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9408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 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8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구미동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3가(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30
막차
22:30
막차
00:10
평일배차
10~12분
주말배차
토요일 10~13분 / 공휴일 10~14분
운수사명
남성버스
인가대수
24대
노선
구미동차고지 - 오리역 - 무지개마을사거리 - 미금초등학교 - 정자3동행정복지센터 - 푸른마을 - 효자촌 - 서현중학교 - 새마을연수원입구 - 이매역 - 야탑역.성남종합버스터미널 - 성남시청 - 여수대교 - 시흥동행정복지센터 - 고등동우체국 - 효성고등학교 - 세곡푸르지오 - 헌인릉·강남서초예비군훈련장 - 안골마을 - 염곡마을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신반포역 - 구반포역 - 동작역.국립서울현충원 - 흑석역.명수현대아파트 - 노들역 - 노량진역 - 대방역 - 신길역 → 경방 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 영등포로터리 → 신길역 → 이후 역순

2. 개요


남성버스에서 운행 중인 광역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3.6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736-1번 좌석버스(구미동 - 영등포역)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9408번으로 바뀌었다.
  •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에 대한 대책으로 2014년 7월 16일에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 경유에서 23번 지방도(고등동, 신촌동, 오야동)와 세곡동네거리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로 인해 굴곡 노선이 되어 표정속도가 감소하여 소요시간이 15분 정도 추가되었다. 따라서 이젠 영등포로 가지 않는 이상 전철을 타는 게 빠르다.[1]

4. 특징


  • 신반포로, 현충로와 노량진로를 경유하는 유일한 광역버스다.
  • 첫차 시간대에는 이용하는 승객이 적지 않다. 사실 분당에서 영등포 쪽을 간다고 해도, 9401번을 타고 서울역까지 가서 1호선을 타든, 이 노선으로 한 번에 가든 소요시간이 비슷한 편이다.
  • 분당에서 운행하는 다른 강남역 방면 광역버스와는 달리 야탑역을 경유하다 보니 소요시간이 더 걸린다. 야탑역 이남 지역에서는 영등포로 가려는 사람이 아니면 그다지 많이는 안 탄다. 야탑 이북에서는 서울시내 구간을 편히 이용하기 위해 탑승하는 승객도 적잖은 비중을 차지한다. 서울시내 구간 수요가 제법 있다.
  • 새벽시간대에는 소요시간이 그렇게 많이 걸리지는 않는 편이다. 구미동차고지에서 양재역까지 40분이면 도착한다. 다만 이 이후로 신호등에 걸리거나 정체가 심하면 영등포역까지 40분이 더 걸릴 수 있다.
  • 9404번과 더불어 남성버스 소속 노선 중 자일대우버스가 다니는 노선이다. 2014년식 FXII116 차량이다.
  • 세곡동사거리 - 시흥동 구간은 승차표시를 미리 안하면 그냥 지나가거나 한참 앞에 세우는 경우가 있어 승차 표시를 확실히 해주는 것이 좋다. 100km/h 이상 밟을 때도 종종 있다.
  • 영등포역 방면 기준 교육개발원입구 정류장에서 중앙차로에 진입하면 논현역까지 앞에서 다른 시내버스가 길막해서 빨리 가고 싶어도 빨리 갈 수가 없다. 논현역 정류소를 지나 좌회전해도 한정류장만 더 가면 또 중앙차로다. 그래서 교육개발원입구-구반포역 구간은 속도를 발휘하지 못한다. 하지만 현충로에 진입하면서부터 본색을 드러낸다. 이 구간은 승하차 승객이 거의 없어 정류장에 접근해도 크락션을 울린 다음 1차로로 과감히 정류장을 통과하는 스킬을 보여준다. 즉, 구반포역 - 노들역 구간은 사실상 무정차로 운행한다.
  • 전국 최초의 2020년형 유니버스 엘레강스를 투입했다.[2] 또한 9404번과 함께 서울 최후의 에어로 스페이스 LS가 운행 중이다.
  • 서울 광역버스 중 유일하게 5권역을 경유하는 노선이다.[3]

4.1. 일평균 승차 인원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8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5,215명
-
2014년
4,749명
▽ 466
2015년
3,692명
▽ 1,057
2016년
3,215명
▽ 477
2017년
3,157명
▽ 58
2018년
3,047명
▽ 110
2019년
3,121명
△ 74
2020년
2,276명
▽ 845
※ 하차 인원 미포함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4년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 조항으로 인해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 경유에서 23번 지방도(고등동, 신촌동, 오야동)와 세곡동네거리 경유로 변경하면서 배차가 늘고, 성남~서울 간 이동 메리트가 감소하면서 승객이 1000명이나 줄었다.

5. 연계 철도역




[1] 비슷한 사례로 9707번이 있는데, 원래 노선으로 환원되었다.[2] 뉴프리미엄 마스크로 변경된 모델.[3] 예전에는 5권역에서 출발하는 광역버스들도 있었지만 전부 간선버스로 전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