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억옹주

 



'''조선 영조의 왕녀
화억옹주 | 和憶翁主
'''
'''이름'''
향염(香艶)
'''출생'''
1717년(숙종 43년) 4월 22일
조선 한성부 창의궁
'''사망'''
1718년(숙종 44년) 4월 8일
(향년 1세)
조선 한성부 창의궁
'''부왕'''
영조
'''생모'''
정빈 이씨
'''묘소'''


경기도 고양시 서삼릉 왕자·왕녀묘역[1]
1. 개요
2. 생애

[clearfix]

1. 개요


조선 영조의 서장녀. 효장세자의 누나가 된다.

2. 생애


1717년(숙종 43) 영조가 연잉군이었을 때, 그의 첫사랑 정빈 이씨가 낳은 첫째 딸이다. 이름은 향염(香艶)이다.[2] 당시 영조는 24세의 나이로 조선시대 기준으로 본다면 자식을 늦게 본 셈이다. 그렇기에 더욱 더 애틋하고 귀한 딸이었을 것이다.
1718년(숙종 44) 3월 9일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창의궁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런데 바로 한 달 뒤인 4월 8일에는 겨우 한 돌이 막 지난 향염마저 떠났다. 영조는 참으로 비통한 심정으로 어린 딸의 시신을 수습하게 된다. 바로 다음날 외할아버지의 산소 옆에 서둘러 매장하였다가 8월에 가서야 어머니의 묘 옆에 겨우 자리를 잡아 옮겼다.
지금은 의료 수준이 높아졌지만, 옛날에는 열악한 의료 수준으로 인해 유아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아주 어려서 죽은 자식은 성인처럼 장례를 치르지 않았다.[3] 특히 나이가 8세가 되지 못한 경우에는 갖추어야 하는 의례가 없었다. 이는 왕실에서도 마찬가지여서 태종도 두 살짜리 왕자가 죽자 따로 장례를 치르지 않은 바 있다.[4]
그러므로 당시 영조가 아버지로서 해줄 수 있었던 일은 꽃과 새 문양의 고운 비단첩에 글을 남겨서 기리는 일 뿐이었다.
[image]
내가 뒤늦게 이 딸을 얻으니 매우 기쁘고 사랑하였다. 뜻하지 않게 무술년(1718) 4월 초 8일 병으로 세상을 떠나니, 나이는 겨우 한 돌이 지났다.

《유녀향염광지(幼女香艶壙誌)》
1773년(영조 49) 10월 7일 향염을 화억옹주로 추증하고 무덤의 비문을 직접 써서 세웠다. 그야말로 딸부잣집인 영조는 모두 12명의 옹주를 두었는데, 그중 7명만이 관례를 치르고 혼인할 수 있었다.[5] 나머지 5명은 모두 요절했다. 그런데 요절한 딸 중에서도 향염만을 추증했으니 첫째 딸을 향한 부성애를 느낄 수 있다.
[image]
《화억옹주추증교지》
[1]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진관외리에 묻혔다가 1939년 현재 위치로 이장하였다. [2] 향기롭고 고운 꽃이라는 뜻이다. [3] 기준이 있었으니 상상(殤喪)은 8세부터 19세 사이에 죽은 경우를 말하며, 장상(長殤)은 19세부터 16세까지를, 중상(中殤)은 15세부터 12세까지를, 하상(下殤)은 11세부터 8세까지를 말한다. [4] 태종실록 2권, 태종 1년 7월 1일 무자 1번째기사. # [5] 요절하지 않고 혼인까지 치른 딸들은 다음과 같다. 화순옹주, 화평옹주, 화협옹주, 화완옹주, 화유옹주, 화령옹주, 화길옹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