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타고 있어요
[image]
Baby on board [1]
자동차에 부착하는 스티커에 씌여진 문구. '아기가'가 아니라 '아이가'로 바꿔서 쓴 문구도 흔하게 있다.
쉽게 말해 '''"아기를 태우고 있으니 너랑 나 모두 조심하자!"'''란 뜻이다. 아무래도 아기가 탑승했다고 한다면 과속, 난폭운전을 할 경우 몰상식한 사람이라 비난받을 것이야 안 봐도 비디오고, 반대로 아기가 타고 있는 차에게 느리게 간다고 경적을 울려대면 이것 역시 욕을 태바가지로 먹을 일이기에 뒤에 오는 차량이나 당사자에게도 심리적으로 안전 운전을 염두해 두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특히 한동안 고생고생하며 아기를 간신히 재워 놓았더니 뒤에서 경적을 울리는 통에 아기가 다시 울기 시작하거나 심하게는 경기를 일으킨다면 부모 입장에선 헬게이트 오픈.
그러나 일부 운전 미숙인 운전자가 아기를 탑승시키지도 않았으면서 변명 용도로 달고 다니는 경우도 흔하기에 본래의 의도가 퇴색되어진 경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이 스티커를 붙였으면서도 아이를 카시트에 태우지 않고 운전자나 동승자가 안고 탑승하는가 하면, 방향지시등도 켜지 않고 무리하게 끼어들기를 시도하는 등 민폐 운전을 하는 사례가 적잖이 목격되기에[2] 아예 이 문구 자체를 곱지 않게 보는 시선도 적지 않은 편.[3] 일부 운전자들 사이에서는 간혹 저 스티커만 붙여놓고 애는 태우지도 않은 채 민폐 운전하는 것들은 벌금 때리기는 당연하고, 스티커 자체도 못 붙이게 하거나, 아예 운전면허증을 몰수해야 한다는 등의 극단적인 주장들까지 나오기도 한다. 물론 애는 집에 두고 부모 중 한 쪽이 혼자 운전대를 잡았을 수도 있으므로 다짜고짜 섣부른 생각은 금물.
종종 아이의 성별, 나이, 혈액형까지 써 놓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개인정보를 대놓고 뿌리고 다니는 행위로써 매우 위험하며, 심하면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 애초에 구급차에선 수혈을 하지 않으며, 병원에선 사고지점에 있는 차뒷유리에 써놓은 글을 볼 수 있을 리 만무하고, 그 정도 큰 사고가 나면 뒷유리는 일단 깨진다. 스스로 잘못된 혈액형을 알고 있는 경우도 많아서 수혈 시엔 무조건 혈액형 검사를 한다.
"아이가 타고 있어요" 스티커의 불편한 그러나 정확한 진실
쓰여진 그대로 '''"아이가 타고 있다(동승하고 있다)"'''라는 것을 명시한 문구이다. 이 문구가 자동차 스티커에 쓰여진 사연이 참 슬픈데,
사실 그런 교통사고가 있었다는 뉴스 보도도 존재하지 않는데다가 일단 구조대원들이 도착하면 모든 생존자를 찾는 확인 작업까지 꼼꼼하게 행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실수는 일어나지도 않고, 궁극적으로 미국과 캐나다 같은 선진국들은 아기들이 타는 유아용 안전시트(Infant Car Seat)을 판매해서 아기가 있는 가정은 필히 구입해서 쓰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에도 도로교통법 제50조 1항에는 '유아(6세 미만 어린이)의 경우 이 유아용 안전시트를 장착한 후 좌석안전띠를 맨다'를 의무사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위반 시 3만원의 범칙금이 부과된다. 게다가 유아용 안전 시트가 있는 차의 경우 사고 시에 더 꼼꼼히 확인 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 도시전설을 사실로 믿고 아예 '사고 시 아이부터 구해 주세요.'라는 문구의 스티커를 붙이는 경우도 늘었으며, 상술한 혈액형을 붙이는 것도 이것의 연장선상에 있다. 유머로 이를 꼬아 '아이는 없으니 저부터 구해 주세요.'라는 스티커도 있다.
