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딘
1. 개요
윌리엄 F. 딘은 미합중국 육군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6·25 전쟁에 참전한 참전용사이다.
다른 유명 장성들이 웨스트포인트라든지 사관학교 출신이 많지만 윌리엄 딘은 특이하게 ROTC 출신이다.
2. 생애
제2차 세계 대전에 연대장으로 참전하면서 혁혁한 공훈을 세워 종전 이후에는 사단장에 이르렀다. 특히 2차 대전 당시에는 '''포로로 잡히는 것을 최고의 치욕'''으로 생각했기에 자신의 부하들이 포로로 잡히지 않으면서 전투를 하도록 최대한 노력했고 실제로도 그의 부대원이 다른 부대원에 비해 포로로 잡히는 숫자가 현저히 적었다.
1945년 9월 주한미군으로 파견되어 같은 해에 군정청 장관을 역임하게 되었다. 1948년 다시 미국으로 귀국했으나 한국전쟁이 발발하는 바람에 24사단장으로 보직되면서 다시 한반도로 들어왔다. 이 때 자신의 24사단 직할 수색대대인 찰스 스미스 대대를 먼저 파견하여 오산 전투를 치루면서 북한군을 막으려 했으나 찰스 스미스 대대는 북한군에게 완패했으며 그 때문에 본인이 본대를 이끌고 대전에서 북한군과 직접 싸우게 되었는데 어찌나 상황이 말이 아니었는지 딘 본인이 직접 무반동총을 들고 쏴서 T-34/85를 공격해야 할 정도였다. 사단장임에도 불구하고 대전차화기를 직접 다루면서 계속해서 북한군 전차를 공격했지만 문제는 '''딘 혼자 여러 대의 전차를 상대해야 할 정도'''로 엄청나게 힘든 싸움이었다.
결국 24사단마저 북한군에게 궤멸당했으며 딘 소장은 충북 옥천으로 철수하던 미 24사단은 세천터널에서 매복중인 북한군의 기습으로 차와 장비를 버리고 산기슭으로 뿔뿔이 흩어지는 등 많은 피해를 입었고, 이 과정에서 딘 사단장도 부상병에게 줄 물을 뜨러 가다 길을 잘못들어 실종되고 만다. 이후 전속부관과 같이 도망다니다가 길을 잘못 들어서 헤어지고 민가에 숨어있다가 한두규의 밀고로 북한군에게 잡혔다.
이후 북한군의 '''포로가 되었는데''' 딘은 자신의 신념으로 인해 자살 충동을 여러번 겪을 정도로 크게 고생했다. 게다가 고문을 통해서 인천상륙작전을 비롯한 여러가지 기밀을 추궁할 것을 우려해서 실제로도 여러 번 자살을 시도했지만 자살에는 실패했다. 참고로 이 딘 소장이 미군 포로 최선임자였는데 천만 다행히도 북한군 측에서는 딘이 누군지도 모르고 생포한 덕분에 그가 장성급 장교라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했고 그 덕분에 딘은 하급자 포로들 사이에 묻어갈 수 있었다. 물론 인천상륙작전 이후에 그의 정체가 밝혀졌기에 맞교환 대상이 리학구 정도 되는 거물로 선택된 것이다.
포로가 된 이후 딘 소장은 전투에 일절 참가하지 못하고 포로수용소에서 지내다가 휴전 협정이 체결된 이후 북한군 총좌로, 역시 북한군 포로 중 최선임자인 리학구와 포로 교환을 통해서[1] 석방되었다.
미국에서는 1951년 말까지 딘 장군이 죽었다고 판단하였고, 대전 전투에서의 일로 명예 훈장이 추서[2] 되었고 최일선 장병들에게 주어지는 전투보병휘장 2등급을 수여받았다.
딘은 석방된 이후 미국으로 귀국해서 미 제6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잠깐 역임한 후 퇴역했다. 그리고 여생을 조용히 살다가 1981년 천수를 누리고 세상을 떠났다.
3. 딘 구출작전
김재현 기관사와 보조 기관사 몇 명, 그리고 미 육군 병력 33명이 기관차를 이용해 오산에서 대전을 오가는 길목에 침투하여 딘 소장을 구출하려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 리학구나 딘이나 둘 다 신분 분류상 '''초급 장성'''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맞교환될 수 있었던 것이다. 보통 포로교환을 할 때 같거나 비슷한 계급끼리 교환하는 것이 원칙이다. 어떤 전쟁이든 간에 장성과 사병을 맞교환하는 군대는 없고 그러자고 제안하는 군대도 없다. 예외가 하나 있긴 한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아돌프 히틀러는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원수와 야코프 주가시빌리 대위를 맞교환하자고 했다. 이게 결코 허무맹랑한 포로교환 조건이 아닌 이유가 바로 이 야코프 주가시빌리 대위가 다름아닌 '''이오시프 스탈린 본인의 장남'''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물론 스탈린은 자기 아들이라고 예외를 둘 수 없는 공산주의의 구조 상 거절했다. 다만 이는 사실관계에 대한 조사가 조금 필요한 부분이기는 하다.[2] 딘 본인은 명예 훈장을 받은 것을 과분한 것으로 생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