막차
23:45
평일배차
8~12분
주말배차
토요일 9~12분 / 공휴일 11~15분
운수사명
대진여객
인가대수
22대(예비 1대)[토·공휴일]
노선
정릉북한산국립공원입구 → 북한산보국문역 → 정릉우체국 → 길음역 → 종암경찰서 → 고려대역·고대앞사거리 → 경동시장 → 동대문구청·용두역마장축산물시장 → 성동구청·왕십리역 → 응봉동주민센터 → 옥정중학교 → 금남시장·백범학원터 → 순천향대병원한강진역·블루스퀘어이태원역녹사평역전쟁기념관·삼각지역효창공원앞역공덕역대흥역서강대학교 → 신촌로터리·신촌역 → 동교동삼거리 → 연남동 → 서대문구청·서대문보건소 → 유진상가 → 서울여자간호대학교상명대학교·세검정 → 평창동주민센터 → 평창동롯데캐슬 → 북악터널국민대학교 → 정릉우체국 → 북한산보국문역 → 정릉북한산국립공원입구
[ 지도 노선도 보기 ]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10B번
기점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정릉북한산국립공원입구)
종점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정릉북한산국립공원입구)
종점

첫차
04:05
기점

첫차
05:00
막차
22:45
막차
23:50
평일배차
8~12분
주말배차
토요일 9~12분 / 공휴일 11~15분
운수사명
대진여객
인가대수
23대(예비 1대)[토·공휴일]
노선
정릉북한산국립공원입구 → 북한산보국문역 → 정릉우체국 → 국민대학교북악터널 → 평창동롯데캐슬 → 평창동주민센터 → 상명대학교·세검정 →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유진상가 → 서대문구청·서대문보건소 → 연남동 → 동교동삼거리 → 신촌로터리·신촌역서강대학교대흥역공덕역효창공원앞역전쟁기념관·삼각지역녹사평역이태원역한강진역·블루스퀘어순천향대병원 → 금남시장·백범학원터 → 옥정중학교 → 응봉동주민센터 → 성동구청·왕십리역마장축산물시장 → 동대문구청·용두역경동시장고려대역·고대앞사거리 → 종암경찰서 → 길음역 → 정릉우체국 → 북한산보국문역 → 정릉북한산국립공원입구

