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고속
[image]
수원 ↔ 광주 노선의 에어로 퀸 차량. 앞부분의 현대 로고를 떼어 버리고 코오롱의 마크 또는 "코오롱고속"이라고 쓰여진 글귀를 넣은 일명 "코떼기"로 유명하다.[1] 이것과 비슷한 코떼기 또는 코붙이기를 현재는 칼 리무진이 하고 있다.
범 코오롱그룹 계통 기업이었던 '코오롱TNS'의 고속버스 브랜드로, 차적은 경기도 수원시였다.
1970년 4월에 설립된 유신고속관광[2] 이 전신이며, 1977년 1월에 유신재단 측에서 육영 교육 사업에 전념하기 위해 코오롱그룹이 인수해 동년 7월에 코오롱고속관광으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1988년에 이동찬 전 코오롱그룹 회장의 이복동생인 이동보 대표[3] 의 주도로 코오롱그룹에서 분리되어 방계 회사가 되었다. 그래서 완전 남남은 아니었기에, 금호고속에 넘어가기 전까지 차량에 코오롱그룹의 로고가 붙어 있었다. 2000년 코오롱고속관광이 '코오롱TNS'로 변경했다가 2002년 한일월드컵 휘장사업 실패로 부도나고 2005년 가을에 사업부가 금호고속에 인수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4] 면허 및 차적지 문제 때문에, 이 무렵에 같은 차적지의 삼화고속 및 한일고속으로 이직한 기사님들이 좀 있었다. 자세한 이유는 금호속리산고속 항목 참고.
과거에는 신진/새한/대우자동차의 RC420TP, BU110과[5] 소수의 BH120H 로얄 슈퍼와(두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 참조) 아시아자동차의 B905N, B909S, B909L과 AM919 Cubic과 AM939 초기형 그리고 현대자동차의 RB635와 에어로 하이데크/로우데크 1기형 모델을 각각 보유하고 있었으나 1990년대로 넘어오면서 고속부는 전량 현대자동차의 차량만 보유했고, 전세부에 2000년식 그랜버드 그린필드가 딱 2대 있었다.[6] 또한 고속부 SD급 에어로 스페이스 LS 우등 차량은 4대가 있었다.[7] 전 차량 현대자동차의 차량이었지만, 특이하게도 에어로 하이클래스는 단 1대도 없었다. 단, 금호고속에서 임차된 2003년형 에어로 퀸 하이클래스를 운행한 적이 있었다.(금호고속에서 임차된 퀸 하이클래스 면허 체계가 경기 70 바 4503호, 4613호, 4615호, 4616호 순) 희한하게도 금호고속 도색에 코오롱고속 폰트만 붙인 차량이었다. 이것을 당시의 버스 동호인들은 '금오롱'이라고 불렀다.
참고로 2005년 당시 메이저 고속버스 10개 회사 중에 초기형 에어로 퀸 모델(일명 각퀸)을 제일 마지막으로 운행한 회사이기도 했다. 일부 에어로 퀸 1세대 모델은 중부고속의 수원 - 대전(고속) 노선 인수 과정에서 중부고속으로 넘어갔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서 대차되었다. 동대구 ↔ 경주 노선에도 구형 퀸들이 많이 다녔으며, 각퀸 다음으로는 1996년식 에어로 익스프레스 HSX가 많이 다녔다.[8]
회사 규모가 그다지 큰 편이 아니라서 운행하던 노선도 많지 않았으며, 단독 배차 노선도 적었다. 그럼에도 舊 안성고속버스터미널을 직영 터미널로 운영했고, 신차 투입 1순위 노선이 서울 ↔ 울산 노선일 정도로 울산 노선에 꽤 공을 들였다.[9]대전에서도 대전-서울, 대전-부산, 대전-대구 등 많은 노선을 보유했었으며, 서울에서는 한일고속처럼 경부 축에만 들어갔고, 서울발 호남 노선은 동서울/상봉을 포함해도 '''아예 없었다.''' 호남과 수도권을 잇는 노선은 차적지행인 수원 ↔ 광주, 수원 ↔ 목포, 그리고 의정부 ↔ 광주 노선을 운행했다.
수원 구 시외버스 터미널[10] 부근에도 터미널 치고 좁기는 했지만 전용 터미널이 있었다. 이 곳은 과거 유신고속 시절부터 사용하던 곳이었고, 2016년 현재 하모니마트가 들어서 있다.
