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부선

 



{{{#!wiki style="margin: -10px -10px"

'''평부선'''
平釜線
P'yŏngbu Line

}}}
[image]
'''노선 정보'''
'''분류'''
간선철도, 일반철도
'''기점'''
평양역
'''종점'''
개성역(공식적 종점)
도라산역(실질적 종점)
부산역(명목상 종점)
'''역 수'''
26
'''개업'''
1905년 11월 5일
'''운영'''

'''노선 제원'''
'''노선연장'''
187.3km(공식적 노선연장)
204.9㎞(실질적 노선연장)
676.5km(명목상 노선연장)
'''궤간'''
1435㎜
'''선로구성'''
단선
'''사용전류'''
직류 3,000V 가공전차선
'''통행방향'''
좌측통행
1. 개요
2. 운행하는 열차
3. 평부선 역 목록

[clearfix]

1. 개요


북한 평양역대한민국 도라산역[1]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경의선의 일부[2]로 간주된다.
북한 기준에서는 한반도의 남한지역은 수복할 영토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남한경부선까지 합쳐서 서울역은 그냥 도중에 거쳐가는 중간역 취급하고 명목상 평양역 ~ 부산역이라 평양직할시의 '평', 부산광역시의 '부'를 붙여 평부선으로 이름붙인 것이다. 적화통일을 한다면 경의선, 경부선과 합쳐서 평부선으로 완성시킬 의도였지만 휴전선으로 막혀 실질적으로 운행하는 구간은 평양역 ~ 개성역이라 '''평성선'''[3] 이라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개성 - 도라산 구간은 독립된 지선 취급한다.)
경의선, 경부선, 그리고 중국 철도와 직결 운행할 목적으로 만든 철도이기 때문에 표준궤(1,435mm)이다.
휴전선 건너 남한과는 교류가 거의 없는 현재, 중국과의 무역을 담당하는 평의선에 비해 북한에서 쓸 일이 많지 않다 보니 그다지 많이 이용되지는 않는다고 한다. 평의선 : 평부선 열차 비율은 거의 4 : 1 정도라고. 물론 통일되면 중국과의 육상무역의 활성화로 엄청난 물동량을 자랑하게 될 것이다. 일제강점기엔 유럽까지 가는 열차가 존재했지만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는 1945년부터는 그런거 없다. 때문에 국제열차+화물열차+국내여객열차가 모두 합쳐진 엄청난 수송량을 자랑하게 될 것이다.[4]
남북통일이 되면 선형을 '''처음부터''' 개량해야 한다. 왜냐하면 평부선은 일제가 경부선과 함께 복선화를 시켜놨으나 분단되고 '''재단선화'''되었기 때문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재단선화 흔적이 여러 군데 있는데 모든 역이 상대식이거나 2면 4선이고 쌍굴은 물론이고 심지어 복선 규격인데 장항선처럼 단선만 깔은 터널도 몇 군데 있다. 그러니 통일되면 이 노반을 활용해 재복선화 시킬 가능성도 있다. 왜냐하면 통일 이후에 매우 중요해질 노선이기 때문에 고속선이 별도로 깔려 개량 필요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사례로 우리나라에서 고속선이 깔린 경부선, 호남선이 있는데 둘 다 개량이 거의 되지 않았다.
전 구간 전철화는 완료된 상태. 군사 목적으로 철도를 이용하다 보니 전철화는 필수인 듯.
남북관계가 호전되어 있을 때에는 대한민국 문산역[5]북한 봉동역(실제로는 판문역)까지 매일 운행하는 화물열차가 있었으나, 2008년 말 폐지되고 나서부터는 흑역사. 처음엔 북한에서 입경거부 조치해서 월롱 - 판문 화물열차가 멈추게 되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2009년 말부터 화물열차의 교류를 허용키로 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물동량도 많지 않고 딱히 할 필요없다"'''는 이유로 거부해서 운행되지 않고 있다. 개성공단 2, 3단계까지 확장이 완료되어 물동량이 늘어났다면 철도 수송이 필요할 수도 있었겠지만, 소규모 경공업단지 수준인 1단계에서는 트럭이면 족하지 구태여 화물열차까지는 필요 없는 것도 사실이다.
평균 역간거리는 6.83km. 다만 개성역까지는 7.46km로 꽤 긴 편.
2018년 들어 남북정상회담이 여러 번 열리고 남북철도연결 사업이 재추진되면서 평부선 등 간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2018년 12월부터는 UN의 대북제재 예외적용에 따라 남북 공동 실사단의 현장조사가 있었다. 하지만 상설 열차 추진은 2019년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로 인해 UN 안보리에서 상설 열차 추진을 금지(중국의 제재 면제 요청에 상임이사국 3곳인 미국, 영국, 프랑스 모두가 거부권 행사)해서 더 이상 열차가 북한으로 들어갈 수 없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을 개성역까지 연장하려는 계획이 존재하긴 하지만, 남북관계가 호전되지 않는 한 힘들 전망이다.

