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 갑

 




1. 개요


과거 소선거구제 하에서 이리시, 익산군 각각 선거구를 운영하다가 두 기초자치단체가 통합하며 익산시 갑/을 선거구로 개편된다. 16대 총선 한차례 선거구가 통합돼 단일 선거구로 운용된 것을 제외하면 익산시는 항상 둘로 분구되어 선거를 치뤄왔다. 21대 국회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김수흥이다.
대체로 서부 지역이며 익산시 을 선거구보다는 보수적인 편인데, 이는 이 지역이 구도심 지역 일대와 충청권과 가까운 읍면 지역을 관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곳에서 제 19대 국회의원 선거 때 새누리당 후보가 16%를 득표하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하지만 민주당계 정당 지지율도 익산시 을 지역구보다 높다. 참으로 아이러니한 현상...[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을에 속하던 망성면이 갑으로 넘어와 선거구 경계가 조정되었다.
익산시 자체의 인구도 단일선거구 상한선(=분구 가능선)에 점점 근접해지고 있는데, 마침 옆의 김제시·부안군 역시 하한 아래로 내려간 상태라, 다음 선거에선 21대 총선서 생긴 특례조항을 활용해 익산시·김제시 갑/을로 재편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어디까지나 가정일뿐 만일 특례조항이 헌법재판소에서 위헌결정이 나면 익산시는 인구상한선에 미치지 못할경우 단일선거구로 갈 가능성이 크다. 현재 강원도의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그리고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의 해당지역의 시민단체와 출마자들이 헌법소원을 제기한 상황이라 만일 위헌으로 나올경우 익산시·김제시 갑/을 선거구 구성을 할수 없게된다.
[image]
익산시 갑 관할 구역
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망성면, 용동면,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신동, 인화동, 마동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대수
당선자
당적
임기
선거구
제13대
이협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이리시
김득수
익산군
제14대
이협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이리시
최재승
익산군
제15대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익산시 갑
제16대
이협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익산시
제17대
한병도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익산시 갑
제18대
이춘석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김수흥
2020년 5월 30일 ~

2.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익산시 갑'''
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신동, 인화동, 마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최재승
16,234
2위
새천년민주당
25.46%
낙선
'''3'''
'''한병도'''
'''47,527'''
'''1위'''
'''열린우리당'''
'''74.54%'''
<color=#373a3c> '''당선'''
'''계'''
'''선거인 수'''
113,569
'''투표율'''
57.46%
'''투표 수'''
65,258
'''무효표 수'''
1,497

2.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익산시 갑(甲)'''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이춘석
통합민주당
'''26,610'''
'''57.34%'''
'''1'''
'''당선'''
2
임석삼
한나라당
4,281
9.22%
3
낙선
6
이철재
평화통일가정당
885
1.91%
4
낙선
7
강익현
무소속
14,634
31.53%
2
낙선
선거인수
109,569
투표수
47,169
무효표수
759
투표율
43.05%
관할구역 : '''익산시'''(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신동, 인화동, 마동)

2.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익산시 갑(甲)'''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김경안
새누리당
8,674
16.12%
2
낙선
'''2'''
'''이춘석'''
'''민주통합당'''
'''41,941'''
'''77.98%'''
'''1'''
'''당선'''
6
황세연
무소속
3,169
5.89%
3
낙선
선거인수
113,407
투표수
54,480
무효표수
696
투표율
48.04%
관할구역 : '''익산시'''(함열읍, 오산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신동, 인화동, 마동)

2.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익산시 갑'''
(함열읍·오산면·황등면·함라면·웅포면·성당면·용안면·용동면·중앙동·평화동·남중동·모현동·송학동·신동·인화동·마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김영일(金榮一)
새누리당
6,793
9.61%
3위
낙선
'''2'''
'''이춘석(李春錫)'''
'''더불어민주당'''
'''35,319'''
'''50.00%'''
'''1위'''
<color=#373a3c> '''당선'''
3
이한수(李漢洙)
국민의당
25,138
35.58%
2위
낙선
<color=#373a3c> 5
전권희(全權熙)
민중연합당
2,058
2.91%
4위
낙선
6
황세연(黃世淵)
무소속
1,328
1.88%
5위
낙선
선거인수
117,792
투표수
71,826
무효표수
1,190
투표율
61%
이춘석 의원이 무난히 3선에 성공하였다. 당시 국민의당 후보로는 이한수 전 익산시장이 출마했지만, 선거법 위반 논란과 과거 익산시장 재임시절의 부채문제로 좋은 평을 받지 못하고 있었으며 결국 낙선하였는데, 전라북도에서 국민의당이 패배한 지역구 세 곳중 한 곳이 바로 익산시 갑 선거구이다.
다른 후보들은 인지도나 정당지지율을 비교할 때 매우 성적이 좋지 못하였다.
이후 황세연 후보는 민주평화당에 입당했으나 총선에 출마하진 못했다.

2.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익산시 갑'''
중앙동, 평화동, 남중동, 모현동, 송학동, 인화동, 마동, 신동, 함열읍, 오산면, 망성면, 황등면, 함라면, 웅포면, 성당면, 용안면, 용동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수흥(金洙興)'''
'''59,043'''
'''1위'''
'''더불어민주당'''
'''79.64%'''
'''당선'''
'''2'''
김경안(金京安)
5,513
3위
미래통합당
7.44%
낙선
'''3'''
고상진(高商晋)
7,057
2위
민생당
9.52%
낙선
'''7'''
전권희(全權熙)
1,890
4위
민중당
2.55%
낙선
'''8'''
최영수(崔永洙)
636
5위
국가혁명배당금당
0.86%
낙선
'''계'''
'''선거인 수'''
118,769
'''투표율'''
63.36%
'''투표 수'''
75,250
'''무효표 수'''
1,111
이춘석 의원을 당내경선에서 이기고 최종후보가 된 김수흥 후보가 압도적으로 당선되었다. 이로써 익산시 갑 선거구는 전라북도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가 강한지역이라는 것을 입증하게 되었다.

2.6.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익산시 갑의 인구가 선거구당 인구하한 미달 상태이기에 변동이 유력하다. 인구하한을 낮춰서 기존선거구를 유지하는 방법이나 인구가 증가하여 선거구를 유지하는 방법이 있으나 인구추이상 현실적으로 쉽지않고, 익산시 을로부터 일부지역을 넘겨받아 선거구를 유지하거나 익산시 전체 인구가 감소하여 분구상한을 넘지 못하게 된다면 익산시 을과 합구하여 단일선거구를 구성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아래쪽 김제시·부안군도 하한 미달이라 최악의 경우엔 전북 의석수가 한꺼번에 2석 줄어드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
지역 정가에서는 군산이나 김제 등과 복합선거구를 구성해 의석수를 유지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3. 관련 문서



[1] 꼭 그렇다고는 볼 수 없는게 대도시에서 중소도시 및 농어촌으로 갈수록 거대정당을 지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즉 정치성향이 보수적인걸 떠나서 선호도 경향이 그렇게 양자택일에 가깝게 나타나는것이기 때문에 나오는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