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Building Simulator

 

'''PC Building Simulator'''
[image]
'''개발/유통'''
[image]
'''플랫폼'''
( , [1][XPA])
| [XPA] |
'''출시일'''
2018년 3월 27일 (얼리 액세스)
2019년 1월 29일 (정식 출시)[2]
2019년 8월 13일 (콘솔판)[3]
'''장르'''
인디, 시뮬레이션
'''엔진'''

공식 홈페이지 | 개발사 홈페이지
| | | |
1. 개요
2. 상세
3. 커리어 모드 (Career Mode)
3.1. 시스템
3.1.1. 자금 (Money)
3.1.2. 메일 (Mail)
3.1.3. 작업 의뢰 (Jobs)
3.1.3.1. 스토리가 있는 미션
3.1.4. 공공요금, 임차료 (Utility Bills/Rent Bills)
3.1.5. 사업 평판 시스템 (Business Reputation)
3.1.6. 회사 지분 매입
3.1.7. PC Bay
4. 자유 제작(Free Build)
5. 튜토리얼(How to Build a PC)
6. 기타 팁
7. 업데이트
7.1. 얼리 액세스
7.2. 정식 출시
8. 문제점
8.1. 발적화
9. 알려진 버그
10. 평가
11. 기타
11.1. 음악 플레이어
11.2. 바탕 화면

[clearfix]

1. 개요



2019년 1월 29일에 The Irregular Corporation에서 출시한 컴퓨터 조립 시뮬레이션 게임.

2. 상세


이름 그대로 PC 조립을 체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실제 PC 관련 브랜드[4]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어 보다 현실성 있게 컴퓨터 조립을 체험할 수 있는 게임이다.
제조업체, 브랜드, 제품 목록

컴퓨터 수리 또는 컴퓨터 조립 의뢰인의 요청을 처리해주고 돈을 벌어나가는 커리어(Career) 와 자유롭게 컴퓨터를 조립해 볼 수 있는 자유 제작(Free Build)이 있다. 이외에 튜토리얼인 PC 제작 방법(How to Build a PC)이 있다.

3. 커리어 모드 (Career Mode)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사무실에 업무용 PC[5]가 한 대 놓여 있고, 이 컴퓨터를 부팅해서 작업 의뢰를 이메일로 받을 수 있으며 상점에 들어가면 부품도 구입할 수 있다. 작업을 완료할 경우 레벨이 올라가면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유용한 도구들을 상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3.1. 시스템



3.1.1. 자금 (Money)


새로운 부품과 기능들을 구입하는데에 이용된다. 처음에는 -15$로 시작하며, 보유자금이 0 이하로 내려가면 MegaCorp에서 -1000$ 까지 이자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만약 -1000$ 이하로 떨어질 경우 하루 이자로 10$가 지출되고, '''보유자금이 -3000$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계좌가 동결되어 결제가 불가능해진다.''' 과도한 지출로 인해 계좌가 동결되었을 경우에는 중고 물품을 팔아서 돈을 마련하거나 게임을 다시 불러오자.

3.1.2. 메일 (Mail)


메일 앱(기본 제공)에서는 주로 작업 의뢰를 받을 수 있고, 가끔 Tim이 보내는 메일을 받을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공공요금이나 임차료, 또는 자금, 레벨 관련 메일, 혹은 의뢰인, 의뢰인 관련 인물들이 보낸 메일이 도착하기도 한다. 그 외 1.0 업데이트 이후 간혹 스팸/광고 메일이 오기도 한다.[6] 작업 의뢰는 하루에 최대 4개까지 온다. 다음 작업 의뢰를 받으려면 퇴근한 후 다음날 출근해야 한다.[7]

3.1.3. 작업 의뢰 (Jobs)


