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버스 9300

 


[ 관련 틀 펼치기 · 접기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성남시 직행좌석버스 9300번
기점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도촌동9단지앞)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가(숭례문)
종점행
첫차
05:20
기점행
첫차
06:20
막차
23:00
막차
23:50
평일배차
출퇴근 8~10분/평시 13~20분
휴일배차
30~60분
운수사명
대원버스
인가대수
14대[1]
노선
도촌동9단지 - 섬마을 - 매화마을 - 야탑중학교 - 야탑역 - 탑마을 - 벌말육교 - 보평중(봇들마을) - 백현마을1단지 - 낙생육교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병원 - 남대문세무서 → 종로2가사거리 → 광교(을지로입구역) → 북창동 → 서울역버스환승센터(5번 승강장) → 숭례문 → 명동국민은행 → 서울백병원 → 이후 역순
'''중간 출발 정류장'''
'''서울역''' 방향
벌말육교 평일 07:15, 07:35
'''판교/도촌동''' 방향
없음

2. 개요


대원버스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이 노선의 이전 인가분은 8130번 간선급행버스(무지개마을 - 정자주민센터 - 우성프라자 - 이매촌한신아파트 - 서울역)였다. 이 구간에 다른 직행좌석버스 노선들이 자주 다니다보니 경쟁력이 부족했다.
  • 반대로, 야탑에서 서울 도심으로 가는 노선은 1500번과 8150번이 있었는데, 1500번은 내곡고속화도로와 강남대로를 경유해 서울도심으로 진입해 소요시간이 오래 걸렸던 데다 야탑에 오기도 전에 자리가 다 채워져서 입석으로 들어왔고, 8150번은 내곡고속화도로를 타고 양재IC를 통해 경부고속도로로 진입해 염곡사거리에서 시간을 잡아먹었다. 그래서 판교IC로 진입해 서울로 가는 노선을 끊임없이 요구해 왔다.
  • 동판교의 경우 운중동/서판교에 서울역(9003), 강남역(9004), 잠실역(9005) 행 노선이 신설된 것과는 달리 별다른 노선이 신설되지 않았다. 이런 동서차별에 대해 불만이 많아 지속적으로 노선신설 민원을 시청에 넣었다. 그 당시 판교IC에 가까운 백현마을이라 하더라도, 이 지역에서 아침에 서울 가는 직행좌석이나 광역버스에 앉아가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이었기 때문이었으나, 현재는 판교역동편과 낙생육교, 판교테크노밸리9007번이 다니면서 실낱같은 희망이 생겼다.
  •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성남시청이 고민하던 차에 마침 도촌동에 택지지구 입주가 시작되었다. 도촌동 출퇴근 수요와 위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2010년 3월 24일에 8130번을 직행좌석버스로 전환하였고, 번호도 9300번으로 바꾸었다.
  • 보조금 지급 문제 등으로 인해 2010년 7월 21일에 노선이 대원고속에서 대원버스로 이관되었다.
  • 2017년 12월 31일부터 삼일대로 중앙차로 대신에 가변차로 정류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018년 12월 7일부터 가로변 정류장인 청계2가교차로 대신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인 종로2가사거리(01-001)에 정차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남대문세무서에서는 그대로 가변차로에 정차한다. 관련 게시물
  • 2020년 7월 9일부터 서울역버스환승센터 5번 승강장 공사로 인해 6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 2020년 9월 6일에 서울역버스환승센터 5번 승강장 공사가 마무리 되면서 5번 승강장으로 다시 환원되었다.