진짜 사연은 1980년, 독일에서 안전운전 문구가 씌여진 스티커를 달고 운행하는 차량들을 보고 자매지간인 패트리샤와 헬렌 브래들리 두 여성이 미국내에서 동일한 문구를 삽입한 스티커를 출시했으나 저조한 판매량으로 좌절했다. 이 아이디어에서 영감을 얻은 마이클 러너는 이 두 여성에게서 상품의 권한을 당시 미화 3만 달러(약 3천 114만원)에 사들여 훗날 아기전문용품기업인 '안전제일(Safety 1st)'을 설립해 "아기가 타고 있어요"라고 문구를 바꿔 판매하여 대박을 쳤다. 아기까지 차에 탑승시키고 운전하는 미국 부부들의 생활습관을 적용해 성공을 한 것.
관련 기사.
Baby on board [1]
1. 소개
자동차에 부착하는 스티커에 씌여진 문구. '아기가'가 아니라 '아이가'로 바꿔서 쓴 문구도 흔하게 있다.
쉽게 말해 '''"아기를 태우고 있으니 너랑 나 모두 조심하자!"'''란 뜻이다. 아무래도 아기가 탑승했다고 한다면 과속, 난폭운전을 할 경우 몰상식한 사람이라 비난받을 것이야 안 봐도 비디오고, 반대로 아기가 타고 있는 차에게 느리게 간다고 경적을 울려대면 이것 역시 욕을 태바가지로 먹을 일이기에 뒤에 오는 차량이나 당사자에게도 심리적으로 안전 운전을 염두해 두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특히 한동안 고생고생하며 아기를 간신히 재워 놓았더니 뒤에서 경적을 울리는 통에 아기가 다시 울기 시작하거나 심하게는 경기를 일으킨다면 부모 입장에선 헬게이트 오픈.
그러나 일부 운전 미숙인 운전자가 아기를 탑승시키지도 않았으면서 변명 용도로 달고 다니는 경우도 흔하기에 본래의 의도가 퇴색되어진 경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이 스티커를 붙였으면서도 아이를 카시트에 태우지 않고 운전자나 동승자가 안고 탑승하는가 하면, 방향지시등도 켜지 않고 무리하게 끼어들기를 시도하는 등 민폐 운전을 하는 사례가 적잖이 목격되기에[2] 아예 이 문구 자체를 곱지 않게 보는 시선도 적지 않은 편.[3] 일부 운전자들 사이에서는 간혹 저 스티커만 붙여놓고 애는 태우지도 않은 채 민폐 운전하는 것들은 벌금 때리기는 당연하고, 스티커 자체도 못 붙이게 하거나, 아예 운전면허증을 몰수해야 한다는 등의 극단적인 주장들까지 나오기도 한다. 물론 애는 집에 두고 부모 중 한 쪽이 혼자 운전대를 잡았을 수도 있으므로 다짜고짜 섣부른 생각은 금물.
종종 아이의 성별, 나이, 혈액형까지 써 놓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개인정보를 대놓고 뿌리고 다니는 행위로써 매우 위험하며, 심하면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 애초에 구급차에선 수혈을 하지 않으며, 병원에선 사고지점에 있는 차뒷유리에 써놓은 글을 볼 수 있을 리 만무하고, 그 정도 큰 사고가 나면 뒷유리는 일단 깨진다. 스스로 잘못된 혈액형을 알고 있는 경우도 많아서 수혈 시엔 무조건 혈액형 검사를 한다.
"아이가 타고 있어요" 스티커의 불편한 그러나 정확한 진실
2. 도시전설
쓰여진 그대로 '''"아이가 타고 있다(동승하고 있다)"'''라는 것을 명시한 문구이다. 이 문구가 자동차 스티커에 쓰여진 사연이 참 슬픈데,
...라고 흔히 알려져 있으나...2002년, 캐나다에서 아기를 탑승하고 차를 몰고 가던 부부가 교통사고를 당했다. 사고현장에 도착한 구조대원들은 처참하게 찌그러진 사고차량에서 부부를 구조해 응급차에 실어 병원으로 후송시켰다. 그 다음날 폐차장에서 사고차량을 살펴보던 중 뒷좌석에 탑승했던 아기가 얼어죽은 동사체로 발견되었다. '''이 사건 이후 아기가 승차한 차량에는 이 문구가 담긴 스티커를 의무적으로 부착시켜야 한다는 법령이 제정되었다.'''