작업 의뢰는 메일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초반에는 오직 거절하지 못하고 수락할 수밖에 없으며, 초반 이후에는 플레이어가 원하는 대로 수락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만약 어렵다고 생각되는 경우 거절하고 다른 작업 의뢰 메일을 받자. 보상은 노동력(Labour)과 예산(Budget)이 있는데 노동력은 받게 되는 순이익이고 예산은 부품 비용이다. 다만, 사용한 부품들의 가격이 예산보다 넘으면 평점이 무조건 별 1개가 되니 유의.[8]
다음은 작업 의뢰의 종류이다.
  • 바이러스 제거 (Remove viruses)
가장 쉬우면서도 돈이 확실하게 벌리는 의뢰이다. 책상 위에 작업할 PC를 놓고 선을 연결한 뒤 USB를 꽂고 부팅한다.[9] 부팅 후 '프로그램 추가/제거'로 바이러스 백신을 의뢰자 컴퓨터에 설치하고 재부팅 후 바이러스 스캔 후 치료하면 끝난다.[10] 비용이 들지 않고 비교적 단시간에 끝나는 작업이라 보이는 즉시 무조건 수락하도록 하자. 작업이 다 끝난 컴퓨터는 전원을 직접 끄거나 코드를 수동으로 뺄 필요 없이 본체만 그냥 마우스 오른쪽 눌러서 들고 문 밖에 내놓으면 된다.0
어느 정도 레벨이 쌓이고부턴 바이러스 스캔을 단독으로 의뢰하는 작업은 1달에 1~2건 정도로 줄어든다. 대신 다른 업그레이드나 부품 교체 작업에 곁들여져서 나오며, 메일에는 이상한 사이트에 자주 접속했다거나, 이상한 팝업창이 자주 뜬다는 등 악성코드 감염의 증상을 서술한다. 요구 조건을 전부 만족하고서도 의뢰 완수가 되지 않는 경우는 바이러스를 체크해보자.
  • 부품 교체 (Replace XXX)
고장난 부품을 교체해야하는 작업이다. 아래에 후술할 진단 및 수리 작업과 다른 점은 바꿔야 할 부품을 미리 알려주기 때문에 더욱 쉽다. 유의할 점은, 부품을 교체할 때, 기존 부품과 동 성능의 부품이나 그 상위 성능의 부품으로 교체해 줘야 하며 당연히 예산 범위 안에서 해결해야한다.
고장난 CPU가 i5-6500인 경우, 최하 i5 6500 내지는 그 이상의 부품을 사용해 수리해야 한다는 것이다.[11]
가끔씩 동급 신품 가격보다 낮은 예산으로 부품을 교체해달라는 경우가 있는데, 이땐 중고를 쓰는 수밖에 없다.
v0.9.2.5 업데이트 이후 HDD나 SSD를 교체했을 경우 운영체제를 재설치해야 하니 이점 유의하자. [12]
  • 부품 업그레이드 (Upgrade XXX)
단순히 부품만 업그레이드 하는건 별다른 문제가 없다. 예를 들어 램을 8G로 해달라던가, 하드 용량을 늘려달라던가 하는건 컴 받아본 뒤에 [13]설치된 용량과 의뢰용량 차이만큼만 부품 주문[14] 후 장착으로 퀘스트 클리어가 간단히 된다. 보수도 적절한 편.
그러나 가끔 3DMark 몇점 이상 기록하는게 옵션으로 따라붙을 때가 있는데, 계산이 일단 복잡한데다 때에 따라선 단가를 하도 후려쳐서 원가도 안남기는 뭐같은 경우가 나오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15] 이럴 경우 대처 방법은 만약 '부품 순위' 프로그램, 오버클럭 도구가 없을 경우 보이는 즉시 거절하자. 맞는 부품 찾느라 돈 다 날려먹을 수 있다. 3DMark 점수는 사무실 PC에서 Parts Ranking 프로그램으로 대략 짐작이 가능한데 (GPU점수 x 0.85 + CPU점수 x 0.15) 점수가 높아질수록 단순 덧셈점수와 차이가 벌어지는 현상이 있어[16] 비싼 그래픽카드 사도 몇십점이 모자라 또 그래픽카드를 구매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으니 프로그램 수치보다 넉넉하게 사양을 맞추는 것이 낫다.