4. 특징


  • 고급차량인 FX 116이 아주 잠깐 다녔다가 다른 노선으로 빠졌고, 현재는 그 직전 모델인 BH116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꽤 많이 운행 중인 노선. 그러나 전반적인 차량 상태는 군포 가는 좌석버스보단 훨씬 좋다. 이로 인한 신차 투입 민원까지 발생했다는 썰. 결국 고속도로 경유 좌석버스 입석 금지 시행 이후 타 노선에서 빠진 FX II 116 가스차량이 3대 가량 투입되었다.[2] 그리고 이 차와 하모니 신차를 제외한 나머지 차량들은 모두 가스차량이다. 그러나 2017년 11월에 FX116 하모니가 2대 투입되어 전문형 차량이 3대로 늘어났다.
  • 103번, 3330번과 같은 지점에서 출발하여, 3330번과는 기점부터 야탑역까지의 구간은 완벽히 겹친다.[3] 단, 3330번은 서현역을 경유하기 위해 성남대로 따라 이매촌한신아파트까지 내려간 후 판교IC로 올라오는 반면, 103번과 이 노선은 탑마을과 봇들마을을 경유한다.
  • 도촌동, 매화마을, 야탑쪽에서 강남대로로 접근하는 노선은 1005번이나 9408번이 있는데, 1005번은 도촌동 출발이 아닌 경기도 광주 출발인 점과 야탑중 미경유인 것만 제외하면 이 노선과 성남 구간이 완전히 똑같다[4]. 잠실역행 및 심야 운행은 9403번이 있다.
  • 평일과 주말의 배차시간이 다른데 체감상 주말이 평일의 약 2배 정도 길다. 주말에 이 버스를 기다리는 경우 정류장에 적혀있는 배차시간에 속지 말 것. 2014년 11월 기준 평일에는 14대, 토요일에는 8대, 일요일에는 5대가 운행한다. 일요일이나 공휴일 밤같은 경우엔 노선 전체에 단 2대가 운행중인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야간 운행 시간은 도촌동-도촌동 2시간 30분 정도.
  • BH116 중에서 차량번호가 번호판과 운전석 창문 상단의 스티커가 서로 안 맞는 차가 있었다. 후자가 광주면허(77바) 시절 차량번호였던 것으로 추정.
  • 대원버스의 직행좌석버스 중 성남시 와이파이가 되는 몇 안되는 노선 중 하나다.
  • 가스충전은 자사 영업소가 있는 사송동공영차고지가 아닌 상탑동 성남시내버스 차고지에서 진행하는데, 이곳이 도촌동에서 사송동보다 더 가깝기 때문. 3330번도 마찬가지다.
  • 배차간격이 좋지 못하다. 출퇴근 시간대에도 12분 이상 벌어질 때가 비일비재하지만 평시는 더 최악으로, 15분이 기본이다. 거기에 주말에는 20분 이상이 기본이며, 일요일에는 30분이 넘어간다. 이럴 땐 차라리 종로에서 다른 버스를 타고 서현이나 수내 언저리에서 환승해 야탑으로 올라가는 것이 빠를 정도.
  • 9401번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해 지속적인 감차 중인 9000번과는 달리 승객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는 승차량 통계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그래서인지 추가로 출퇴근 시간대에 전세버스도 편성. 감차가 심한 토/일에 서울 방면 한정 만석인 경우가 아주 많아 일정 수준 증차가 필요해 보였는데 경기도가 발표한 2020년 2층 버스 투입계획에 따르면 이 노선에 2층 버스가 2대 도입된다고 한다! 그것도 대차분이 아닌 증차분으로 도입 된다고 한다. 출처
  • 2015년식 유로6 전문형 차량이 다른 노선으로 빠졌다가 에버랜드영업소 가스 충전소가 완공되면서 1241번 출신 차량 2대가 넘어왔다.
  • 3330번과 더불어 전국에서 마지막으로 돌고래 페이스의 BH116을 운행한 노선이다. 연이어 9003번과 함께 BH116 F/L을 운행했던 노선이다.[5][6]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평일'''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2년
2,826

2013년
2,908
△ 82
2014년
2,806
▽ 102
2015년
3,543
△ 737
2016년
3,449
▽ 94
2017년
3,453
△ 4
2018년
3,645
△ 192
2019년
3,792
△ 147
'''주말'''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2년
1,687

2013년
1,086
▽ 601
2014년
2,119
△ 1,033
2015년
2,365
△ 246
2016년
2,155
▽ 210
2017년
2,083
▽ 72
2018년
2,530
△ 447
2019년
1,750
▽ 780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엔 9대, 공휴일엔 4대만 운행.[2] 그 중 1대는 벌써 고장난 좌석이 있는 게 함정. 좌석버스 입석 금지 시행 이후 오랜된 버스는 뒷문을 막고, 의자를 조금씩 앞으로 당겼다.다리긴 사람은 앉아서 가면 무릎에 피멍든다. 고급차량 역시 좌석 앞뒤 간격이 상당히 좁아서 마찬가지이다.[3] 103번은 매화마을에서 한 블럭 밑 도로를 따라 운행하다가 야탑역에서 만난다.[4] 9408번은 성남시청 및 대왕판교로 경유.[5] 8600호는 2020년 11월 중순에 유니버스 프라임으로 대차되었으며, 8796호는 2020년 6월에 경기고속 시외부 출신 FX II 116으로 대차되었는데, 시외부 출신이라 스윙도어 등 사양이 시내부 것들보다 좋다.[6] 최근 대우버스의 국내공장 가동중단과 코로나19 사태로 신차를 투입할 여유가 없어 시외부 소속 FX II 116 차량을 시내부 소속으로 변경하여 운행하고 있으며, 이 차량들은 본 노선과 6900번 등에 투입되고 있다. 그러다 더는 버틸 수 없었는지, 2020년 가을부터 유니버스 프라임으로 신차를 출고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