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중단점

 

1. 경원선
1.1. 백마고지역 개통 전 (구 철도중단점)
1.2. 백마고지역 개통 후
2. 경의선

'''철도가 끊어지는 곳.''' 정확히는 중단점 너머로 철길이 더 나있는 철도가 모종의 사유로 인해 도중에 끊기게 되는 지점을 칭하는 말이다. 그냥 해당 지역까지만 부설되어서 철도가 끊어지면 종점이라고 한다.

1. 경원선



1.1. 백마고지역 개통 전 (구 철도중단점)


[image]
(반대쪽 끝에는 통일 출발역 표지판을 세워두었다.)
경기도 연천군 경원선 철로에 있는 지점. 당시 연천군 소재 신탄리역에 있었다.
이전까지 서울과 원산을 이었던 경원선 철도의 구간이 1945년 남북분단으로 38선이 그어지면서 남한 지역은 서울에서 동두천역까지, 북한 지역은 원산에서 연천역까지 단절되어 운행된 적이 있었으며, 1953년 군사분계선이 그어지면서 남한 구간을 기준으로 '''신탄리역이 사실상 종착역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붙여지게 된 곳이다. 철도중단점에는 한국철도공사 명의의 커다란 팻말이 있으며 옛 철도청 시절부터 세워졌다가 한국철도공사로 변경되면서 간판이 교체 및 수정된 적이 있었다.
경원선 철도는 남한 기준으로 신탄리역이 사실상 종착역이었기 때문에 코레일 소속 열차들은 경원선 노선을 운행할 때 이 신탄리역에서 사실상 운행을 종료하며 회차를 했다.
분단 직후까지만 했어도 신탄리역은 '''종착역이 아니었으나''' 전쟁 이후 남북간의 왕래가 단절되면서 철도도 단절되어 결국 신탄리역이 경원선 남한 구간 최후의 역사로 지정되었다. 그러면서 절단된 철로의 자리에 철도중단점이라는 팻말이 세워지게 되었다.

1.2. 백마고지역 개통 후


[image]
이후 백마고지역이 새롭게 개통하면서 경원선 철로의 종점은 신탄리역이 아닌 백마고지역이 되었는데, (강원도 철원군) 기존의 철도중단점 팻말을 없애지는 않고 보존해둔채 옆에 철로를 뚫었고(구 철도중단점), 백마고지역에 새로운 철도중단점 팻말이 있다(신 철도중단점).
철도중단점 팻말에는 코레일 로고와 함께 '''철마는 달리고 싶다'''라는 글씨가 써져있다. 참고로 이 팻말은 네이버 로드뷰로 백마고지역을 보아도 볼 수 있다.
박근혜 정부가 표방하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경원선 연장사업이 마무리 될 시 월정리역으로 옮겨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커녕 북한의 연이은 도발로 인해 개성공단 가동 중단까지 가면서 이는 무산되었다.
이후 남북/북미정상회담이 있던 2018년 북한과의 관계 개선 시도가 잇따르자 문재인 정부경원선 복원을 추진으로 상황이 달라질지 모른단 기대가 있었으나, 사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북한과 관계가 개선되어도 열차를 운행가능한 노선은 경의선, 동해선 등 군사적으로 덜 민감한 노선들이며 경원선은 하필 북한군의 주요 축선인 평양-원산 축선으로 북한군 전력 80%가 이 쪽에 집중되어 힘들다.
남북통일이 성사될 경우 '없어지게 될 지점'이기도 하며 사실상 남북분단 현실의 상징을 대변해주고 있다. 없어진다는 표현은 오해하지 말아야 하는데 통일, 아니면 북한의 개방 후에도 이 표지판 자체를 없앨 순 없다. 바로 위 문단의 구 철도중단점이나 아래 경의선의 표지판이 보존되어 있는 것만 봐도 알겠지만, '''역사적 기념물'''로서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이 때쯤 되면 철도중단점 등 분단 관련 유적지로서 오히려 사료가치가 높아지면 높아지지 가치가 없어지진 않는다. 그리고 어차피 통일/북한이 개방되어도 지뢰 등 현실적 이유로도 경원선은 당장 복원이 어려운지라 경원선 대신 동해선경강선과 연계해 활용하여 원산, 함흥 등 함경도 및 연해주 쪽을 접속할 것인지라 경원선 철도중단점은 한동안 오래 남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경원선 자체가 통일 이후에는 서울 - 나진 -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최중요 간선이 되므로 결국 복선(혹은 복복선) 전철화 등 대규모 선로 개량 및 역사 개축이 시행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철도중단점 팻말은 역사 광장, 혹은 철도박물관 등으로 옮겨질 가능성도 있다.

2. 경의선


[image]
[image]
임진각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있다. 사실 이미 경의선은 복원사업으로 평부선과 연결되었으므로 기념비에 가깝다. 물론 허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열차들에게는 아직도 유효하지만 진짜 종전선언으로 북한이 개방이라도 될 경우 경의선은 곧바로 베이징, 모스크바, 이스탄불 등으로 직결이 가능하다!!! 오히려 북한군이 지뢰를 잔뜩 묻어놓아 지뢰 제거부터가 일이고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가는 외딴 지역에 있는 경원선보다 이 노선이 현실적으로 당장 남북, 그리고 대륙을 이을 수 있는 노선이라 최소 종전선언만 돼도 선로가 북적이는 게 가능하다.[1]
이 철도중단점 비석은 원래 현 임진강역 근처에 있었다가 2000년 경의선 복원 완료로 임진강역이 개통되자 현 위치로 이전했다. 어린 세대에게는 생소할 일이지만 기성세대는 이설 전 철도중단점의 기억이 강하게 남아있다.
문산 여우고개 부근에 도라산역으로 연장되기 전 서울역-문산역 구간 운행 시 사용하던 구 철도중단점 표지판이 있다. 현재도 여우고개 쪽에 보존되어 있으며 경의선이 복원되기 이전인 1990년대까지는 이 곳에서 철로가 끊겨있었다.

[1] 물론 통일이 되어도 당장은 여객열차 보다는 화물열차 위주로 운영할 가능성이 크다. 현 북한의 철도 환경상 유일하게 북한 철도에서 운영할 수 있는 남한의 열차는 현재 특대, 혹은 7600호대 디젤기관차 견인 새마을호 / 무궁화호 객차형 열차 밖에 없다. 다만 이 열차들은 현재 퇴역 중이고, 만약 통일이 된다 해도 그때 남한의 주류 열차는 통근형 광역전철 부터 고속열차까지 모두 전동차로 도배되어 있을 시점이며 당연히 이 열차들은 3,000V 직류를 사용하는 북한 철도에는 입선이 불가능하다. 통일 이후 북한의 철도를 포함한 모든 교통 인프라가 대대적으로 정비된 이후부터 서울발 중국/러시아 행 국제열차가 운행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