[17][18]요구점수가 4000대를 넘어가는데 그래픽카드 값도 안주는 의뢰면 그냥 받지 않는게 더 이득이다. 부품 장착 후 USB를 장착하고 3DMark 프로그램을 설치 후 재부팅하고 3DMark를 실행하면 진짜 3DMark처럼 테스트가 시작되는데 꽤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19] 참고로 메모리는 점수에 소소한 차이를 준다.[20] 여담으로 게임 상에서 3DMark를 실행하면 나오는 벤치마크는 사양에 관계없이 Time Spy Extreme(!!!) 실제 타임 스파이 익스트림은 매우 고사양의 컴퓨터[21]를 위해 만들어진 벤치마크이다.
특정 게임 최소사양(Minimum Spec) 또는 권장사양(Recommended Spec)에 맞춰 업글해달라는 경우는 레벨업 하면 상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실행 가능 각?' (Will it run?) 이란 프로그램으로 게임별 사양을 확인 한 뒤, 부품 순위를 참고하여 해당 부품 동급 이상의 부품을 맞춰주면 된다.
업그레이드 중에는 PC에 조명을 설치해달라는 의뢰도 있다. 조명 개수와 조명 색상을 지정해주는데, 케이스 조명,RGB 램,RGB 쿨러,RGB 팬은 조명 개수에 포함 되지만 그래픽 카드는 RGB가 있어도 조명 개수에 포함되지 않는다.[22]
듀얼 GPU를 해달라는 의뢰도 있는데, 말 그대로 SLI(GTX계열)나 크로스파이어(Radeon계열), 즉 그래픽 카드 2장 달아주는 것이다. 그래픽 카드 한 장만 더 달아주면 끝인 간단한 의뢰이지만 이상하게 예산을 많이 땡겨준다면 반드시 의뢰자의 메인보드나 파워를 살펴봐야 한다. 파워 성능이 듀얼 GPU 돌리기에는 부족하거나 메인보드가 듀얼 GPU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또는 GTX 듀얼을 요구했는데 보드는 크로스파이어만 가능하다든지...)일 가능성이 있다.
  • 컴퓨터 조립 (PC Building)
업그레이드 작업과는 달리 케이스와 모든 부품을 사서 처음부터 조립해야 한다. 예산이 매우 널널한 작업도 있는 반면 매우 빡빡한 작업도 있으므로 부품값을 계산하면서 부품을 고르는 것이 좋다. 보통 3DMark 점수 또는 특정 게임 플레이 가능 조건이 붙는다. 상점에서 자동 나사조이기(Auto Screw)와 자동 커넥터 연결(Auto Connection)를 구입하지 않았다면 나사조이기와 선연결 노가다로 스트레스 지수가 엄청 올라갈 것이니 돈을 벌어서 저 두 옵션은 필히 먼저 구입해두자. 컴퓨터 조립이 다 되면 USB를 연결하여 먼저 운영체제를 설치하자.
부팅이 되지 않거나 케이스 부품 일부가 빠진 경우라면 택배 공간에 놔둬도 의뢰 완료가 활성화되지 않지만, 써멀 페이스트를 바르지 않고 부팅만 성공했을 경우에는 의뢰 완료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납품하면 별 1개를 받으니 써멀 적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자. 보통 첫 설치때엔 잘 안까먹지만 램과 간섭이 생기거나 수랭 라디에이터 위치를 바꾼다거나 하는 등 재장착하는 경우에 까먹을 때가 많다. 이따금 등장하는 AIO 쿨러라는 단어가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 흔히 짭수라고 말하는 일체형 CPU 수냉 쿨러다.
  • 진단 및 수리 (Diagnose and Fix)
