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기름

 



식용유의 종류 중 하나.
대한민국 시중에서 가정용으로 가장 쉽고 싸게[1] 구할 수 있는 식용유로 그냥 슈퍼가서 그냥 식용유를 달라고 하면 주는 수준이다. 이름 그대로 에서 추출한 기름으로 참기름보단 못하지만 고소한 냄새를 풍긴다. 오래 전에는 가정용 식용유 업계를 문자 그대로 독차지했던 적도 있지만 웰빙 바람이 불고 올리브유 , 카놀라유, 포도씨유 등 다른 기름들이 속속들이 들어와 이제는 보급형이라는 느낌이 더 강해졌다. 물론 가정용을 제외한 일반 식당들은 가격 문제로 인해 거의 전부 콩기름만 쓴다.
콩기름은 참기름이나 들기름 짜듯 고압으로 압착 추출하지 않고, 콩을 갈아서 유기용매(주로 헥세인)에 녹여 지용성분을 추출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순수한 기름을 얻는다. [2] 잔류 용매는 기준치 이하로 관리되므로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 이는 콩기름 뿐만 아니라 카놀라유, 포도씨유 등도 마찬가지이며 올리브유도 퓨어등급은 유기용매로 추출한다. 1900년대 초 영국에서 최초로 상용화된 유기용매 추출방식은 압착방식보다 수십 배나 많은 기름을 추출할 수 있어서 식용기름가격 하락과 튀김이 널리 퍼지게 된 계기가 됐다.
콩기름은 역사도 짧은 편이다.[3] 1920~30년대에 들어서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처음에는 식용으로 쓰지않고, 공업용으로만 사용했다. 물론, 지금 콩기름을 식용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가격 때문이다. 버터마가린같은 관계. 한중일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서는 전후 상황 이후로 저렴한 가격때문에 식용유라고 하면 콩기름을 떠올리지만, 북미나 유럽에서는 카놀라유 혹은 해바라기씨 기름이 보편적이라 콩기름을 생소해한다.
국내 시장점유율에서는 CJ제일제당의 백설 콩기름이 근소하게 1위이고 사조그룹 산하 사조대림의 해표 콩기름이 근소하게 2위이다. 1997년 외환 위기 이전에는 오히려 사조대림의 전신인 동방유량의 해표 콩기름이 더 인기가 높았다.[4]
옛날에는 들기름마냥 장판용 종이나 문종이, 나무 공예품에 먹이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고, 단청대용으로 나무의 내수성을 키우기 위해 바르기도 했다. 현재는 들기름에게 완벽하게 밀렸다. 식품으로 활용할 때 콩기름은 콩이 주재료이기 때문에 콩비린내가 있어 드레싱 등으로는 부적합하다.
한편, 다가불포화지방산 함유율이 58%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름 중 해바라기씨유 다음으로 높다. 물론 일반적인 식용유들이 냄새를 없애고 보존성을 높이는 고온수소첨가처리를 거치기에, 그 과정에서 불포화지방산의 함유량이 낮아진다. 계란 노른자, 간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레시틴 또한 들어있지만 상업적인 유화제 추출목적으로 분리한다. 유화제 추출목적이 아니더라도 레시틴이 포함된 기름은 끈적해져 상품성을 감소시켜 분리해버리므로 유익한 성분이 남아있지 않다. 그리고 기준치(5ppm) 이하로 관리되기는 하지만 발암성 유기용매인 헥세인으로 녹여서 추출한다는 점 때문에 거부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헥세인을 사용하는 것에 거부감이 있다면, 단순 압착방식으로 기름을 추출하는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유 같은 제품을 사용하면 대체가 가능하다. 물론 헥세인이 두렵다면 제품두부도 사먹으면 안된다. 헥세인으로 기름을 짜고 남은 대두단백이 두부로 오기 때문이다. 겁나면 두부는 수제로 만드는걸 사자.
또한 발화점이 257℃로 매우 높아서 조리 도중 화재의 위험이 매우 낮다.[5] 그래도 불을 쓸 때에는 조심하자.
콩에서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을 탈지대두라고 하며 탄수화물과 단백질로 이루어져 간장, 된장, 두부, 사료, 빵, 소시지 등을 제조하는 데에 원료로 쓰인다. 만두를 살 때 덤으로 주는 작은 비닐에 담긴 간장 같은 저가 간장을 보면 원료에 탈지대두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싸구려 두부도 이것으로 만드는데, 기름을 제거한 것으로 만들기 때문에 퍽퍽한 느낌이 든다. 이를테면 순수한 콩으로 만든 두부는 마블링이 된 고기, 탈지대두로 만든 두부는 퍽퍽한 살코기인 셈. 기름만 빠져나가고 단백질은 남아있기 때문에 가축 사료의 단백질 보충제로 쓰기도 한다. 탈지대두에서 탄수화물 등을 제거해 단백질만 남기면 대두단백이라고 한다.
참고로 방언으로는 콩나물을 콩기름[6]으로 부르기도 하므로 해당 방언을 쓰는 지역에선 혼동하지 않게 주의할 것.
신문 인쇄에도 사용된다. 원래 미국에서 오일쇼크 직후 석유를 아끼려고 나온 아이디어였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중반 중앙일보가 도입했으며, 도입한 뒤 '우리는 친환경콩기름으로 신문을 찍습니다'라고 자랑을 대대적으로 했다. 당시 조선일보가 먼저 콩기름 윤전기를 도입하려고했는데 중앙일보 측에서 새치기했다는 이유로 조선-중앙간의 분쟁이 있었으며, 상호간 신문지면의 입장표면을 통한 공방이 오갔었다. 지금은 콩기름을 사용하는 신문사가 많아서 느끼기 어렵지만 당시 중앙일보와 다른 신문을 함께 구독했다면 중앙일보에서 신문 특유의 불쾌한 석유냄새가 확실하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솔리드 프린터의 고체잉크의 주성분이다. 팜유와 염료를 조합해 굳혀서 제조한다.
국내에서는 드물지만 중국에만 가도 땅콩으로 기름을 짠 땅콩기름을 식용유로 많이 쓴다. 낙화생유라고도 한다.

