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후보론

 


[image]
1. 개요
2. 과정
3. 영향


1. 개요


영남후보론(嶺南候補論)이란 호남을 기반으로 한 민주당계 정당이 대선에서 영호남 인구수의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 영남쪽에서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개혁 성향의 영남 출신 후보를 내야 한다는 것이다. 제15대 대선 이전부터 정계에서 논의되던 것이었으나 실제로 구현된 것은 제16대 대선에서 새천년민주당의 노무현 후보가 당선되면서 이뤄졌다. 현재까지도 이 영남 후보론은 직·간접적으로 민주당계 정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과정


제 15대 대선 당시 정계 복귀를 선언한 김대중에게 이기택 통합민주당 총재가 영남표가 지지하지 않는다는 DJ 불가론으로 물고 늘어졌다. 재야에서도 사정은 비슷했는데 특히 대표주자가 바로 유시민이었다. 자신의 저서인 《97대선 게임의 법칙》에서 김대중 불가론과 더불어 DJ가 아닌 제3의 후보를 내세워야만 정권교체가 가능하다는 논리를 내세웠다.[1][2]
그러나 대선에서 김대중 후보가 40만 표차의 차이로 이회창 후보에 신승을 거두면서[3] 이런 주장은 한동안 들어갔다. 하지만 16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영남을 석권하고 수도권에서 선전해 새천년민주당에 승리를 거두고[4], 각종 게이트 사건으로 국민의 정부레임덕에 들어서자 소장파 측에서는 국민참여 경선을 요구해 관철시켰다.
그 결과 치뤄진 경선에서 초반에는 한화갑과 이인제가 앞섰으나 광주광역시의 경선 직전 문화일보의 설문조사에서 노무현 후보가 이회창을 근소하게 앞서는 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 광주 경선에서는 전략적 투표로 노무현이 경선에서 승리하는 이변이 일어났고 이 여세를 몰아 경선과 대선에서 모두 승리하게 되었다.
이 영남후보론은 '''킹메이커'''라 불리는 김윤환 전 의원의 구상이기도 했다. 이회창에게 토사구팽 당한 복수를 하기 위해 박지원과 함께 추진했던 것.

3. 영향


대선 전부터 비주류 계열이었던 노무현이 대통령에 당선됨에 따라 여당이었음에도 새천년민주당의 주류였던 호남, 동교동계와 새로이 주류로 떠오른 노무현 사이에 심각한 대립이 있었다. 이 와중에 한나라당이 밀어붙인 대북송금 특검 법안에 대해서 노무현 대통령이 고심끝에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고, 승인하면서 호남과 김대중 대통령 지지세력 사이에서 노무현과 친노 세력에 대한 민심이 악화되었다.[5] 이런 상황에 노무현 집권 이후 민주당내에서 당을 장악하고 있는 구주류 동교동계에 대해서 신주류 친노세력이 일제히 정치개혁을 요구하면서 대립이 격화되었고, 양쪽 사이에 감정의 골이 깊어진다.[6] 결국 2003년말 노무현 대통령과 친노 세력이 탈당해서 신당 열린우리당을 창당하게 된다.
이러자 친노가 빠져나간 새천년민주당은 한나라당, 자민련과 손잡고 노무현을 탄핵소추했다. 그 외에도 재임 중에 전라도 정치인(국회의원) 들하고 정치를 못해먹겠다, “호남민들이 나를 찍은 이유는 이회창이 싫어서“라는 투의 발언을 말한다던지, 임기가 끝난 후에도 인터넷을 통해 '땅짚고 헤엄치려는 호남 정치인들과 호남표 받아 당선되려는 수도권 정치인들이 민주당을 망치고 있다'거나 '호남 단결로는 영원히 다수당이 될 수 없다'는 발언을 하여 구민주계(특히 호남 출신) 정치인들과 갈등을 일으켰다.
노무현 사후에 호남계 인사들과 친노 계파와의 갈등은 심해졌고, 결국 호남계 인사들은 안철수를 중심으로 국민의당을 창당한 뒤 '''제 3지대론'''과 친노의 호남소외론을 선거전략으로 들고 나왔다. 그 결과 20대 총선 당시 호남에서 5석을 제외하고 남은 23석을 싹쓸이하는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그 직후 대선에서 패배한 국민의당이 분당되고 더불어민주당이 호남 지역의 민심을 달래기 위해 광주형 일자리를 추진하게 되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한 뒤에는 영남후보론도 상대적으로 잠잠해졌다. 앞서 말한 호남계 인사들이 선거에서 참패하면서 영향력이 크게 떨어졌고, 더불어민주당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압도적인 지지 기반을 확보한데다 호남 출신인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꾸준히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면서 '호남 후보로도 승리가 가능하다'라는 공감대가 나오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다만, 경북 안동 출신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대선주자 1위로 치고 올라오기 시작했고 강성을 제외한 호남의 대다수 민주당원들은 단순히 같은 지역 출신보다 확실히 이기면서 호남의 권리를 지킬 수 있는 민주당 후보를 더 선호하기 때문에 어찌 될지 알 수 없다.[7]
[1] 제3의 후보로는 강원도 출신으로 영호남 지역감정과 아예 무관한 조순 서울시장이 주로 거론되었다. [2] 유시민은 영남후보 즉 노무현만이 한나라당을 꺾을 수 있다는 논조를 2002년에도 지속적으로 설파했다.[3] 물론 1997년 외환위기, 이인제의 독자출마에 따른 영남표 분산, 이회창 아들들의 병역의혹, DJP연합 등 다양한 변수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렇게 이회창에게 불리한 악재들이 수도 없이 터졌는데도 겨우 40만표 차로 석패했다는 것은 당시 정치지형, 언론지형이 얼마나 한나라당에 유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이었는지를 잘 보여준다.[4] 출구조사는 민주당의 1당을 예측했지만 개표결과는 한나라당의 1당이었다.[5] 당시 호남 민심은 대북송금 특검이 결국은 DJ를 겨냥한 한나라당의 정치공세라고 인식하고 있었다.[6] 핵심은 결국 2004년 총선을 앞두고 누가 당권, 공천권을 가지냐의 문제였다. 동교동계와 호남 중진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놓지 않으려 했고, 반면에 친노 진영은 진성당원제, 당원 경선에 의한 상향식 공천 등을 주장하면서 구주류의 기득권을 무너뜨릴려고 했다.[7] 물론 노무현과 문재인은 경남 출신이고 이재명은 경북 출신이라는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