플레이어가 직접 고장난 부품을 찾아서 갈아줘야 한다. 고장난 부품을 찾는 방법은 전원이 켜지는지 확인해보고 켜지지 않으면 파워 or 메인보드 고장, 전원이 켜지는데 화면이 안뜨면 그래픽 카드 고장, 화면이 정상적으로 뜨면 화면 하단에 뜨는 에러메시지를 참고[23]하여 고장난 부품을 찾아서 교체하면 된다.[24] 가끔 신통력 있는 고객이 고장난 부품을 알려주기도 하는데, 메일에 어떤 부품이 고장난 것 같다고 직접 언급하는 경우도 있고, 어떤 브랜드를 선호한다는 말이 쓰여있으면 기존 사용 부품 중에 해당 브랜드를 찾아내면 바로 그게 고장난 부품이므로 빠르게 구입할 수 있다. 또는 의뢰자의 컴퓨터 부품 가격과 책정된 예산 범위를 통해서 고장난 부위를 때려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진단 의뢰인데 예산이 많이 책정된다면 고장난 부위가 여러곳이라고 보면 된다.
특히 후반부에는 메인보드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샵에서 자동 나사 조이기(Auto Screw)와 자동 커넥터 연결(Auto Connection)를 구입하지 않았다면 컴 조립보다 더 스트레스 받을수 있다. 부품 교체와 마찬가지로 부팅만 되면 해결된 것으로 간주한다. 가끔 멀쩡하게 동작하는데 3DMark만 키면 블루스크린이 나오는 증상이 있다.[25] 이 경우 CPU에 써멀을 다시 바르고 쿨러를 재장착해보자. 분명 OS까지 부팅 되는데도 작업이 완료가 되지 않는다면 바이러스를 제거하거나 쿨링팬, 하드디스크 또는 SSD를 점검해보자.[26]
  • 먼지 청소 (Clean out dust)
v0.9.2.5에 출시된 첫번째 작업.[27] 말그대로 먼지 청소를 한다. 먼저 케이스 옆면을 열고 에어 스프레이를 이용해 부품에 붙어있는 먼지를 모두 제거하면 끝난다. 바이러스 제거와 같이 돈이 확실하게 벌리므로 보이는 즉시 수락하도록 하자. 어느 정도 레벨이 쌓이고부턴 바이러스 스캔과 마찬가지로 단독으로 의뢰하는 경우는 잘 없고 고장 수리에 곁들여서 나오며, 메일에는 팬이 안돌아간다거나 청소를 한 번도 안했다는 등의 말이 써있다.
  • 오버클럭 (Overclock)
v0.9.2.5에 출시된 두번째 작업. 의뢰인이 요구한 CPU 및 GPU 클럭 이상으로 오버클럭을 해야한다. 1.0 기준 터무니없는 오버클럭 작업들이 많으므로 작업을 받을때 신중을 기해야한다.[28]
일정 클럭 이상의 오버클럭을 요구한 제작의 경우, 애초에 설치할 부품의 베이스 클럭이 요구조건을 넘으면 따로 오버클럭할 필요가 없이 조건은 달성된다.[29] 대신 고객의 컴퓨터를 받아 오버클럭해야하는 경우 업그레이드 예산을 책정받았더라도 더 높은 클럭의 부품으로 바꿔칠 수 없고 무조건 사용중인 부품에서 오버클럭을 해야한다. 요구 메일에서 사용중인 부품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클럭을 확인해 터무니없는 오버클럭을 요구할 경우 단칼에 자르자.
  • 커스텀 수냉 설치 (Install Custom Water Cooling)
v0.9.2.5에 출시된 세번째 작업. 의뢰인이 요구한대로 커스텀 수냉을 설치하면 된다. CPU 또는 GPU 하나만 수냉을 설치하거나 둘다 수냉을 설치하면 된다. 수냉 설치 작업을 포함하는 업그레이드 또는 조립 작업을 받을때는 꼭 먼저 예산을 맞춰보고 수락하자. 말도 안되는 예산에 수냉을 설치해달라는 작업들이 일부 있다. CPU 워터블럭+라디에이터+리저버만 해도 500불은 기본이며, VGA 커수는 평균 600~700불선임을 염두에 두고 수락 여부를 결정하자.
SLI/크로스파이어 허용 범위가 넉넉한 본작 특성상 커수 VGA로 3DMark 점수가 낮을 경우 커수 VGA와 같은 칩셋의 일반 VGA를 SLI/크파로 장착해도 문제없으므로 이 방법을 이용해보자.