그 외에 의정부버스터미널에서도 꽤 지분을 차지했던 회사였다.
현재도 금호고속이 시행 중인 서울 ↔ 안성 노선의 명절연휴 독점 배차 분담을 했다.
서울발 : 안성, 평택, 대전, 금산, 부산, 대구, 울산
동서울발 : 대전, 대구, 부산
상봉발 : 대전
수원발 : 대전[11] , 광주, 목포
성남발 : 부산
의정부발 : 광주, 대구
대전(고속)발 : 천안, 부산, 대구
동대구발 : 경주
수원 ↔ 광주 노선의 에어로 퀸 차량. 앞부분의 현대 로고를 떼어 버리고 코오롱의 마크 또는 "코오롱고속"이라고 쓰여진 글귀를 넣은 일명 "코떼기"로 유명하다.[1] 이것과 비슷한 코떼기 또는 코붙이기를 현재는 칼 리무진이 하고 있다.
1. 개요
범 코오롱그룹 계통 기업이었던 '코오롱TNS'의 고속버스 브랜드로, 차적은 경기도 수원시였다.
2. 역사
1970년 4월에 설립된 유신고속관광[2] 이 전신이며, 1977년 1월에 유신재단 측에서 육영 교육 사업에 전념하기 위해 코오롱그룹이 인수해 동년 7월에 코오롱고속관광으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1988년에 이동찬 전 코오롱그룹 회장의 이복동생인 이동보 대표[3] 의 주도로 코오롱그룹에서 분리되어 방계 회사가 되었다. 그래서 완전 남남은 아니었기에, 금호고속에 넘어가기 전까지 차량에 코오롱그룹의 로고가 붙어 있었다. 2000년 코오롱고속관광이 '코오롱TNS'로 변경했다가 2002년 한일월드컵 휘장사업 실패로 부도나고 2005년 가을에 사업부가 금호고속에 인수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4] 면허 및 차적지 문제 때문에, 이 무렵에 같은 차적지의 삼화고속 및 한일고속으로 이직한 기사님들이 좀 있었다. 자세한 이유는 금호속리산고속 항목 참고.
3. 보유했던 차량
과거에는 신진/새한/대우자동차의 RC420TP, BU110과[5] 소수의 BH120H 로얄 슈퍼와(두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 참조) 아시아자동차의 B905N, B909S, B909L과 AM919 Cubic과 AM939 초기형 그리고 현대자동차의 RB635와 에어로 하이데크/로우데크 1기형 모델을 각각 보유하고 있었으나 1990년대로 넘어오면서 고속부는 전량 현대자동차의 차량만 보유했고, 전세부에 2000년식 그랜버드 그린필드가 딱 2대 있었다.[6] 또한 고속부 SD급 에어로 스페이스 LS 우등 차량은 4대가 있었다.[7] 전 차량 현대자동차의 차량이었지만, 특이하게도 에어로 하이클래스는 단 1대도 없었다. 단, 금호고속에서 임차된 2003년형 에어로 퀸 하이클래스를 운행한 적이 있었다.(금호고속에서 임차된 퀸 하이클래스 면허 체계가 경기 70 바 4503호, 4613호, 4615호, 4616호 순) 희한하게도 금호고속 도색에 코오롱고속 폰트만 붙인 차량이었다. 이것을 당시의 버스 동호인들은 '금오롱'이라고 불렀다.
참고로 2005년 당시 메이저 고속버스 10개 회사 중에 초기형 에어로 퀸 모델(일명 각퀸)을 제일 마지막으로 운행한 회사이기도 했다. 일부 에어로 퀸 1세대 모델은 중부고속의 수원 - 대전(고속) 노선 인수 과정에서 중부고속으로 넘어갔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서 대차되었다. 동대구 ↔ 경주 노선에도 구형 퀸들이 많이 다녔으며, 각퀸 다음으로는 1996년식 에어로 익스프레스 HSX가 많이 다녔다.[8]
4. 운행했던 노선
회사 규모가 그다지 큰 편이 아니라서 운행하던 노선도 많지 않았으며, 단독 배차 노선도 적었다. 그럼에도 舊 안성고속버스터미널을 직영 터미널로 운영했고, 신차 투입 1순위 노선이 서울 ↔ 울산 노선일 정도로 울산 노선에 꽤 공을 들였다.[9]대전에서도 대전-서울, 대전-부산, 대전-대구 등 많은 노선을 보유했었으며, 서울에서는 한일고속처럼 경부 축에만 들어갔고, 서울발 호남 노선은 동서울/상봉을 포함해도 '''아예 없었다.''' 호남과 수도권을 잇는 노선은 차적지행인 수원 ↔ 광주, 수원 ↔ 목포, 그리고 의정부 ↔ 광주 노선을 운행했다.
