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버스 9007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수요
4.2. 운행문제
4.3. 판교 심야 버스의 본좌
4.4.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성남시 직행좌석버스 900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운중동먹거리촌)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서울역버스환승센터)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6:00
막차
22:50
막차
23:50
평일배차
출퇴근 12분/평시 20분
휴일배차
30분
운수업체
대원버스
인가대수
13대[1]
노선
운중동먹거리촌 - 운중초등학교 - 운중동행정복지센터 - 판교청소년수련관·판교종합사회복지관 - 판교동행정복지센터 - 성내미육교·판교박물관 - SK플래닛·판교디지털센터 - 유라코퍼레이션·SK케미칼 - H스퀘어 - 엔씨소프트·안랩 - 동안교 - 판교역북편 - 판교역동편 - (→ 낙생육교[2] →) - 판교IC - 경부고속도로 - 반포IC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반포대교 - 국군재정관리단 - 남산3호터널·서울애니메이션센터 → 롯데영프라자 → 서울시청 → 서소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5번 승강장) → 숭례문남대문시장 → 남산3호터널 → 이후 역순
[image] 성남시 직행좌석버스 9007-1번
기점
[출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SK플래닛.판교디지털센터)
[도착]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한국학중앙연구원)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서울역버스환승센터)
종점행
첫차
17:30
기점행
첫차
18:30
막차
18:10
막차
19:10
평일배차
일 3회
휴일배차
'''미운행'''
운수업체
대원버스
인가대수
-[3]
노선
SK플래닛·판교디지털센터 → 판교IC경부고속도로반포IC서울고속버스터미널반포대교 → 국군재정관리단 → 남산3호터널·서울애니메이션센터 → 롯데영프라자 → 서울시청 → 서소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5번 승강장) → 숭례문남대문시장 → 남산3호터널 → 이후 9007번과 동일

2. 개요


대원버스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성남시 서판교 운중동에서 판교테크노밸리를 거쳐 서울역을 잇는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9007-1번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14년 7월 16일부터 고속터미널을 거쳐서 남산3호터널을 통과하도록 노선이 완전히 변경되었다. 이후 고속터미널을 미경유하다가 며칠 후 비공식적으로 정차하기 시작했고, 이후 공식적으로 정류장까지 생겼다. 서울역 방면은 신세계백화점 건너편 반포쇼핑타운 앞 가변 정류장에, 판교 방면은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20년 7월 9일부터 서울역버스환승센터 5번 승강장 공사로 인해 6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 2020년 9월 6일에 서울역버스환승센터 5번 승강장 공사가 마무리 되면서 5번 승강장으로 다시 환원되었다.
  • 2020년 9월 18일부터 서소문을 경유하는 것으로 회차경로가 변경되었다.
  • 2020년 11월 2일부터 출퇴근용 노선인 9007-1번이 신설되었다.

4. 특징


  • 운중동에서 출발하지만 운중동 주민들은 잘 이용 안하고 판교동 주민들과 특히, 서울시민들이 이용하는 노선이다.
  • 경기도 직행좌석으로는 유일하게 해방촌남산3호터널을 경유하고 덤으로 용산 미군부대 앞까지 다니는, 꽤나 특색있는 노선이다. 사실은 서울 버스 401이 이 구간의 완행격 일반버스 노선이고, 특히 중요한 점은 개편 전 고급좌석버스 1005번(2004년 1월 폐선)이 다니던 구간이라는 점이다. 1990년대의 1005번이라 함은 지금의 농어촌버스마냥 배차간격이 들쑥날쑥한 그런 버스가 아니라, 당시 신축이던 분당신도시를 대표하던 핵심 노선이었다.
  • 판교에서 직행으로 이태원동까지 갈 수 있는 노선이다.
  • 고속터미널에 정차하게 되면서 9호선 연계 수요가 몰리는 편이다. 실제로 여의도, 노량진 등 9호선 연선지역으로 이동할때 신분당선이 강남 이후로 연장되지 않은 관계로 두번의 환승이 필요하다. 허나 이 버스는 판교IC에서 고속터미널까지 양방향 모두 20분안에 이동이 가능하다. 이 때문인지 판교 방향 버스는 도심지역에서의 승차량보다 고속터미널 정류장 한 곳에서의 승차량이 더 많은 경우도 있다.
  • 명동국민은행 정류장이 아닌 롯데영프라자 정류장에 정차하니 혼동에 주의.
  • 9007-1번 버스는 SK플래닛.판교디지털센터에서 판교역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판교IC로 진입한다.[4]