2. 운행하는 열차



3. 평부선 역 목록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규정에 따라 적었다. 물론 통일되면 청년이라는 단어가 붙은 역은 몽땅 개명될 것이고 두음법칙이 적용될 것이다.
일단 명목상으로는 경의선과 경부선까지 포함한다고 한다.
평부선 역 목록
역 명
역간거리
기점거리
구 역명
분기노선
비고
소재지
평 양
平 壤
0.0
0.0

평의선
평라선
평남선

평양직할시
대동강
大同江
2.6
2.6

평덕선

력 포
力 浦
8.0
10.6

락랑선

중 화
中 和
7.2
17.8



흑 교
黑 橋
6.6
24.4



황북 황주군
간 동

6.7
31.1



황 주
黃 州
5.4
36.5
황해황주
(Hwanghae Hwangju / 黄海黄州)
송림선

침 촌
沈 村
10.2
46.7



정방리
正方里
7.1
53.8
계동
(Kyedong / 桂東)


황북 봉산군
사리원청년
沙里院靑年
6.7
60.5
사리원
(Sariwŏn / 沙里院)
황해청년선

황북 사리원시
동사리원
東沙里院
4.6
65.1



봉 산
鳳 山
5.4
70.5
마동
(Madong / 馬洞)
봉산선

황북 봉산군
청 계
淸 溪
7.0
77.5



흥 수
興 水
7.9
85.4



문 무
文 武
4.8
90.2
문무리
(Munmuri / 文武里)


황북 서흥군
석 현
石 峴
10.4
100.6



서 흥
瑞 興
6.8
107.4



물 개
物 開
10.5
117.9



황북 평산군
평 산
平 山
8.8
126.7
남천
(Namch'ŏn / 南川)
청년이천선

태백산성
太白山城
8.6
135.3
평산
(P'yŏngsan / 平山)


한 포
汗 浦
5.7
141.0



금 천
金 川
10.3
151.3
금교
(Kŭmgyo / 金郊)


황북 금천군
계 정
鷄 井
11.9
163.2



려 현
礪 峴
7.2
170.4
여현
(Yŏhyŏn / 礪峴)


개성특별시 개풍군
개 풍
開 豊
7.8
178.2
토성(T'osŏng / 土城)


개 성
開 城
9.1
187.3


[6][7]
개성특별시
손 하
孫 河
3.9
191.2


2008년에 역사 신축
봉 동
鳳 東
3.9
195.1


판 문
板 門
2.5
197.6


- 군사분계선 -






폐지됨.
경기 파주시
도라산
都羅山
7.3
204.9

경의선

남한 소속
임진강 (경의선 직결)
[1] 명목상 대한민국 부산역[2] 평양 - 서울 구간.[3] 아무래도 '평'''개'''선'이란 명칭은 어감 때문에 '성'을 쓴 듯.[4] 중국에서 한국으로 관광오는 사람들이 많다는 점과 철도의 비행기 대비 상대적 저렴함, 중국과의 엄청난 교역량, 북한 안정화 이후 호기심에 북한으로 여행하는 사람들로 문전성시를 이룰 수도 있다. 물론 이는 현시점에서는 설레발이지만. 복복선화 해야될 수도 있다.(물론 통일이 된 이후에 말이다.)[5] 실제로는 월롱화물취급소가 있는 월롱역.[6] 북한 내 평부선의 공식적 기점역. 이 이하는 같은 노선을 쓰지만 지선 취급한다.[7] 남한에서 역사를 지어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