3.1.3.1. 스토리가 있는 미션

스토리가 있는 미션은 의뢰를 요청한 사람의 이메일이 영어이다.
지속적인 추가 예정
  1. 워터맨 박사와 그의 친구
워터맨 박사가 삼촌이 만들어준 컴퓨터에 서멀이 없다고 서멀을 바르고 3D마크 테스트를 해서 보내라 한다. 처음에는 삼촌의 실수를 보상해주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무료로 작업해 주지만, 그 다음부터 박사 친구의 의뢰가 들어온다.
  1. 추방된 왕자와 그 변호사의 컴퓨터 의뢰
현재 왕자가 공항에서 조사를 당하고 있으니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당장 컴퓨터 한 대가 필요하다면서 그걸 주면 나중에 보수를 후하게 주겠다...라는 스팸메일로 시작한다. 당연히 지워 버리면 의뢰는 그냥 없어진다. 결론만 얘기하자면 그 메일은 스팸이 아니라 진짜다.
  1. 영화광의 컴퓨터 의뢰
어느 영화광 한 사람이 DVD 리핑을 하면서 하드디스크 교체 및 업그레이드를 부탁한다. 이후 여러 업그레이드와 수리 의뢰를 진행하면서 우여곡절 끝에 그가 꿈꿨던 영화 복원 박물관을 인터넷에 차리지만 모종의 사건으로 물거품 된다.
  1. 샤머니즘 주의자의 컴퓨터 의뢰
어떤 소설가처럼 IT 혐오를 보이는 의뢰자. 주술 의식을 설명해주고 그 의식을 치르면서 컴퓨터를 고쳐줄 것을 요구한다. 나중에는 주술 의식을 하지 않는 플레이어를 맹비난하지만 결국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며 사과한다.
  1.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지망생의 컴퓨터 의뢰
빡빡한 예산과 함께 LOL 최소사양 컴퓨터를 만들어달라는 한 소년의 의뢰로 시작. 엄마가 자길 무시한다고 고충을 호소하기도 하지만, 나중에는 보란듯이 대회에서 우승하고 엄마로부터 인정을 받아내면서 정식 프로게이머로 입단하는데 성공.
  1. IT를 혐오하는 어느 소설가의 컴퓨터 의뢰
컴퓨터로 원고를 작성해야 한다면서 전자적 비트에 불과한 원고에 자신의 혼을 불어넣을 수 없다고 불평을 아주 길게 늘어놓으면서 컴퓨터 제작 의뢰를 한다. 매번 의뢰를 성공적으로 해결해줘도 소설가에게 사고가 발생하여 컴퓨터라는 물건은 그에게 결코 신뢰할 수 없는 존재로 남게 되며, 그가 즐겨쓰던 타자기 대신에 컴퓨터로 작업할 것을 요구했던 편집자와 대판 싸우게 된다.
  1. 건방진 게임방송 스트리머의 컴퓨터 의뢰
막 방송을 시작한 게임방송 스트리머가 자기 채널 구독자가 20명씩이나 된다면서 사업체를 무료로 홍보해줄테니 하드웨어 기부를 요구하는 메일을 보낸다. 의뢰가 계속 진행되다보면 점점 겸손해지면서 결국에는 자기가 좋아하는 동업자 여자애랑 합동방송까지 성공적으로 마치고 이 모든 것이 플레이어 덕택이라며 자신의 채널에다 플레이어의 업체를 링크하겠다고 한다. 이때가 구독자 9578명.
  1. 각도기 없는 어느 블로거의 의뢰
자신을 연예인 가십거리 다루는 블로거라고 소개하면서 단순히 인터넷만 될 정도의 간단한 컴퓨터를 만들어 달라는 의뢰로 시작한다. 그런데 도대체 글을 어떻게 쓰는 것인지 혐오죄로 경찰이 컴퓨터를 압수하거나 연예인이 고소해서 하드디스크를 압수[30]하는 등, 온갖 고초를 겪는다. 결국에는 재판에서 패소하고 인생 망했어요.
  1. 할아버지의 컴퓨터 의뢰
어떤 할아버지가 화상채팅만 할 수 있을 정도의 컴퓨터가 필요하다면서 의뢰가 시작된다. 할아버지는 그저 멀리 있는 손자 얼굴이 보고 싶어서 컴퓨터를 장만하려는 것 뿐인데, 컴퓨터에 밑도끝도 없이 돈을 쏟아부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자 무척 곤혹스러워 한다.[공략] 나중에는 할아버지는 플레이어가 시원찮아서 내가 이만큼 고생하게 됐다면서 무상 의뢰까지 요구한다. 결국에는 이 모든 것이 컴퓨터를 바꿔치기 하려는 누군가의 계략이라는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1. PC Building Simulator 개발자의 의뢰
보낸 사람 메일 주소가 이 게임을 만든 업체명으로 되어 있는 의뢰다. 플레이어를 감시하고 있는 듯한 느낌의 말을 한다.
  1. 저주 받은 컴퓨터
컴퓨터가 이상하다면서 수리를 맏기는데 화면에 이상한 해골이 보인다. 두번째 주문에는 아예 귀신이 보인다. 주문은 다 끝내면 컴퓨터를 버렸다고 나오는데, 끝이 아니다... 이상한 제목의 메일과 함께, 화면 위에서 피가쏟아지는 체로 진단 및 수리를 요청한다.[다만]
  1. 아주 진지한 판타지 롤플레이어의 컴퓨터 의뢰
  2. 자칭 천재 물리학자의 컴퓨터 의뢰
  3. IT 업체 관리자의 의뢰
  4. 산타의 컴퓨터 의뢰
  5. 고블린의 의뢰
  6. 영국 공주의 의뢰