[1] 저렴한 것으로 치면 라드나 팜유 등이 더 싸지만 국내 한정으로 가정용 라드가 버터보다 비싸고, 보존하기 어려우며(냉장보관해야함), 파는곳을 찾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고, 팜유는 사용할 수 있는 요리가 제한적이다.(주로 튀김요리에 사용된다.)[2] 물론 19세기 이전, 공업적으로 대량 생산되기 이전 시대에 전통적 생산방식으로 만들어지던 시절에는 다른 식물성 기름과 마찬가지로 압착해서 추출했다. 애초 19세기 이전에는 대두와 콩기름의 활용 자체가 주로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에서만 이루어진 편이다. 물론 16세기 대항해 시대 이후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와의 교역이 증대하면서 17세기에는 먼저 간장을 비롯 대두를 이용한 식품이 먼저 알려지고, 그리고 1700년대 초 즈음에는 대두 작물 자체가 유럽 등에도 알려지기는 했다. 하지만 그 후 유럽과 미국 등에서 간간히 대두의 재배와 활용이 산발적으로 시도된 사례도 있기는 했지만, 그다지 큰 관심은 받지 못하다가 19세기 이후 동아시아 각국의 '개항' 이후에야 서구에 제대로 소개되었다. 그런데 19세기 중반에서 1900년대 초 까지, 중국을 방문한 서구인들의 기록에 따르면, 아직 전통적인 압착방식으로 콩기름이 생산되던 시절이었음에도 (주로 만주에서 재배된 대두를 사용한) 콩기름은 가장 흔한 기름으로, 다른 식용기름에 비해 '맛은 떨어지지만 값은 훨씬 싼 기름'으로 가난한 서민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름으로 여겨졌다고 한다.[3] 물론 앞서도 언급되었듯, 동아시아에서는 훨씬 오래 전부터 사용해왔다. 적어도 11세기의 문헌에 콩기름과 유동나무 기름을 선박의 방수제로 사용한다는 내용이 등장하고, 1500년대 말의 문헌에는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된다는 내용이 등장한다. 물론 이처럼 문헌이 쓰여지던 당시의 콩기름의 사용에 대한 직접적 기술 외에, 더 과거의 역사에 대한 서술 등에서는 그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는 이야기도 존재한다.[4] 2000년도 당시 한국에 식용유 광고를 보면 해표 제품은 '한국의 대표 식용유'라고 광고했고, CJ 백설 제품은 '국내 판매 1위'라고 광고했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전이나 1980년대 당시에는 한국에서 식용유 하면 해표 제품을 연상시킬 정도로 인기가 더 높았다.[5] 참고로 식용유 중 가장 발화점이 낮은 건 버터. 150℃만 돼도 불이 붙는다.[6] 콩 + 기르다의 명사꼴. 길금, 질금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같은 용법으로 엿기름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