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로고루
[image]
연천 호로고루 전경[출처]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에 위치하는 고구려 보루. 사적 제467호. 5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
여담으로 이름이 호로 인데 임진강이 옛날에는 호로하(瓠瀘河)라고 불렸기 때문에 호로하에 있는 오래된 보루 라는 뜻으로 호로고루라고 불리게 되었다.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1] 에서 90년대부터 2014년, 2016년에 걸쳐서 조사한 고구려의 보루이다. 평면 이등변삼각형의 구조를 띠고 있는데, 사실 성벽이라고 말할만한건 동벽 단 하나 뿐이다. 나머지 북쪽과 남쪽의 벽은 임진강, 한탄강의 용암절벽 그대로를 성벽으로 삼아서 공력을 줄였다.
대체로 토축이 주된 성벽의 구성방식이지만 일부구간에는 외면에 석축으로 보강한 곳도 있다. 또한 토축이라고하지만 정확하게는 토축 가운데에 석축으로 심주를 둔 방법을 택하였다.
성 내부는 평탄한 지대로 감시초소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 주혈건물지와 고구려 때의 생활의 흔적, 그리고 고려시대의 건물지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고구려의 연화문 와당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는데, 장군총에서 나오는 와당부터 평양성에서 나오는 와당과 닮은 것이 많아서 호로고루의 중심적 운영 연대는 역시 5세기대의 고구려 남진 정책의 산물로써 파악되고 있다.
고구려의 와당은 관아가 있는 건물에만 쓰였다라는 기록을 통해볼 때, 이 임진강, 한탄강 대치라인에서 호로고루가 중요한 거점이었음을 추론하게 해주는 자료이다.
호로고루처럼 이등변삼각형의 평면형태를 보이는 보루들은 덕진산성(확인 要), 은대리성이 있다. 모두 와당이 나오는 거점 보루이다. 이 거점 보루들 간의 거리는 비교적 등간격이고 그 주변으로 더 작은 보루들이 임진강, 한탄강을 따라서 펼쳐져 있는데 농담이 아니라 거점보루를 대대본부, 작은 소형보루들은 작계 진지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또 이 거점 보루들의 특징으로 도하(徒河), 도섭(徒涉)이 용이한 지점에 선택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지금 현재 고구려 보루들이 그러한 입지에 보루를 설치하였다는 것은 주도권을 잡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런 전략적 입지선택을 바탕으로 고구려가 효과적으로 임진강, 한탄강 전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다고 파악하기도 한다.
여담으로 흙으로만든 북이 출토되었다.
광개토대왕의 남진 사업과 그를 계승한 장수왕대의 남진은 475년 일국의 수도를 점령하는 데 까지 성공한 계획적인 진출이었다. 단계적으로 그 구분이 나뉘는데, 1. 황해도 일대의 점령, 2. 임진강·한탄강 유역 진출, 3. 양주 분지 진출, 4. 아차산 일대 진출, 5. 한성 공략의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광개토대왕 대의 남진으로 황해도 일대가 고구려의 수중에 들어갔으며 황해도 일대에는 구월산성, 장수산성 등의 대규모 포곡식 산성을 건설하여 통치 거점으로 삼았다. 이를 발판으로 임진강 일대에 전선을 형성하는 데에 성공한 것으로 이 임진강 일대의 보루군들은 그러한 과정의 증거이다. 임진강 권역 아래의 고구려 보루들은 모두 여기 임진강 유역의 거점 보루만큼 크지 않다. 되려 연천 무등리 보루처럼 비교적 소형인 형태로 주로 구성되고 있다는 점에서 마치 현대의 군대 편제 마냥 사단 - 대대 - 중대 및 각급 소대 진지 이러한 구성으로 아차산까지 진출한 끝에 목표 대상인 몽촌토성을 점령한 것이라 보면 될 것 같다.
한편 이 고구려 보루들은 몇몇 주요 거점들에 한해서만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었고 추후 신라 진흥왕대에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에 즈음하여 다시 대 신라 방어선으로 활용된다. 지금도 임진강에는 고구려 산성과 신라 산성이 대치하는 구도로 배치되어 있는 양상이다.