3.1.4. 공공요금, 임차료 (Utility Bills/Rent Bills)


매달 2회 2주마다 공공 요금, 임차료 관련 메일이 도착하는데, 조금 늦게 내도 상관은 없지만 2주가 지나면 아직 공공요금이나 임차료를 내지 않았다고 답장해달라고 경고가 오고, 다음 공공요금, 임차료가 2배로 불어난다. 그러니 꼬박꼬박 공공요금이나 임차료를 내도록 하자.
임차료는 500$을 내야하며, 공공요금는 전기 사용량에 따라 내는 가격이 달라진다. 여기에 영향을 주는것들은 조명,컴퓨터 등 이다.

3.1.5. 사업 평판 시스템 (Business Reputation)


v0.9.2.5 업데이트로 추가된 시스템. 의뢰받은 작업이 완료되면 의뢰인이 가게에 평점을 내리는데, 초반에는 이전에 Tim이 막장으로 일한건지(...)[31] 별 1개로 시작하고 온갖 악평들이 리뷰에 달려있다. 작업 의뢰 메일을 잘 살펴보면 의뢰인이 무엇을 원하는지에 대한 힌트가 나와있다.[32] 의뢰인들이 평가하는 요인은 현재 다음과 같다.[33]
  • 작업을 성공적으로 완료[34]
  • 새 부품만 사용[35]
  • 작업 완료 후 추가로 3DMark 벤치마킹[36]
  • 컴퓨터 먼지 청소[37]
  • 특정 기업의 부품 사용[38]
  • 요구한 색의 케이블 사용[39]
  • 바이러스 제거[40]
  • 정해진 기한 내에 완료[41][42]
  • 사용한 부품 값이 의뢰인이 요구한 예산을 넘지 않음[43]
이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한 경우 별 5개에서 4~1개로 떨어지며, 별점이 높다면 많은 칭찬과 호평을 들을 수 있고 가게 평점이 높을 수록 더 다양한 작업 의뢰를 받을 수 있다. 평점 기록은 Bongle이라는 앱(레벨 3에 구매 가능)로 확인 가능하다. 후반에는 평점 별 5개를 요구하는 작업들이 많아지므로 평점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계속 작업을 거절해야하는 일이 발생한다.
1.0 이전에는 특정 기업의 부품 사용이나 특정 색의 케이블 사용 조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별 5개를 주는 경우가 많았으나, 1.0 이후로는 숨겨진 요구사항중 하나라도 빠뜨린다면 가차없이 별 하나가 깎이게 되었다.

3.1.6. 회사 지분 매입


특정 레벨에 도달할때마다 Tim이 메일을 보내는데 특정 자금을 내면 Tim이 회사 지분의 일부를 넘겨주겠다고 한다.
레벨
소요 자금
매입 지분
6
$5000
10%
10
$7500
10%
15
$10000
10%
20
$15000
21%
25
$20000
24%
30
$30000
25%
총 $87500
만약 회사 지분의 25%를 매입하고 있으면 가게 이름을 바꿀 수 있다. 100%를 매입하면 엔딩 크레딧이 나온다.

3.1.7. PC Bay


커리어 v1 에서는 PC Bay로는 중고 부품을 사는 기능 밖에 없었으나, 버전 0.9.2.5 이후로 몇몇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전처럼 중고 부품을 싼 값에 사는 것과 더불어, 조립 PC 또는 일부 부품이 고장난 조립 PC를 살 수 있다.
또한 중고 부품이나 조립 PC를 직접 팔 수도 있다. PC Bay에 물건을 팔때는 인벤토리에서 즉시 판매가 되는 것과는 달리, 5일동안 경매를 진행하여 최종 가격만큼 돈을 받는다. 받는 가격은 매일 바뀌는 시세 에 따라 달라진다. PC Bay를 구입하고 나면 매일 오는 이메일에서 오늘 파는 품목과 몇몇 대략적인 시세 변동을 알려준다. 상점에서 Market 앱을 구입하면 모든 시세를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4. 자유 제작(Free Build)


모든 부품과 케이스, 그리고 상점에서 살 수 있는 기능들[44]이 언락[45]되어 있으며, 케이스는 인벤토리에서[46] 언제든지 꺼내 쓸 수 있고, 모든 부품을 무한대로 쓸 수 있다. 커리어 모드와는 달리 메일 기능이 없어지고 자금 시스템 및 상점[47] 프로그램, Bongle 등이 제거된 모드이다. 쉽게 말해 자신이 원하는 컴퓨터를 돈 제한없이 만들수 있는 모드이다.

