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큐 본선
1. 개요
케이큐 전철의 노선 중 하나로 말 그대로 케이큐의 중심이 되는 노선이다. 1901년 처음 개통하였다. 노선상의 기점은 시나가와역이며 센가쿠지-시나가와 구간은 도영 지하철 아사쿠사선과의 직결운행을 위한 지선으로 취급되고 있다. 터미널역인 시나가와역에서는 신칸센을 탈 수 있다. 기본적으로 2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다이시선을 제외한 노선들과 직결운행을 실시하고 있다.
1.1. 노선 데이터
- 관활 : 케이큐 전철 (제1종 철도사업자)
- 구간 : 시나가와~우라가 56.7km
- 궤간 : 1435mm
- 역 수 : 50
- 복선구간 : 전구간
- 복복선 (카나자와분코~카나자와핫케이)
- 전화구간 : 전구간 (직류 1500V)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 보안장치 : C-ATS
- 최고속도 : 120km/h
- 열차무선 : 유도무선 (IR), 디지털 공간파 무선방식 (디지털SR)
- 교통카드 호환지역 : 전구간
2. 운행 등급
3. 역 목록
폐역 중 현재 영업중인 역명과 이름이 겹치는 역이 있으나 두 역 간의 연관성은 없다.
4. 이야깃거리
- 요코스카시 출신으로 유명한 야마구치 모모에의 대표곡 중 하나인 'I CAME FROM 横須賀'(I CAME FROM 요코스카)가 이 노선을 다루고 있는 내용이다. '요코스카에서 시오이리 옷파마 카나자와핫케이 카나자와분코', '분코를 지나 카미오오카 이도가야 히노데초 요코하마까지', '요코하마에서 츠루미 카와사키 시나가와 여기까지의 길'이라는 구절로 이 노선의 역이 나오기도 하며, '쾌속 특급 소리를 내'라는 구절에서는 쾌특도 등장한다.
[1] 센가쿠지-시나가와는 연장선 취급한다. 따라서 공식적인 기점은 시나가와.[2] 하행으로만 운행하기 때문에 상행 짝수번, 하행 홀수번같은 구분은 따로 없다.[3] 평시 요코하마 ~ 시나가와 간 쾌특 소요시간은 16~17분 사이이다.[AP쾌특정차역] 센가쿠지 - 시나가와 - 하네다공항 제3터미널 - 하네다공항 제1·제2터미널[4] 에어포트 급행(아사쿠사선 내 급행으로 안내되는 열차)이나 케이큐쿠리하마행 특급으로 바꿀 때도 있으니, 정차역을 확인하기 바란다. 오시아게에서 이 등급으로 바뀔 경우 아사쿠사선에서 각역정차한다.[쾌특정차역] 센가쿠지 - 시나가와 - 케이큐카마타 - 케이큐카와사키 - 요코하마 - 카미오오카 - 카나자와분코 - 카나자와핫케이 - 요코스카츄오 - 호리노우치 - (각역정차) - 미사키구치. 안내방송에서도 이 순(반대는 역순)으로 안내하며, 정차순서도 다음과 같다.[특급정차역] 센가쿠지 - 시나가와 - 아오모노요코초 - 헤이와지마 - 케이큐카마타 - 케이큐카와사키 - 가나가와신마치 - 요코하마 - 카미오오카 - 카나자와분코 - 카나자와핫케이 - 옷파마 - 시오이리 - 요코스카츄오 - 호리노우치 - (각역정차) - 미사키구치/우라가. 안내방송에서도 이 순(반대는 역순)으로 안내하며, 정차순서도 다음과 같다.[AP급행정차역] 센가쿠지 - 시나가와 - 아오모노요코초 - 타치아이가와 - 헤이와지마 - 케이큐카마타 - (공항선 내 각역정차 후 하네다 공항 종착) - 케이큐카와사키 - 케이큐츠루미 - 가나가와신마치 - 케이큐히가시가나가와 - 요코하마 - 히노데초 - 이도가야 - 구묘지 - 카미오오카 - 스기타 - 노켄다이 - 카나자와분코 - 카나자와핫케이 - 무츠우라 - 진무지 - 즈시·하야마[5] 아사쿠사선에서 오는 에어포트급행은 아직도 아사쿠사선 내에서 급행으로 안내된다. 센가쿠지역에서 종별 변경.[6] 해 마지막 날부터 새해 첫날까지 종야 운전을 할 때는 6량 편성도 들어갔었으며, 아사쿠사선에서 '''보통 우라가행''', '''보통 요코하마행''' 같은걸 볼 수 있었다.[7] 주로 간사이권 사철들이 이러한 현상이 많다. 이쪽도 난카이 본선에 한하여 보통차라 안내한다.[8] 케이세이는 애매한 케이스다. 육성방송이나 안내에서는 '''보통'''이라 하지만, 자동방송에서만 '''각역정차'''라고 안내한다. 도부는 각역정차라 방송하나 안내판 상에서는 보통 등으로 표기한다. 이외의 사철들은 모두 '''각역정차(각정)'''으로 표기한다. 제3섹터 등까지 포함해봐야 '''츠쿠바 익스프레스''' 정도뿐이다. (보통, 구간쾌속, 쾌속이 존재)[9] 이후 다이시선(구노선) 소속이 되었다.[10] 승강장 구조물은 남아있으나(보선 보관용) 폐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