4.1. 수요


서판교 주민들 중에서도 운중로 인근에 위치한 운중동 ,판교동 (1,2,3,5단지) 주민들은 9003번을 타지만(9007번이 먼저와도 타지 않음, 기다렸다가 9003번 타고 가는게 더 빨리 간다.), 서판교로 인근의 판교원마을 9,10,11,12 단지 주민들은 9007번을 잘 이용하고 있다. 차고지 문제로 서판교에서 출발하긴 하지만 서판교보다는 동판교의 판교테크노밸리의 수요를 목표로 만들었기 때문인데, 실제로 출퇴근 시간 서울방향 NC소프트 앞에서 보면 가축수송은 기본이고, 평일 평시에도 입석 정도는 깔고 낙생육교를 출발하는 편이다. 버스어플을 통해 잔여좌석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경기도-서울 광역버스와는 다르게 역방향으로 수요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침에는 서울역에서부터 만석이다(...) 서판교 지역에서는 언급한대로 9003번이 더 빠르기 때문에 정방향 수요는 9003번이 주로 담당하고, 판교 테크노밸리로 출퇴근 하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해서 오전엔 내려오는 차가 만석이고 오후 6시 이후엔 올라가는 차가 만석이다.
노선의 양 끝에 해당하는 서판교와 강북도심 간을 오가기 위해 이용하는 승객은 별로 없다. 반포대교가 워낙 막히는데다가 고속터미널로 돌아가기 때문에 서판교와 강북도심을 오가는 승객은 대부분 9003번을 이용한다. 즉 판교 ~ 고속터미널(과 3, 7, 9호선 환승연계), 고속터미널 ~ 도심의 구간수요로 완벽하게 갈린다고 볼 수 있다. 후자, 즉 '''서울시내 수요'''가 의외로 상당히 큰 게, 지하철로는 4호선을 타고 한강로-동작대교 방향으로 우회하는 데다가 동작역에서의 환승(그것도 '''막장환승'''[5])이 필요한데 비해서, 버스로는 한 방이면서 '''직행좌석버스답게''' 그 사이의 녹사평대로 상의 모든 정류장에 다 서지 않기 때문에[6] '''빠르다.''' 고터의 수요 요인이 시외교통, 주변 반포 아파트단지, 고터몰과 신세계백화점 등 상권, 지하철 3, 7, 9호선 연계 등으로 많기도 하고.[7] 비슷한 예로 광주의 3201번이 있는데, 이 노선도 서울역-양재역 간 수요가 많다.

4.2. 운행문제


버스 입석금지 시행과 함께 성남시에서는 이 노선이 판교테크노밸리를 관통하는 노선으로서 출퇴근 시간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되어 기존 1호터널 노선으로 서울시에 증차를 요청했는데 남산1호터널의 과밀이 문제가 되어서, 결국 3호터널 통과 노선으로 변경하여 증차가 합의되었다고 한다.[8]
그래서 8대에서 14대로 증차될 예정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노선만 변경되고 증차 약속은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잠시 10대로 운행하다가 8월 중순엔 다시 8대로 줄였다. 2014년 11월 기준으로 평일에 9대, 주말/공휴일에는 단 '''3대'''(!)가 운행한다.
2020년 11월 7일부터 주말에 운행하는 버스 인가대수를 기존 3~4대에서 8~9대로 대폭 증차하였다.

4.3. 판교 심야 버스의 본좌


서울역에서 11시 50분에 출발하고 강남 반포쪽을 거쳐가기 때문에 판교IC에 도착하는데만 무려 1시 조금 전에 도착한다. 반포, 고속터미널에서도 자정을 지나서 판교 지방으로 갈 수 있는 유일한 버스 중 하나고 자정 넘어서는 판교역에서도 서판교쪽으로 가는 희망같은 버스라서 동판교쪽에서 서판교로 집에 갈려는 서판교 주민들은 이 버스 막차 놓치면 택시 타야하니 무조건 이 버스 막차를 타자.

4.4.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평일'''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3,262
2015년
2,520
▽ 742
2016년
3,250
△ 730
2017년
3,601
△ 351
2018년
3,773
△ 172
2019년
3,702
▽ 71
2020년
2,946
▽ 756
'''주말'''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863
2015년
529
▽ 334
2016년
690
△ 161
2017년
631
▽ 59
2018년
1,022
△ 391
2019년
637
▽ 385
2020년
599
▽ 38

5. 연계 철도역


[1] 주말에는 8~9대로 운행한다.[2] 운중동 방면의 경우 판교IC 나오자마자 바로 좌회전을 해야하기 때문에 경유하지 않는다.[3] 9007번 소속 차량 3대가 임시로 평일 저녁시간 때만 9007-1번 간판을 달고 운행한다.[4] 상행(판교->서울역 방면)만 해당[5] 동작역은 4호선이 한강을 다리로 건너기 위해 지상으로 나와있고 9호선이 3기 지하철 계획 노선답게 심도가 깊다[6] 반면 (서울 간선)143번, 401번, 406번 등은 모든 정류장에 다 선다.[7] 직행좌석버스라 요금이 비싸서 시내구간 이용승객이 있을까 싶겠지만, '''일단 택시보다는 훨씬 싸거니와''' 빠르고 편리한 이동에 이것만한 노선이 더 없기 때문에 이용객이 꽤 보인다.[8] 사실 5007번도 같이 변경될 예정이였지만, 민원으로 인해 7월 15일에 변경이 철회되었다.[9] 남대문시장 정류장에서 약 200m.[10] 국군재정관리단 정류장에서 약 20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