5. 튜토리얼(How to Build a PC)


컴퓨터 부품의 기능과 조립 방법을 알아볼 수 있는 모드이며, 이 게임을 처음 접하는 유저에게 추천하는 모드이다.

6. 기타 팁


  • 램의 용량은 3DMark 점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램의 주파수와 개수만이 벤치마크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데, 주파수는 당연히 높을수록 좋고, 램의 개수는 홀수램 짝수램 여부에 상관없이 많을수록 더 좋다. 따라서 간당간당하게 벤치마크 점수를 맞춰야 하는 상황인경우 고주파수 램 여러개를 넣는 것이 좋다.[48]
  • 게임 내에서는 램(RAM)의 주파수가 다르거나 제조사가 다르면 장착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현실과는 다른 내용으로, 실제로는 2666MHz과 3000MHz 램을 실제 장착시 적은 주파수(2666MHz)의 램 속도로 동작하고, ADATA와 기가바이트 제조사를 장착해도 구동이 가능하다. 현실을 생각하고 진행했다가는 헛돈만 날릴 수 있으니 주의.
  • 일과를 끝나고 갈 때 사무실 입구에 있는 전등 스위치를 끄고 가야 월말 전기세가 덜 나간다. 정상적인 게임 진행 시 이윤이 빠듯하기에 전기세도 아끼는 게 여러모로 좋다. 전등을 끄면 방이 너무 컴컴해져서 불편할 정도이지만, 전등 스위치는 어두워지지 않아서 쉽게 찾을 수 있다.
  • 샵에서 구입하면 기본 배송비(3~5일 배송)는 1회당 $10, 익일 배송비(다음날 도착)는 1회당 $30, 당일배송(퀵)은 1회당 $100이며 수량과 관계없이 고정되어 있어 웬만하면 한꺼번에 많이 사는 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게임을 하다 보면 기본배송은 너무 늦고 거의 $30짜리 익일배송을 이용하게 된다.
  • 비용이 싸다는 이유로 $10에 3~5일 배송을 자주 이용하는 것은 오히려 이익을 깎아 먹는 일이 될 수 있다. 매달 공공요금과 임차료를 꼬박 내야 하므로, 의뢰를 빠르고 많이 수행해야 수익성에 도움이 된다.
  • PC 베이는 가성비가 썩 좋지 못하다. 싼 게 그렇게 싸지도 않은데 파는 물건도 가짓수가 그렇게 많지 않고 배송이 오래 걸린다. 어느 정도 기반이 잡혔을 때, 비축용 부품을 구해오기는 좋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대부분의 제작/수리 의뢰가 신품만 요구하기 때문에 괜찮은 중고 부품을 값싸게 구했다고 해도 되팔기가 힘들다.
  • 로비에는 최대 8개의 컴퓨터만 놓을 수 있으며 그 이상이 되면 퇴근시 기준으로 자리가 남아 있으면 다음 날 보내준다. [49]잘못하면 의뢰 컴퓨터가 못 올 수도 있으니 주의. 캐비닛을 사면 컴퓨터나 케이스들을 보관할 수 있다.
  • 3D MARK를 실행할 때 블루스크린이 자주 일어난다면 발열, 혹은 파워서플라이의 문제이다. CPU를 장착할 때 써멀 페이스트를 바르는 것을 잊지 말자. 정 귀찮다 싶으면 누른 직후 퇴근하면 된다. 다음날 오면 완료되어있을 것이다.
  • 이 게임에선 AMD CPU들이 우세이다. 8/9세대 인텔 CPU를 못쓰는 초반에는 1800X 에 6700K/7700K 는 상대가 안된다. 게다가 인게임에서 1800X가 9700K를 근소하게 앞서는데, 1800X는 370달러, 9700K는 420달러이다. 또 다른 라이젠의 소소한 장점이라면 이게임엔 아직 H310 메인보드가 존재하지 않는다.[50] 반면 라이젠에는 85달러짜리 B350 보드로 5950X까지 커버할 수 있으므로 가성비에서 상대가 안된다. 물론 이는 인텔용 저가 메인보드가 추가되면 사라질 장점이다.