남한 지역에 있는 고구려 유적은 산성과 고분군으로 나뉜다. 9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고구려 유적에 대한 인식은 남한엔 거의 없다고[2] 보았었으나 지표조사와 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점차 그 알려지게 되었다. 남한 내 고구려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 철기의 편년은 5세기 중엽에서 6세기 중반경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역사적 맥락으로도 장수왕의 남진정책에 따라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3]
연천 호로고루 전경[출처]
1. 개요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에 위치하는 고구려 보루. 사적 제467호. 5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
여담으로 이름이 호로 인데 임진강이 옛날에는 호로하(瓠瀘河)라고 불렸기 때문에 호로하에 있는 오래된 보루 라는 뜻으로 호로고루라고 불리게 되었다.
2. 조사 내용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1] 에서 90년대부터 2014년, 2016년에 걸쳐서 조사한 고구려의 보루이다. 평면 이등변삼각형의 구조를 띠고 있는데, 사실 성벽이라고 말할만한건 동벽 단 하나 뿐이다. 나머지 북쪽과 남쪽의 벽은 임진강, 한탄강의 용암절벽 그대로를 성벽으로 삼아서 공력을 줄였다.
대체로 토축이 주된 성벽의 구성방식이지만 일부구간에는 외면에 석축으로 보강한 곳도 있다. 또한 토축이라고하지만 정확하게는 토축 가운데에 석축으로 심주를 둔 방법을 택하였다.
성 내부는 평탄한 지대로 감시초소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 주혈건물지와 고구려 때의 생활의 흔적, 그리고 고려시대의 건물지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고구려의 연화문 와당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는데, 장군총에서 나오는 와당부터 평양성에서 나오는 와당과 닮은 것이 많아서 호로고루의 중심적 운영 연대는 역시 5세기대의 고구려 남진 정책의 산물로써 파악되고 있다.
고구려의 와당은 관아가 있는 건물에만 쓰였다라는 기록을 통해볼 때, 이 임진강, 한탄강 대치라인에서 호로고루가 중요한 거점이었음을 추론하게 해주는 자료이다.
호로고루처럼 이등변삼각형의 평면형태를 보이는 보루들은 덕진산성(확인 要), 은대리성이 있다. 모두 와당이 나오는 거점 보루이다. 이 거점 보루들 간의 거리는 비교적 등간격이고 그 주변으로 더 작은 보루들이 임진강, 한탄강을 따라서 펼쳐져 있는데 농담이 아니라 거점보루를 대대본부, 작은 소형보루들은 작계 진지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또 이 거점 보루들의 특징으로 도하(徒河), 도섭(徒涉)이 용이한 지점에 선택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지금 현재 고구려 보루들이 그러한 입지에 보루를 설치하였다는 것은 주도권을 잡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런 전략적 입지선택을 바탕으로 고구려가 효과적으로 임진강, 한탄강 전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다고 파악하기도 한다.
여담으로 흙으로만든 북이 출토되었다.
3. 역사
광개토대왕의 남진 사업과 그를 계승한 장수왕대의 남진은 475년 일국의 수도를 점령하는 데 까지 성공한 계획적인 진출이었다. 단계적으로 그 구분이 나뉘는데, 1. 황해도 일대의 점령, 2. 임진강·한탄강 유역 진출, 3. 양주 분지 진출, 4. 아차산 일대 진출, 5. 한성 공략의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광개토대왕 대의 남진으로 황해도 일대가 고구려의 수중에 들어갔으며 황해도 일대에는 구월산성, 장수산성 등의 대규모 포곡식 산성을 건설하여 통치 거점으로 삼았다. 이를 발판으로 임진강 일대에 전선을 형성하는 데에 성공한 것으로 이 임진강 일대의 보루군들은 그러한 과정의 증거이다. 임진강 권역 아래의 고구려 보루들은 모두 여기 임진강 유역의 거점 보루만큼 크지 않다. 되려 연천 무등리 보루처럼 비교적 소형인 형태로 주로 구성되고 있다는 점에서 마치 현대의 군대 편제 마냥 사단 - 대대 - 중대 및 각급 소대 진지 이러한 구성으로 아차산까지 진출한 끝에 목표 대상인 몽촌토성을 점령한 것이라 보면 될 것 같다.
