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주청년역

 


新義州靑年驛 / Sinŭiju Ch'ŏngnyŏn Station
'''신의주청년역'''
[ 여객열차 노선 보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평양 방면
남신의주
← 4.8 ㎞
평의선
급행열차

베이징 방면
단 둥
2.5 ㎞ →
운성 방면
남신의주
← 4.8 ㎞
<color=#373a3c>
평의선
준급행열차

시종착

<width=120px> [[평양역|{{{#585858
평양 방면

]]남신의주
← 4.8 ㎞
<color=#373a3c>
평의선
보통열차

}}}}}}

'''다국어 표기'''
영어
Sinŭiju Ch'ŏngnyŏn
한자
新義州靑年
중국어
新义州青年
일본어
新義州青年(シニジュチョンニョン
'''주소'''
평안북도 신의주시 역전동
(광복 당시 녹동)
'''관리역 등급'''
불명
(개천철도총국)
'''운영 기관'''
평의선

강안선
'''개업일'''
경의선
1906년 4월 3일
강안선
1911년 11월 1일
'''열차거리표'''
평양 방면
남신의주
← 5.2 ㎞
'''평의선'''
신의주청년
종점

기점

'''압록강철교'''
신의주청년
단둥 방면
단 둥
2.6 ㎞→
'''강안선'''
신의주청년
강안 방면
강 안
1.7 ㎞ →
1. 개요
2. 역 정보
3. 승강장
4. 역사 및 역 주변
5. 여담
6. 통일 이후

[image]
[image]
구 역사
[clearfix]

1. 개요


평의선의 철도역. 평안북도 신의주시 역전동(광복 당시 녹동) 소재.

2. 역 정보


경의선의 명목상 종점이자 평의선의 종점. 그리고 남만주철도의 기점. 서울역에서 출발한 열차가 경의선 개통 당시에는 이 역까지 운행하고 남만주철도(안봉선)를 통해 압록강을 건넌 뒤 하얼빈, 러시아 시베리아 횡단철도 방면으로 열차가 갔다.

3. 승강장


이 역의 크기는 2면 15선이며, 온갖 인입선이 나 있다. 또한 광장의 면적도 상당하다.

4. 역사 및 역 주변


1912년에 3층 벽돌조 건물로 지어져 1층은 역사로, 2,3층은 호텔과 레스토랑으로 운영되었으나, 6.25전쟁으로 건물이 파괴되었고 지금과 같은 건물로 바뀌었다.
역이 단둥시와의 교류 문제 때문에 신의주시의 서북쪽에 치우쳐 있다. 덕분에 신의주시 인민위원회(시청의 역할을 하는 행정기관) 청사는 서북쪽에 위치해 있고 무엇보다 신의주시 시가지가 서북쪽으로 치우쳐있는 편이다. 이 때문에 타 지역(의주군, 피현군 등)으로 분기하는 노선은 죄다 남신의주역에서 분기하게 된다.

5. 여담


과거에는 '신의주역'이었으나, 1978년# '신의주청년역'으로 개명당했다.

6. 통일 이후


우선 역명인 신의주청년역은 신의주역으로 돌아갈 것이다.[1] 애초에 청년이라는 명칭은 북한정권이 붙인거라 원래 명칭으로 되돌리는게 우선이다.
그리고 분단으로 끊어져 있는 경의선이 다시 제 모습을 찾고, 용산역이나 서울역에서 신의주역까지 가는 노선이 다시 부활할 것이다. 특히 이 역은 통일이 되면 매우 중요해질 가능성이 높은데, 이 역을 통해 '''중국으로 갈수 있기 때문이다.'''[2] 게다가 대중무역뿐만 아니라 중국 횡단철도몽골 횡단철도과 연결되는 시작역이어서 더욱 중요해진다. 경의선 항목 참고.

[1] 청진역, 해주역, 정주역 등도 원래대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2] 바로 이웃동네인 중국 단둥을 통해 KTX를 타고 시속 300km 이상으로 달린다고 가정하면 베이징시, 선양시, 하얼빈시 등의 도시를 3-4시간만에 주파할수 있다! 즉, 중국의 대도시와 일일 생활권으로 연결된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