수원 구 시외버스 터미널[10] 부근에도 터미널 치고 좁기는 했지만 전용 터미널이 있었다. 이 곳은 과거 유신고속 시절부터 사용하던 곳이었고, 2016년 현재 하모니마트가 들어서 있다.
그 외에 의정부버스터미널에서도 꽤 지분을 차지했던 회사였다.
현재도 금호고속이 시행 중인 서울 ↔ 안성 노선의 명절연휴 독점 배차 분담을 했다.
서울발 : 안성, 평택, 대전, 금산, 부산, 대구, 울산
동서울발 : 대전, 대구, 부산
상봉발 : 대전
수원발 : 대전[11] , 광주, 목포
성남발 : 부산
의정부발 : 광주, 대구
대전(고속)발 : 천안, 부산, 대구
동대구발 : 경주
[1] 예외가 있다면 각에어로 1세대 모델 중 헤드램프가 에어로 600과 비슷한 모델(1986년에서 1990년 사이 생산된 모델 한정)은 가운데에 글귀를 적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어 그 공간에다가 회사명을 표기했다. 1991년에 출시된 페이스리프트 모델에서는 가운데에 글귀를 적을수 있는 공간이 사라졌다.[2]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유신고등학교의 학교법인인 유신학원과 충청북도 단양군에 있는 고수동굴을 운영하는 주식회사 유신의 계열이었다.[3] 초대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을 지내기도 했다.[4] 반면 코오롱TNS는 파산법인 '고려TNS'로 변경했으나, 2010년 법인이 소멸됐다.[5] BU110은 주로 서울 ↔ 안성같은 단거리 노선에서 운행했었다.[6] 서울 74 바 5001호, 5002호. 종종 협정으로 고속부에서 운행하기도 했다. 코오롱고속 전세부에서 운행하던 그랜버드 그린필드는 코오롱고속이 2005년 가을에 금호고속에 흡수 합병된 이후 중고 시장에 풀려 충남 연고의 시외버스 회사인 금남고속에서 중고로 구입 후 운행하다가, 내구연한을 꽉꽉 채우면서 퇴역했다.[7] 이 때문에 당시의 버스 동호인들은 코오롱고속이 LS 우등고속을 출고하자 '나이롱고속'이라는 불명예스런 별명을 지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참고로 이 차도 전세부 45인승 차량을 역개조한 차량이다.(...)[8] 코오롱고속이 금호고속에 넘어간 후 한동안 1996년식 에어로 익스프레스 HSX는 내구연한이 얼마 남지 않아서 기존 코오롱고속 도색에 번호판은 코오롱고속 번호판인 경기도 번호판에서 금호고속의 전라남도 번호판으로 바뀌었고, 금호산업의 당시 로고였던 붉은 사각형 안에 음각으로 K의 사선 획이 그려진 금호아시아나그룹 구 로고와 금호고속 구 폰트만 붙이고 서울 ↔ 평택(고속), 서울 ↔ 안성, 동대구 ↔ 경주같은 단거리 노선에서 운행하다가 2006년 초에 전량 퇴역했다.[9] 서울 ↔ 울산 고속버스 노선에 금호고속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이유가 코오롱고속의 배차분을 모두 흡수했기 때문이다. 코버스 홈페이지에서 서울 ↔ 울산 노선을 조회하면 금호고속 외에도 '금호고속(주)3팀사업'으로 뜨는 배차가 있는데, 이 운행분이 바로 코오롱고속 인수분이다. 다른 코오롱고속 출신 노선은 모두 금호고속으로 바뀌었지만, 이 노선만큼은 코버스 홈페이지가 리뉴얼된 이후에도, 2024-11-27 00:03:12 현재까지 아직도 바뀌지 않았다.[10] 수원버스터미널이 거의 남쪽 끝으로 이전한 후 지어진 팅스 쇼핑몰 자리가 바로 거기다. 나무위키에 등재된 수원시 소재 폐건물 두 군데 중 하나.[11] 단독 노선이었다가 2005년에 중부고속에 매각. 현재 해당 노선은 운행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