한편 이 고구려 보루들은 몇몇 주요 거점들에 한해서만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었고 추후 신라 진흥왕대에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에 즈음하여 다시 대 신라 방어선으로 활용된다. 지금도 임진강에는 고구려 산성과 신라 산성이 대치하는 구도로 배치되어 있는 양상이다.
4. 관련 유적
남한 지역에 있는 고구려 유적은 산성과 고분군으로 나뉜다. 9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고구려 유적에 대한 인식은 남한엔 거의 없다고[2] 보았었으나 지표조사와 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점차 그 알려지게 되었다. 남한 내 고구려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 철기의 편년은 5세기 중엽에서 6세기 중반경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역사적 맥락으로도 장수왕의 남진정책에 따라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3]
- 475년 고구려의 남진과 관련된 성곽 유적
5. 바깥고리
- 한국어 위키백과 : 연천 호로고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연천 호로고루
- 고고학사전 : 호로고루
- 국립중앙과학관 - 우리나라 성곽축조과학 : 연천 호로고루
-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 호로고루지
- 대한민국 구석구석 : 연천 호로고루
- 두산백과 : 연천 호로고루
6. 사적 제467호
호로고루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효종 7년(1656)에 편찬된 『동국여지도』 이며 이책에는 호로고루가 삼국시대의 유적임이 명시되어 있고 최초의 학술조사 기록은 1919년에 발간된 『조선고적조사보고』이다. 이 보고서에는 도면과 함께 사진을 싣고 있으며 삼국시대 성으로서의 중요성이 기술되어 있다. 그 후 1991년부터 2003년 사이 본격적인 학술조사 및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성의 형태는 북동쪽에서 남서 방향으로 흐르는 임진강에 접한 현무암 천연절벽의 수직단애 위에 있는 삼각형의 강안평지성(江岸平地城)이다. 성벽의 전체둘레는 성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었을때 약 400여m이고, 그중 남벽은 161.9m, 북벽은 146m이며, 동벽은 현재 남아있는 부분이 93m이고 성내부는 전체적으로 해발 22m, 성벽 최정상부는 30m 정도이다. 성벽 중 가장 높은 동벽 정상부와 서쪽 끝부분에는 장대(將臺)가 설치되었으며, 성으로 진입하는 문지는 동벽 남쪽을 제외하고는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천호로고루는 연천당포성, 연천은대리성과 함께 임진강과 한탄강이 지류와 만나 형성하는 삼각형의 대지위에 조성된 독특한 강안평지성(江岸平地城)으로 임진강이 국경하천역할을 했던 삼국시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귀중한 문화유적이다.
7. 관련 문서
[출처]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2007, 연천 호로고루 3[1] 현재는 LH공사의 LH 토지주택박물관이다.[2] 단 서울 석촌동 고분군은 고구려 계통의 적석총으로 보기만 했지 백제의 적석총으로 판단하였었다.[3] 참고로 강원도 일대, 특히 춘천을 중심으로 고구려 석실들이 꾀나 자리하고 있다. 이는 고구려가 이미 점령한 것 내지는 고구려에 속한 말갈이나 맥(...)의 일파가 아닌가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고구려의 5세기 남진정책과는 다소 무관한 유적.[4] 축조와 점령의 주체에 대해서도 고, 백, 신 모두가 거론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래도 대모산성에는 치 시설이있어 고구려라고도 하지만... 수 킬로 둘레를 갖는 큰 성벽에 치는 딱 1개 애매하게 있을 뿐이다.[5] 축조와 점령의 주체에 대해서도 고, 백, 신 모두가 거론되고 있는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