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신속대응사단

 





'''제2신속대응사단'''
'''第二迅速對應師團'''
'''The 2nd Rapid Reaction Division'''
[image]
'''창설일'''
2021년 1월 1일
'''상징명칭'''
'''노도부대'''
'''소속'''
[image]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image] 제7기동군단(편제상)
[image] 제2작전사령부(작전통제권)[1]
'''규모'''
사단
'''역할'''
군사기밀사항
'''사단장'''
[image] 소장 신희현(학군 27기)
'''위치'''
경기도 양평군

1. 개요
2. 상세
3. 예하부대
4. 출신인물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5.2. 부대영상
5.3. 사단가
6. 사건사고
7. 여담

충성!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대한민국 육군제7기동군단 예하 사단.

2. 상세


국방개혁 2.0에 따라 2019년 12월 6일에 해체된 제2보병사단2021년 경기도 양평군[2]에서 제2작전사령부 예하 제201특공여단제203특공여단을 예속받아 헬리콥터를 이용한 공중강습사단('''제2신속대응사단''')으로 재창설되었으며, 이 문서는 이를 다루고 있다. (항간의 공정사단이라는 명칭은 구일본군 용어이다)
제2보병사단을 계승했기에 그 시절의 마크와 별칭('''노도부대''') 역시 계승했다.[3]
부대마크는 기존 노도부대의 마크 위에 "AIRBORNE"이 붙어, 개편된 신속대응사단의 임무에 걸맞게 바뀌었으며 기존 2사단 전역자들은 마크를 보고 감동에 차오르는 중이다.
또한 재창설 직후 제7기동군단에 예속될 예정이다.육군 2사단 해체, 적 심장 파고드는 최정예 부대 탈바꿈
201특공여단과 203특공여단을 배속받았는데, 2021년 1월 1일 이 두 부대가 제201신속대응여단제203신속대응여단으로 개편되었다. 타 사단이 연대를 여단으로 개편한 추세를 보면 제205특공여단[4]이 부활하거나 새로 여단 하나가 더 창설될 가능성이 높다.
지역방위사단 처럼 포병연대(여단) 대신 포병대대가 있는 사단이다.

3. 예하부대




3.1. 사단 직할대


  • 지원부대
    • 육군항공작전사령부
      • 공수부대[5]

3.2. 제201신속대응여단




3.3. 제203신속대응여단




4. 출신인물



4.1. 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사단장.

'''역대 제2신속대응사단 창설준비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장광선
소장
3사 25기
제2보병사단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2대
석종건
소장
육사 45기
제35보병사단
합동참모본부 전력기획부장

3대
신희현
소장
학군 27기
제36보병사단
제2신속대응사단

'''역대 제2신속대응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신희현
소장
학군 27기
제36보병사단
사단장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5.2. 부대영상



5.3. 사단가



6. 사건사고



7. 여담


  • 2020년 2월 26일 양평군의회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제2신속대응사단을 조기에 창설 해줄 것을 요청했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하여 창설식은 하지 못한 채로 21년 1월 1일 일단 창설은 했지만 인원, 장비, 시설 등을 완전히 갖추지 못하고 계속 준비 중이다.#

  • 창설은 되었으나 아직 인원과 장비 등이 완전하지 못해 당분간은 본래 임무인 공정사단으로서 적 공격 및 점령임무가 아닌 기존의 특공여단 시절 임무인 후방대테러작전 및 재난 시 지원임무 등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1] 특이하게 소속은 7군단으로 두되, 7군단의 상급부대가 아닌 후방의 2작전사령부의 통제를 받도록 되어있다.[2] 대략적으로는 제11기계화보병사단과 통합돼 없어진 (구)제20기계화보병사단 사령부 자리라고 한다.[3] 일단 신축 공사 중 종교시설에 '노도성당' 명칭이 붙은 것이 확인되어 별칭 계승은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 제205신속대응여단으로 당연히 명칭 변경[5]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