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 사회주의

 


1. 개요
2. 역사
3. 성향
4. 대표적인 아랍사회주의자
5. 같이 보기


1. 개요


범아랍주의(Pan-Arabism)에 기반한 사회주의 이념이다. 아랍사회주의자들은 아랍 지역 내에서 주류 좌익기믹을 맡고 있다.[1] 20세기 중반에 아랍지역에서 이집트의 4차 중동 전쟁에서 선전한 것과 알제리의 독립으로 절정을 이루었으나, 20세기 후반 소련의 몰락과 붕괴 이후 이들도 타격을 받기 시작한 이래 쇠퇴하며 이슬람주의가 유행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들이 주로 내세우는 슬로건은 "단결[2], 자유, 사회주의"이다.

2. 역사


아랍사회주의는 20세기 중반 이후 크게 두 범주로 나뉘는데 정통 아랍사회주의적 성향의 '''나세르주의'''(Nasserism)와 개량 아랍사회주의 성향의 '''부흥주의'''(Ba'athism)가 있다.
이라크 인구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순니파 아랍인과[3] 프랑스 식민 시절부터 권력을 잡아 종교적 소수자에서 실세로 등장한 시리아알라위파의 경우는 자신들의 입지를 보완,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바트당을 중심으로 아랍 사회주의 정권을 수립, 유지했다. 바트주의의 경우는 학자에 따라 정통 사회주의가 아닌 극우 민족주의 내지 파시즘에 가깝다는 평을 받기도 하는데 이는 사실 바트주의가 스탈린주의의 영향을 진하게 받았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수에즈 운하 문제로 영국과 갈등을 빚은 후 소련의 지원을 받은 이집트, 반미 성향이 강했던 리비아, 알제리 전쟁 당시 소련군이 알제리 독립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고, 그 여파로 오늘날의 알제리 역시 아랍 사회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3. 성향


기본적으로 세속적 내셔널리즘을 기반한 이데올로기이며 세속주의를 지향한다. 보통 아랍지역에서 반서방 성향의 세속독재정권이라고 한다면 아랍사회주의 계열인 경우도 적지 않다.
이들은 반-제국주의를 추구하기 때문에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방세계에 명백히 비우호적'''이지만 정작 아랍 사회주의 자체가 서구적 내셔널리즘에 기반한 이념인데다가 주 기조는 세속적이며 좌파적이라서 '''이슬람주의자들과도 적대적'''이다.
아랍 사회주의자들의 가장 큰 업적은 '''아랍 기독교인의 권리를 향상 및 보장'''하고 '''여성 인권신장'''에 다소 기여했다는 점이다. 다만 아랍사회주의자들도 마인드가 20세기적 사고에 머물러있는 경우가 많아서 특히 이집트와 시리아의 경우 우민화 정책[4]을 적극 시행하며, 이집트의 경우에는 군부가 경제의 상당부분을 장악하고 산업부문을 방만하게 운영하여 경제 성장이 자꾸 뒤쳐지게 만들고 있다. 이들 역시 이슬람 근본주의자 못지않게 소수 민족을 탄압하는 경우도 있다.[5]
많은 아랍 사회주의 정권들은 종교적 보수주의[6]와 친서방 자유주의의 저항에 직면한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아랍 사회주의 정권들은 매우 권위주의적인 정부를 구성한 경우가 많다.

4. 대표적인 아랍사회주의자


 기타 아랍사회주의자에 대한[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아랍사회주의자)]
  • 기타[7]

5. 같이 보기


[1] 주류 우익은 걸프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다.[2] 또는 통일, 연합[3] 쉬아파 아랍인은 60%에 달함[4] 물론 이 나라 출신들이 다 우매한 바보라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서민 대상 교육 수준이 개판이라서 그렇지 상류층 출신들은 교육 수준이 높다.[5] 이는 바트당의 근간이 “아랍 민족주의”라는데서 기인한다.[6] 이슬람주의자도 포함[7] 기타에 적힌 해당 인물들도 아랍사회주의를 지향했지만 나세르주의자나 바트주의자로 완벽히 나뉘지 않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