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헨리 해리슨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제9대 대통령.
역대 미국 대통령 중 '''가장 재임 기간이 짧은 대통령이다.''' 손자인 벤저민 해리슨이 대통령이 되면서 조손 대통령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2. 생애
1773년 2월 9일에 버지니아 주의 버클리에서 3남 4녀 중의 3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인 벤저민 해리슨은 독립선언서에 서명하여 이름을 남긴 미국 건국의 아버지이다. 유년기의 해리슨은 학교가 아닌 집에서 교육을 받았고 1787년에 펜실베니아 대학교에 입학하여 의학을 공부하였다. 1791년에 벤저민이 병으로 사망하자 해리슨은 의학 공부를 포기하기로 결정하고 학교를 자퇴한 후 미합중국 육군에 입대한다. 육군 장교가 된 해리슨은 원주민 토벌전에 참전하여 공을 인정받고 중위로 진급한다. 1794년에 그레이트 마이애미 강에서 원주민들을 상대로 기습하는 계획을 성공한 해리슨은 대위로 진급하여 워싱턴 요새의 경비를 담당하게 되고 재판관이자 부유한 토지업자인 존 사이메스의 딸인 애나 사이메스와 결혼한다.
1798년에 육군에서 전역한 해리슨은 존 애덤스에 의해 노스웨스트의 장관으로 임명된다. 이듬해 해리슨은 노스웨스트에 신설된 의회의 의원으로 선출되고 서부의 토지들을 가난한 사람이 사들일 수 있도록 작은 부분으로 나누는 법안을 통과시켜서 토지 개발자들의 보폭을 확장시킨다. 1800년 애덤스에 의해 해리슨은 인디애나 주지사로 임명되어 12년을 활동하였다. 주지사로서 해리슨은 영토에서 원주민들의 생활의 복지를 보호하는 데 탐사하였다. 원주민들에게 주류 판매를 금지하고 천연두 예방을 명령한다. 1809년에 해리슨은 원주민 지도자들과 함께 화이트 강과 와바시 강에 일대의 토지를 정착인들에게 건네주는 조약을 요청하고 많은 원주민들이 조약을 비난하며 쇼니 족의 추장인 테쿰세와 연합하였다. 해리슨은 영토 시민군들을 모집하고 토지에서 원주민들을 몰아내기 시작한 해리슨은 1813년 10월 5일에 템스 강에서 테쿰세가 이끄는 원주민들을 모조리 격파한다.
1812년에 미영전쟁이 발발하자 제임스 매디슨은 해리슨을 노스웨스트군의 육군 준장으로 임명한다. 다시 육군에 복귀한 해리슨은 1813년에 소장으로 진급하고 온타리오 남부에서 일어난 전투에서 연합한 영국군과 원주민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하지만 전쟁장관(현 육군장관)과 불화를 겪으면서 다시 육군에서 전역하고 오하이오의 농장에 정착한다. 1816년에 하원의원에 선출되어 정계에 입문한 해리슨은 육군 복무 시절 공금을 오용한 이유로 사법부에게 기소당하지만 하원의 투자회가 잘못된 고발로 결정하면서 처벌을 피한다. 위기를 모면한 해리슨은 다시 오하이오로 돌아와 1819년에 주립 상원의원으로 선출되고 1825년에는 미국 상원의원으로 선출되며 승승장구한다. 3년 뒤에 상원에서 물러난 후 존 퀸시 애덤스에 의해 콜롬비아 주재 미국 공사로 1년을 근무하였다.
1836년 해리슨은 대통령 선거를 위해 휘그당 후보로 지명된다. 휘그당원들은 해리슨의 리더쉽이 당을 통합하며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대선 후보로 지명하여 선거에 출마하지만 민주당 소속의 마틴 밴 뷰런에게 패배한다. 4년 뒤인 1840년에 휘그당원들은 다시 해리슨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고 존 타일러를 미국 부통령 후보로 지명하여 선거에 돌입한다. 해리슨은 경제공황으로 인해 지지율이 추락한 밴 뷰런을 상대로 승리하여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당선된 해리슨이 취임식에 참석하여 연설을 하려는 날 강한 비가 쏟아진다. 참모들은 해리슨에게 취임식 연기를 요청하였으나 해리슨은 "난 총탄이 빗발치는 전장에서 살아 돌아온 사람이오. 비 따위에 내가 무릎 꿇으면 안 되오."라는 말과 함께 코트를 벗고 취임식을 강행한다. 문제는 그의 연설문은 '''8500단어에 달했다.''' 이는 역대 美 대통령 취임 연설문 중 압도적인 1위로, 2위인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의 것은 5500단어 정도였으며, 대부분의 경우 취임 연설문은 1000 ~ 2000단어 내외의 길이였다. '''3월 초순의 추운 날씨에 1시간 넘게 비를 맞으며 '''취임 연설을 한 해리슨은 얼마 지나지 않아 폐렴을 얻고 1개월을 투병하다가 '''사망한다. '''
사망하기 전 해리슨은 자신의 후임자가 될 부통령이자 고향 후배인 타일러에게, 다음과 같은 국정에 대한 조언을 남겼다.
