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

 


[image]
'''운현궁의 역대 주인'''
4대 이우

'''5대 이청'''

(서울특별시로 소유권 이관)



<colbgcolor=#4a2d5b> '''운현궁 4대 사손'''
''' 이청
李淸'''

'''이름'''
청(淸)
'''출생'''
1936년 4월 23일 (88세)
일본 제국 도쿄 시 시부야구 도키와마츠
'''아버지'''
이우
'''어머니'''
박찬주
'''형제'''
남동생 이종
'''부인'''
김채영[1]
'''자녀'''
1남

1. 개요
2. 생애

[clearfix]

1. 개요


의친왕의 차남인 이우의 장남이자 고종의 증손자. 어머니는 박영효의 서손녀인 박찬주이다.
이우의 사망 후에 일시적으로 공위를 계승하여 '이청 공 전하' 의 경칭을 받았었다. 즉, 일제강점기 정식 왕공족이었던 사람들 중에서, 유일하게 현재까지 생존해 있다.
현재까지 살아있는 남연군의 남계 자손들 중에서 실제 혈통상 후손이면서 법적으로도 남연군의 후손인 단 둘뿐인 인물이다. 다른 한 명은 그의 아들.[2][3]

2. 생애


1936년 4월 23일에 일본 도쿄 시부야 도키와마츠에 위치한 이우 공가 도쿄 별저[4]에서 태어났다.
원래는 아버지 이우를 따라 1945년 히로시마에 가야 했고 실제로 갈 준비까지 모두 마친 상태에서 일본으로 가기 직전에 갑작스러운 건강 이상으로 인해서 결국 아버지 혼자만 히로시마에 가게 되었는 데 이를 두고 일각에서 이우가 장남까지 일본에 끌려가지 않도록 일부러 건강 이상을 유도한 게 아니냐는 주장이 있었는 지 이청은 본인의 회고록을 통해서 이를 부정했다.
전후 구황실 재산을 몰수하고 1950년대 당시 종종 반이승만 세력들 사이에서 옹립론이 터져나오는 존재인 영친왕의 입국을 막고 해방 직전 기준으로 왕실의 큰 어른이던 순정효황후를 창덕궁에서 쫓아내는 등 구황실에 적대적이었던 이승만 대통령은 정작 자신의 아들이 일찍 사망하자 웃기게도 구 황실의 후손인 이청을 자신의 양자로 달라고 전주이씨 가문에 요청했는데 전주이씨 측에서는 방계인 양녕대군의 후손인 이승만에게 황실의 직계 자손을 양자로 들여보낼수는 없다는 이유로 완곡히 거절했다고 한다.
경기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떠나 위스콘신 주 밀워키에 위치한 마케트대학교(토목공학과)와 드폴대학교 대학원(공학과)을 졸업하고, 설계사무소의 엔지니어로 근무하였으며, 귀국 후에 '석파학술연구원'을 설립하여 흥선대원군에 대한 연구작업을 하고 있다. 흥선대원군의 사가(私家) 운현궁의 마지막 주인[5]이기도 하다.
2005년 7월 황태자였던 영친왕의 아들인 이구가 사망했다. 그러나 이구에게는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구황실인 전주 이씨 가문의 적통을 누가 이을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벌어졌다. 고종의 자녀들 중 순종은 자녀가 없었고 영친왕의 자손은 이구의 사망으로 대가 끊겼기 때문에 고종의 후손은 의친왕의 자손들밖에 남지 않았다. 의친왕의 자손들 중 장남 이건은 모모야마 겐이치(桃山健一)로 개명하고 일본 국적을 취득했으므로, 일본으로 귀화한 이건의 자손들을 제외한다면 의친왕의 차남인 이우의 장남 이청이 생존해있는 고종의 직계 자손 중 장자 승계 순위가 가장 높게 된다. 그러나 족보상으로는 이청의 아버지인 이우가 방계황족인 영선군[6]에게 입양되었기 때문에 이청이 아닌 의친왕의 9남인 이갑의 장남 이원이 이구의 양자로 입적하여 전주이씨 가문 수장과 대한제국 구황실 수장의 자리를 승계받았다.[7] 다만 민법상 사후양자제도는 폐지되었기 때문에 이구 사망 당시 이 승계에 대해 상당히 논란이 많았다.[8] 이청 본인은 가문과 황실 관련 일에 일절 나서지 않고 있다.
2018년에 흥선대원군묘를 기증한 공으로 경기도로부터 직접 가서 감사패를 받아야했으나 당시 이청 본인이 병석에 있어서 13살 연하의 아내가 대신 받았다고 한다. 참고로 2017년에는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도 기부한 데다가 2018년 기사에서 그가 자신의 생전에 황실의 재산이 국가나 공공기관에서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되면 좋을 것 같다라는 말을 남긴 걸로 봐서는 현재 아버지의 이복형제들이 벌이는 것에 대한 환멸과 함께 자신의 사후 이들이 자신이 소유한 흥선대원군 가문 관련 부동산 등을 노리는 게 아닌가라는 우려[9]에 대한 해답으로 정부에다가 기증하는 걸로 보여진다.
참고로 아버지 이우와 동생 이종[10]의 묘 근처에 자신의 묫자리를 미리 마련해두었다고 한다.

[1] 1949년 생. 1971년 결혼.[2] 여계로 남연군의 후손이 되는 사람은 많다. 예컨대 이종찬 전 국가정보원장의 어머니 조계진은 흥선대원군의 외손녀다.[3] 남연군은 슬하에 아들 4명을 두었다. 양자 관계를 배제하면, 장남 흥녕군의 자손은 본인 대에서, 차남 흥완군의 자손은 손자 이기용 대에서, 3남 흥인군의 자손은 아들 완영군 대에서 끊겼다. 4남 흥선대원군은 3남을 두었는데, 적2남 고종익종(효명세자)의 양자로 출계해 비록 혈통상으로는 남연군의 후손이지만 법적으로는 떨어져 나갔고, 서장남 완은군은 아들을 낳지 못해 양자를 들였다. 적장남 흥친왕은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으나, 둘 다 실제 남계 후손은 끊겼고, 장남 영선군 이준용의 대를 고종의 손자 이우가 입양 와 이었다. 따라서 이우의 자손인 이청과 그의 아들만이 법적 및 혈통상 오롯이 남연군의 남계 후손인 것이다.[4] 현 궁내청 보관 기록에 의하면 도쿄 공저의 자세한 위치도 나오는 데 당시 공가 도쿄 별저 주소는 도쿄도 시부야구 도키와마츠쵸 101번지.현재 이곳은 아오야마가쿠인 대학 시부야 캠퍼스 중등부 인근이라고 한다.[5] 1993년 서울특별시에 매각.[6] 고종의 조카[7] 의친왕의 장남 이건(모모야마 겐이치)은 상술했듯이 일본으로 귀화했고 의친왕의 2남 이우부터 8남까지는 전부 다른 방계 황족들에게 입양되거나 후사 없이 사망했으며 6남 이곤과 그 후손들의 경우 입양은 안갔지만 의친왕 가문을 잇기로 했다.[8] 특히 의친왕의 10남 이석은 당시 이원의 승계를 극구 반대하여 승계를 강행한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측과 실랑이를 벌이기도 했다.[9] 1991년 기사에서 이청은 미국에 유학 중인 아들이 있다고 한 걸 보면 결혼 직후인 1971년 ~ 1972년 즈음에 기사에 언급한 아들을 낳은 걸로 보인다.[10] 1966년에 미국 유학 도중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