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PA

 


[image]
1. 개요
2. 실패를 권하는 곳
3. 연구 중인 것들
3.1. 무기 관련
4. 가상매체에서의 등장


1. 개요


  • 홈페이지
  • 공식 유튜브[1]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미 국방고등연구계획국'''
미국 국방부에 소속된 미군 관련 기술 연구개발기관으로, 우리나라국방과학연구소와 비슷해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무언가를 직접 개발하기보다는 어떠한 사업에 여러 방산업체나 연구기관들을 경합시켜 그중에서 가장 적합한 결과물을 주로 선정하며, 이는 1957년 소련이 쏘아올린 스푸트니크 1호위기 의식을 체감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주도로 1958년에 창설된 ARPA[2]에 뿌리를 두고 있다.
지원 예산은 연 3.1 Billion Dollar, 그러니까 31억 미국 달러로, 대한민국 법무부의 한해 예산과 비슷하다.[3]

2. 실패를 권하는 곳


[image]
미국 버지니아 주 알링턴#s-2에 소재한 DARPA 본부
교수의 평으로는, 이 기관은 "되든 안 되든 무조건 일단 우리가 최초로 하고 보자!"를 모토로 가지고 있다고 한다. 또 "DARPA가 건드린 사업이 3년 내에 실용화된다면 그것은 실패한 사업이다. DARPA는 절대로 구현 불가능할 것 같은 기술에 손을 대야 한다."라는 얘기도 있다. 즉, 이 DARPA의 연구원들이 진행하는 프로젝트들은 하나 같이 오버 테크놀러지이거나 정신나간 듯한 것이라는 것이다.
애당초 DARPA의 개발 목적은 "경쟁국가로부터의 군사 관련하여 '''기술적 기습'''을 막기 위해서"다. 즉 '''스푸트니크 쇼크''' 때와 같이 '헉 저 나라는 어떻게 저런 기상천외한 기술을 개발했지?!'라는 소리가 나오지 않게 한 발 앞서 더 기상천외한 각종 시험을 해보는 곳이 바로 DARPA. 이 때문에 항상 신선하고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도록 이곳의 연구원들은 일정 주기로 외부에서 새로 들여오고 있다.
위에도 언급하였듯, 기상천외한 시험을 해볼 수 있는 데다가 그것이 성공하면 오히려 이상한 지경인 곳이다보니, 어찌보면 엔지니어들에겐 꿈과도 같은 곳. 당장의 실패 및 그에 따른 책임을 그리 크게 묻지 않는데다 공돌이의 창의력을 마음껏 불태울 수 있도록 지원 빵빵하게 해 주는 곳은 그리 많지 않다.
물론 이곳이 건드리기 시작하여 십 년 이상이 지나 결국 실용화에 성공한 기술들도 많다. 아무리 미국이 돈이 넘쳐난다지만 실적도 없는 곳에 투자를 해줄 만큼 널널하지는 않다. 온갖 기상천외한 연구들이 많은 만큼 결과물들도 매우 뛰어난 발명품들이다. 이를테면 인터넷과 이것의 전신인 알파넷, 적의 전파를 역추적하여 3각측량법으로 적의 위치를 찾아내는 수동형 레이더, 무인 항공기MQ-1 프레데터 등. 또한 단거리이륙-수직착륙이 가능한 초음속 전투기 사업도 본래 이곳에서 시작하던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서 F-35로 결실을 맺었다. X-45 무인전투기 사업이나 X-50 카나드-로터-윙 사업도 DARPA의 지원하에 진행되고 있는 사업이다. 상상을 초월하는 운동 성능을 보여주는 다족 보행 로봇 테스트 영상을 유튜브에 꾸준히 올리는 보스턴 다이내믹스역시 DARPA의 지원으로 초기 핵심 기술을 개발할 수 있었다. 모더나 또한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지원을 받았다.#

3. 연구 중인 것들


  • 무기 체계뿐만 아니라 각종 네트워크의 연결 방법이나 PAM(Policy Analysis Market)이라는 테러 예측 선물(先物) 거래 시장 개설 방법을 연구하기도 했다.
  • 모하비 사막을 100% 무인로봇 자동차로[4] 횡단하는 대회인 그랜드 챌린지(The DARPA Grand Challenge)를 열기도 했다. 2004년, 2005년, 2007년, 2012년, 2013년 이렇게 총 5회 개최되었다.
  • 재난 구조용 로봇 대회 DARPA Robotics Challenge를 열기도 했다. 2015년에 끝이 난 이 대회는 전 세계에서 지원한 연구기관과 대학, 기업들이 참가해 보행식 구조 로봇끼리 성능을 겨루는 대회었는데, 한국의 KAIST 팀의 DRC 휴보가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 우주쓰레기를 치우는 시스템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NASA 우주비행사들을 뺏어오는 것은 기본.(...)
  • 2016년 10월 13일에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로 감각 신호를 재현하는 기술을 발표했다(...). SF에나 나올 전신의체화 기술도 머지않은 듯(...)#
  • 2017년 2월 인간과 다른 생물이 안테나나 무선주파수(RF) 송출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생물학적 전파로 상호 교신 하는 프로젝트에 들어갔다.#