해리슨의 죽음은 미국 휘그당에게는 큰 타격이 되었다. 휘그당은 이후로도 재커리 테일러를 대통령에 당선시키지만, 그 역시 임기를 체우지 못하고 병사했으며, 그나마 휘그당이 상하원 모두에서 다수당을 차지한 것은 해리슨이 승리한 1840년이 마지막이었다. 애당초 잭슨 민주당에 대한 반발로 연합정당으로서 모인 휘그당은 여당으로서 새롭게 재조직될 기회를 놓쳐버렸고, 차츰 남부와 북부로 분열되어 갔다. 중도 타협 노선을 앞세우던 헨리 클레이는 1844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지만 미국 멕시코 전쟁을 지지하지 않아 패배했다. 결국 북부의 휘그당은 미국 공화당으로, 남부의 휘그당은 주권민주당으로, 이외의 반유대주의 세력들은 Know-nothing 세력으로 각자의 길을 갔다.'''나는 타일러 씨가 정부의 깊은 원리를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며 또한 그 원리가 순탄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오. 내가 바라는 것은 그것 뿐이오.'''
3. 기타
- 손자인 벤저민 해리슨은 제23대 대통령으로 취임한다. 벤저민의 취임식 당일에도 비가 내렸지만, 벤저민은 조부와는 달리 취임 연설을 빠르게 마쳤고, 재선에는 실패했지만 4년의 임기도 채울 수 있었다.
- 짧은 임기 때문에 미국 역사에서는 비중이 한없이 적지만, 미국 선거운동에서 신기원을 개척한 인물이다. 윌리엄의 표어인 'Hard cider and log cabin'은 '거친 사과술과 통나무집'이라는 뜻인데 현대식으로 해석하면 '서민형 대통령'을 추구한다. 이 구호는 원래 상대방이 내건 '통나무집에서 늙어야 할 노인'이라는 구호인데 이 구호를 그대로 활용하기로 한 해리슨은 자신의 고령을 서민적인 이미지로 뒤집어 선거에서 승리한다. 2번째 표어인 '티퍼카누와 타일로도'는 해리슨의 전쟁 경력을 내세운 표어이다. 실제로는 해리슨이 더 귀족적인 부자였지만 밴 뷰런을 무능력한 부자로 만드는 데 성공하여 선거인단에서 승리하면서 대통령에 당선된다.
- 미국 대통령들 사이에서 전해져 온 테쿰세의 저주의 첫번째 희생자로 유명한데, 이는 그가 테쿰세를 사살한 장군이었던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전투 이후 수백명이 넘는 미군 장병들은 서로가 테쿰세를 사살하였다고 주장하지만 테쿰세는 테임스 전투에서 윌리엄에게 사망한 것으로 공식 확인되었다.
- 특이하게 다람쥐 고기로 만든 스튜를 좋아했다.
- 그를 만나고 싶어서 백악관에 찾아온 농부가 비를 제치고 관저에 도착하자 해리슨의 집사는 농부의 행색을 보고 만나게 하지 않고 대기실에서 기다리게 하였다. 해리슨이 이를 알아채고 왜 손님을 따뜻한 곳에 있게 하지 않냐며 혼을 낸다. 집사가 "농부가 신발에 진흙을 묻히고 들어와서 응접실 카페트를 더럽힐까봐 그랬습니다."라고 대답하자 해리슨은 다음과 같은 말로 집사를 타이른 후 폐렴으로 투병하던 불편한 몸으로 농부를 융숭히 대접하였다.
'''그도 국민의 한 사람 아닌가. 카페트는 물론 이 집도 국민의 것이다.'''
- 임기는 짧았지만 재임 중 최초로 사진을 찍은 대통령이다. 다만 그 사진은 지금까지 전해지지 않고, 위의 사진 같이 보이는 것은 그 때 찍은 사진을 그림으로 모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