사실 그런 교통사고가 있었다는 뉴스 보도도 존재하지 않는데다가 일단 구조대원들이 도착하면 모든 생존자를 찾는 확인 작업까지 꼼꼼하게 행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실수는 일어나지도 않고, 궁극적으로 미국과 캐나다 같은 선진국들은 아기들이 타는 유아용 안전시트(Infant Car Seat)을 판매해서 아기가 있는 가정은 필히 구입해서 쓰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에도 도로교통법 제50조 1항에는 '유아(6세 미만 어린이)의 경우 이 유아용 안전시트를 장착한 후 좌석안전띠를 맨다'를 의무사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위반 시 3만원의 범칙금이 부과된다. 게다가 유아용 안전 시트가 있는 차의 경우 사고 시에 더 꼼꼼히 확인 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 도시전설을 사실로 믿고 아예 '사고 시 아이부터 구해 주세요.'라는 문구의 스티커를 붙이는 경우도 늘었으며, 상술한 혈액형을 붙이는 것도 이것의 연장선상에 있다. 유머로 이를 꼬아 '아이는 없으니 저부터 구해 주세요.'라는 스티커도 있다.
3. 진짜 유래
진짜 사연은 1980년, 독일에서 안전운전 문구가 씌여진 스티커를 달고 운행하는 차량들을 보고 자매지간인 패트리샤와 헬렌 브래들리 두 여성이 미국내에서 동일한 문구를 삽입한 스티커를 출시했으나 저조한 판매량으로 좌절했다. 이 아이디어에서 영감을 얻은 마이클 러너는 이 두 여성에게서 상품의 권한을 당시 미화 3만 달러(약 3천 114만원)에 사들여 훗날 아기전문용품기업인 '안전제일(Safety 1st)'을 설립해 "아기가 타고 있어요"라고 문구를 바꿔 판매하여 대박을 쳤다. 아기까지 차에 탑승시키고 운전하는 미국 부부들의 생활습관을 적용해 성공을 한 것.
관련 기사.
4. 여담
- 간혹 이를 조금 바꿔서 "까칠한 아이가 타고 있어요" 같은 식으로 써 놓고 껌을 질겅질겅 씹고 있는 꼬마의 그림을 그려놓기도 한다. 또한 일부 장애아동이나 특수아동을 수송하는 복지관 차량에도 비슷한 문구를 걸어놓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대개 공익적인 의도이다. 근자에는 '어르신이 타고 있어요'도 등장했다.
- 말장난으로 아기가 타고 있는(...) 그림이나 영어로는 아기가 서핑보드나 스노보드, cooking board(...)를 타는 그림도 종종 쓰인다.
- 일본에서 한때 유행한 뒷차 난폭운전 방지책으로 노멘(노가쿠 가면) 모양 스티커를 자동차 뒷유리 또는 뒷좌석 헤드레스트에 달아 놓는 것이 있었다. 이런 식으로. 보는 사람에 따라 섬뜩한 느낌을 받을 수 있으니 클릭시 유의바람. 근데 실제로 해 본 사람의 후기에 따르면 효과는 확실하지만 대신 뒷유리에 비친 노멘이 룸미러에도 비쳐서 항상 보이는지라 운전자 본인도 노멘에게 쫓기는 느낌이 들어서 무섭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고.
[1] 도로에서 많이 보이는 '''Baby in car'''는 잘못된 표현이다. in car는 말 그대로 아기가 안에 있다는 것이고 on board가 탑승 중이라는 뜻. 또한 in car는 아기를 물건 취급한다는 오해도 불러올 수 있다.[2] 이런 경우 운전자는 대개 30대 초반에서 40대 초반 남성이다. 평일에는 대중교통이나 택시로 출퇴근하다가 주말에 자차를 갖고 나와 평소 운전 습관대로 차를 몰기 때문.[3] 특히 '소중한 내새끼 타고 있다', '까칠한 아기가 타고 있어요' 등의 좀 과격한 문구들은 애 있는 게 무슨 큰 벼슬도 아니면서 너무 유난 떠는 게 아니냐며 영유아 부모들 사이에서도 고깝게 보는 시선이 어느 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