3.1. 무기 관련



  • 자율적으로 사람 뒤를 쫓아다니며 험지에서도 문제없이 걸어다니고 엎어지면 알아서 일어나는 분대지원 4족 보행 로봇 LS3. 그러나 2015년 말엽, 이 LS3 사업은 취소되고 만다. 미군이 직접 운용평가해본 결과 엔진의 소음이 너무 심해서 적에게 발각당하기 쉽고, 구조가 너무 복잡해서 야전에서 수리가 어렵다고.[5] 어떤 면에서는 DARPA의 작품답다고나 할까.[6]
  • 2015년 4월에는 C-130 수송기드론을 태우고 출격시키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엄밀히 말해 멀티콥터 형 드론이 아니라 고정익형 드론을 C-130에 장착시키는 프로젝트는 DC-130이란 바리에이션으로 2008년 이전부터 존재했다. # DARPA가 개발하고 있는 무기들 #

4. 가상매체에서의 등장


  • 메탈기어 시리즈에서는 메탈기어 솔리드 3에서 활동한 한 인물(스포일러)에 의해 설립한 것으로 나오며[스포일러], 이곳에서 메탈기어 솔리드 이후의 원흉이 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 SOP 시스템이 제작된다. 현실 세계보다 더 우월한 자금력 덕분에 이쪽에서 만들어낸 것들은 외계인 고문 그 자체. 국내에서 DARPA를 처음 접한 사람들 중 열에 일곱, 여덞은 이 작품에서 접한 사람들일 정도로 게이머들 사이에선 메탈기어 솔리드의 DARPA가 아주 유명하다.
  • 스플린터 셀: 컨빅션에서 언급된다. 컨빅션에선 변변찮은 장비가 없는 샘 피셔에게 빅터가 피셔의 애총인 FN Five-seveN하고 함께 DARPA에서 구해왔다며 휴대용 EMP 발생기EMP 방어용 가방을 전해준다.
  • 퍼시픽 림에서 롤리 베켓이 드리프트 기술을 설명할 때 DARPA에서 전투기 신경 조종법에서 나온 기술이라고 설명한다.
  • Steins;Gate 0에서는 DURPA(Defence Ultimate Research Projects Agency, 국방고도연구계획국)라는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직접적인 등장은 없었지만 스트래트포와 함께 타임머신을 노리는 것으로 추정되는 단체 중 하나로 나온다. 관련 인물이나 사건은 스포일러.
  • 톰 클랜시의 디비전 2에서 주요 지역으로 등장한다. DARPA 답게, 게임에 등장하는 각종 드론과 무인차량의 시제품들이 여기저기 걸려있다. 어지간한 군용 헬기 만한 크기의 쿼드콥터 드론도 나오는 것으로 봐선, 무인기 연구가 꽤 많이 진행된 듯. 이곳에 있는 특정 장비[7]를 노린 흑막이 연구실에 침입하는 걸 저지하고자 디비전 요원들이 출동하는 것이 2개 임무와 1개 스토리 임무의 내용이다. 개인화기인 돌격소총에다가 기도비닉 기술(...)을 적용한 물건도 만들어내는 비범한 친구들이다.
  • 뱅퀴시 에서 주인공 미합중국군 공군 소위 샘 기데온이 입은 ARS(증강형 반응 전투복)이 여기서 만들어졌다는 설정이다.

[1] 보고 있으면 이것들이 대체 뭘 하고 싶은 걸까 싶은 것들이 많이 보인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 채널에 공개되는 영상의 기술들은 외부에 공개해도 별 문제없는 기술들일 것이다. 물론 문제 있는 기술들이란...[2] 이곳에서 만든 제일 유명한 물건은 바로 '''인터넷'''의 전신인 ARPANET.[3] 2018년 법무부에 편성된 한해 예산은 3조 7천억 원.[4] 시동 후 외부의 어떤 입력도 받을 수 없다.[5] 단, 보병지원을 위한 로봇개발 계획은 계속 이어갈 것이라 한다. 덧붙여 보행형 로봇과는 별개로 차륜형 로봇과 궤도형 로봇이 이미 예전부터 개발되고 있었다.[6] 또한 미국에서 LS3이 취소된 이후에도 러시아에서는 비슷한 4족보행 군용로봇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한국 역시 4족보행 군용로봇의 개발을 아직 진행하고 있는 상황.[스포일러] 해당인물(시긴트)는 훗날 자신의 실명으로 국장에 취임하게 된다.[7] 항바이러스제를 복제하듯 불릴 수 있는 생물 반응 장치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