2. 개요


대진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A노선이 36.9km, B노선이 36.8km다.(110A번, 110B번)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1] 노선은 구 8번과 522-2번 등에서 가지고 왔다. 이 때도 순환노선이었으며, 당시엔 시계 방향을 고려대 방면, 반시계 방향을 국민대 방면이라고 분류했다.
  • 2008년 6월 12일에 시계 방향이 110A번으로, 반시계 방향이 110B번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A노선은 일반버스 10대, 저상버스 12대, B노선은 일반버스 13대, 저상버스 10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 정릉동에서는 두 노선이 겹치므로 행선지를 잘 보고 타야 하며, A/B노선 간 환승이 가능하다.
  • 대진여객 내에 유일하게 에어서스가 달린 뉴슈퍼에어로시티 F/L 가스차가 있는 노선이다. 딱 1대, A노선의 13년식 3367호이다. 또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 중 사각램프 슈퍼 에어로시티가 꽤 오래 살아남았던 노선이기도 하며, 한때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다니기도 했었다.
  • 한때 110A번과 달리 110B번은 저상버스 도입에 인색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110A는 2016년 이후에도 저상 신차가 조금이나마 들어가고 있지만 110B는 2015년식 단 1대가 그래도 최신 취급을 받고 있었고 나머지는 전부 2010~13년식의 구형차량이었다. 한술 더 떠서 있던 구형 저상버스도 전부 일반으로 교체시켰다. 그나마 2020년 후반 162번 전기버스 도입으로 인해 개선형저상 몇 대가 이 노선으로 내려왔다. 저상과 고상 비율이 엇비슷한 110A는 평일 기준 저상과 고상을 번갈아 출발시킨다.
  • 사족으로 A/B 방식을 처음 배정받을 때 이 노선 외에도 순환식으로는 2012번과 1125번이 있었다. 2012번의 경우는 배차간격 문제로 인해 분리되었고 1125번은 노선 과다 중복으로 폐선 되어 각각 1111번, 101번 공동배차로 변경 되었다. 현재 110번 외에 5522A/B번, 6640A/B번이 있는 상태.
  • 노선 선형을 보면 알겠지만, ㆁ모양으로 정릉, 홍은동, 동교동, 신촌, 대흥동, 공덕동, 이태원, 한남동, 옥수동, 왕십리, 경동시장, 고려대 등등 강북 곳곳을 잇는 순환선의 역할을 하고 있기에 빛을 발하고 있는 노선이다. 특히 110B번의 경우 RH 시간대에 서대문구청 및 연남동 일대에서 7612번과 맞먹는 가축수송이 기본이며, 뿐만 아니라 고려대학교와 국민대학교, 서강대학교 등의 통학 수요와 더불어 북한산 등산객 수요도 톡톡히 잡는 노선이다. 마포구~성동구 수요도 잘 잡고 있으며, 특히 옥수동에서 신촌이나 홍대를 오고갈때 이 노선이 특히 중요하다! 홍익대는 동교동삼거리에서 내려서 조금만 걸어가면 홍대역이 있다.
  • 버스 동호인들에게도 잘 회자되지 않는 내용이 있는데, 바로 이 노선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중 총 승객 수 상위권이라는 점이다. A/B 노선을 합치면 하루에 약 3만 명 가량 이용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 노선 역시 장거리 이동보다 구간구간 단거리 이동에 특화된 노선이라 승객수요가 높다. 워낙 조용히 다니는 노선이라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143번과 함께 대진여객을 대표하는 노선이다.
  • 강북 지역을 순환하며 성북구, 동대문구, 성동구, 용산구, 마포구, 서대문구, 종로구를 이어준다. 참고로 A와 B를 합하면 왕복 73km 정도 되는 장거리 노선이기도 하다. 그러나 순환형 노선임을 감안하더라도 굴곡은 거의 없는 편이다. 정릉동, 종암사거리, 응봉동, 한남오거리, 한강진역, 녹사평역, 신촌, 동교동이 좌/우회전 구간의 전부이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모두 직진만 한다.
  • 동사 노선 중 그나마 가장 저속 운행을 덜 하는 노선이다. 그렇다고 해서 절대 빠르거나 난폭운전을 하는 것은 아니고, 용마루 고개에 올라갈 때 차가 덜덜거리는 게 일상이고 가끔은 740번, 241번에 추월당하기까지 한다.
  • 운전석 격벽에 영문, 한자 표기 운임요금표가 있다.
  • 여담으로 110A번의 경우 간선버스임에도 불구하고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지 않는다. 110B번은 신촌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동교동삼거리(14061) 정류장에 정차한다. [2] 110A번은 서강대에서 올라오자마자 신촌오거리 중앙차로로 바로 진입하기 어렵고, 어차피 그 다음 정류장인 동교동삼거리에서 연희동으로 빠져나가기 위해 가변차로에 정차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 110A번은 행당신동아.행당푸르지오아파트 (04272)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이는 2016번, 421번도 마찬가지. 정릉2동주민센터 (08117) 정류소도 유턴 관계로 정차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정릉우체국앞에서 하차하거나 북악중학교, 봉국사 정류소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자.
  • 110B번은 정릉2동주민센터 (08118) 정류소에 정차하지 않고 정릉우체국앞에서 바로 봉국사 정류소에 정차한다. 정릉2동주민센터에서 정릉우체국앞까지 거리가 50m도 안되기때문에 정차목록에서 삭제한듯하다. 110B번을 이용하려면 정릉우체국앞에서 이용하자
  • 개편 이후로도 한 번도 변경되지 않은 노선들 중 하나이다. 다만 110A는 과거 북한남삼거리 좌회전이 불가능했던 관계로 정차하는 정류장 없이 버티고개(장충단로) 삼거리까지 올라가서 U턴했다. 때문에 노선 총 연장이 외선인 B보다 100m 길게 인가되어 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10A번
<color=#fefefe> 연도
<color=#fefefe> 일평균 승차량
<color=#fefefe>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5,092명
-
2014년
14,764명
▽ 328
2015년
14,508명
▽ 256
2016년
14,603명
△ 95
2017년
14,716명
△ 113
2018년
14,228명
▽ 488
2019년
14,315명
△ 87
2020년
10,906명
▽ 3,409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10B번
<color=#fefefe> 연도
<color=#fefefe> 일평균 승차량
<color=#fefefe>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6,236명
-
2014년
16,097명
▽ 140
2015년
15,631명
▽ 466
2016년
15,430명
▽ 201
2017년
15,436명
△ 6
2018년
15,051명
▽ 385
2019년
15,232명
△ 181
2020년
12,051명
▽ 3,181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용두역, 왕십리역[A], 신촌역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길음역, 삼각지역[3]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왕십리역[A], 공덕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고려대역, 한강진역, 이태원역, 녹사평역, 삼각지역[4], 효창공원앞역, 공덕역, 대흥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왕십리역[A], 효창공원앞역, 공덕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왕십리역[A]
  • [image]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보국문역, 정릉역[5]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역
  • 일반 철도역: 왕십리역(ITX-청춘)[A]


[토·공휴일] A B 토요일 18대 / 공휴일 16대 운행[1] 개편 당시 계획에서는 보국문로(정릉우체국~북한산)로 들어가지 않고 정릉로(숭덕초교~정릉2동주민센터)를 직통하여 2호선처럼 완전한 순환 형태로 만드려고 했었다. 개편 전 배포했던 간선버스 노선도에서도 이 점이 반영되어 있었다. 하지만 차고지와 운전기사 휴식 문제로 개편 직전 현재의 형태로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사실 원안대로 갔더라면 정릉4동 일대는 1번, 5-1번, 16번같은 걸출한 노선들이 죄다 사라지고 162번(3번)과 143번(710번), 그리고 16번을 반토막낸 1012번과 1번을 반토막낸 1013,1014번, 그리고 존재감이 공기에 가까운 1113번(450-1번)만 남게 될 상황이었으니 문제가 컸었을 것이다. 1012,1013도 노선에 결함이 많아서 금방 폐선되어버렸고 1113번은 배차간격이 너무 길고 1014번은 풍림아파트를 위한 노선이라는 성격이 강해서 현재도 정릉 일대에선 110번이 차지하는 지분이 꽤 된다.[2] 하지만 110B의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도 거기가 끝이다.[A] A B C D E 성동구청 하차[3] 전쟁기념관 하차[4] 전쟁기념관 하차[5] 숭덕초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