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고속도로/구간
1. 개요
'''목포시'''[1] - 무안군 - 함평군 - 영광군 - 고창군 - 부안군 - 김제시 - '''군산시''' - 서천군 - 보령시 - 홍성군 - 서산시 - '''당진시''' - 평택시 - 화성시 - 안산시 - 시흥시 - 안양시 - 광명시 - '''서울특별시'''
죽림 분기점 - 매송 나들목 구간 최고속도는 110㎞/h, 매송 나들목 - 금천 나들목 구간 최고속도는 100km/h 고속도로이다.
착공 전 나들목 계획과는 나들목 여러 곳의 이름이 바뀌었다.(흥덕→선운산, 군산→동군산, 북군산→군산, 주산→춘장대, 안중→서평택)
여담이지만 매송 - 서울 구간에서는 행정구역이 빈번하게 바뀐다. 화성 - 안산 - 군포 - 안산 - 시흥 - 광명 - 안양 - 광명 - 안양 - 광명 - 안양 - 서울 순서로 바뀌는데, 길이는 23.2km밖에 되지 않는 구간이 7개의 지방자치단체들을 지나고 행정구역 경계를 '''11번''' 넘는다.
홍성 ~ 군산 구간은 장항선 노선을 비슷하게 따라가는 구간이고, 서울 - 무안 또는 목포 구간의 전체적인 경로를 보면 서울에서 목포로 갈 때 호남선과 호남고속철도의 경쟁자이다. 안양 이남부터는 계속 서해안 인접지역만을 따라 내려가는데, 지도를 보면 충남 서해안 지역은 경기도와 전라도보다 더 서쪽으로 치우쳐 있어 수도권에서 이 도로를 따라 호남 서해안으로 갈 때는 조금 우회하게 된다.[2] 서해선 복선전철 개통 시엔 안산 ~ 홍성 구간이 비슷하게 따라가게 된다.[3] 한마디로 안산 ~ 홍성은 서해선, 홍성~군산은 장항선, 기점과 종점은 호남선과 연관이 있다. 철도 노선과 멀기도 하면서 가까운 연관성이 있는 고속도로.
2. 나들목, 분기점, 요금소, 휴게소 목록
[1] 목포 나들목 - 죽림 분기점 구간이 국도로 격하되었기 때문에 직접 경유하지는 않는다고 할 수 있다.[2] 경부 - 논산천안 - 서천공주 루트가 최단경로에 가깝다.[3] 차이점이라면 평택을 지나 바로 당진시가 아닌, 서해안고속도로는 지나지 않는 아산시를 먼저 지나고 당진시 외곽인 합덕역을 지나 홍성군으로 간다. 결국 서산시는 아예 거치지 않는다.[4] 2011년 12월 23일 2번 국도 무영로가 개통됨에 따라 목포IC ~ 죽림JC 구간이 2번 국도로 이관되었다.[5] 목포방향 진출입시 요금 지불.[6] 2개의 분기점을 합해서 양방향 진출입 가능.[7]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방면에서 성산대교방면으로 진입 불가[8] 성산대교방향 진출입만 가능.[9] 목포방향 진출입만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