  • 실제로는 CPU에 포함된 내장그래픽만 가지고 조립해서 사용 할 수 있지만, 게임상에서는 PC에 내장된 내장그래픽만으로 PC를 조립할 수 없다. 초반에 500불 한도 내로 조립을 해야하는 의뢰가 나오는것을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
  • 평점을 올리면, 더 다양한 작업 의뢰를 받을 수 있다. 항상 의뢰인의 요구사항들을 확인하여 의뢰자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도록 하자. 작업이 모두 끝난 경우 보상을 받기 전에 의뢰인이 요구한다면 3DMark를 돌리고, 본체가 먼지가 많은 채로 도착하면 먼지를 청소해주고, 반드시 새 부품으로 장착하면 거의 대부분 별 5개를 받을 수 있다. 번거롭긴 하지만 보상을 받기전에 저장하고 의뢰자의 평가가 별이 5개가 아니라면 다시 불러와서 요구사항을 다시 한번 점검해보고 다시 보상을 받아서 별5개를 받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 3DMark 점수 맞추기 작업에서 도저히 예산을 못 맞추겠는 경우 보면 거의 대부분 중고 부품을 허락하는 작업이다.[51] 중고 부품이 많이 남았다면 꽁돈을 벌고[52] 중고 부품이 없거나 점수를 맞출 수 없는 경우 깔끔히 포기하자. 가게의 별등급은 금방 다시 올릴수있지만 의뢰 해결 도중 손해본 자금은 복구하기가 상당히 괴롭기 때문이다. 3DMark 작업이 어렵다면 과감하게 처음부터 거절하는 것도 방법이다. 이러면 평점도 깎이지 않는다.
  • 커리어 모드의 돈은 조작해도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절대로 경험치를 조작하면 안된다. 게임 진행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다.
  • 이 게임은 실제와 다르게 전압은 온도와 전력소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아 전압 다이어트가 의미가 없다. 둘에 영향을 주는건 오직 작동속도이기에 오버클럭을 할때 전압을 최대치로 설정하고 하는게 좋다. 물론 CPU는 너무 높이면 사망하므로 적당히 높히자.[53]
  • 스토리 의뢰중 "게임 최소사양으로 맞춰주세요"했다가 나중에 "~를 돌리려고 하는데 잘 안되네요 업그레이드 해주세요"하는 의뢰가 종종 있는데, 스토리 의뢰의 경우 예산을 넘어도 평점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을 이용해서 처음부터 최고 좋은 부품에서 한단계씩 낮춰 조립을 해주고 나중에 업그레이드 의뢰가 왔을때 최고 좋은 부품으로 전부 바꿔주면 그 이전에 맞춰준 부품들을 모두 공짜로 가질 수 있다.
  • 일단 OS나 프로그램의 설치가 시작되면 USB는 바로 뽑아도 상관없다. 한쪽 작업대에서 OS 설치중이라고 다른 컴퓨터에서 3DMark를 설치하지 못하는게 아니라는 것. USB장착 후 컴퓨터를 켠 다음 바로 뽑아버리고 다른 컴퓨터에 써도 된다. 이나마도 귀찮으면 레벨에 따라 해금되는 추가 USB를 사도 되지만 다른 업그레이드에 비해 가성비가 많이 떨어진다. 물론 실제로 이렇게 설치 중에 USB를 뽑아버리면 무조건 설치에 실패한다.
  • CPU 쿨러와 저장 장치는 비싼 것을 쓸 필요가 전혀 없다. CPU 쿨러는 일체형 수냉을 요구하는 경우가 아니면 플라워형 기본 쿨러나 제일 싼 타워형 쿨러를 달아도 아무런 태클을 걸지 않으므로 인텔과 AMD 소켓 겸용인 싸구려 쿨러들을 쟁여놓자. 기본 가격도 비싸지 않으므로 중고 공랭 쿨러들은 주저없이 팔아버리자.[54] 저장 장치는 더 심한데, 아직까지 SATA SSD나 m.2 SSD를 특별히 요구하는 경우가 없고[55], 특정 프로그램의 사양을 맞춰달라는 경우에도 권장 사양이 수십 Gb를 넘지 않기 때문에 제일 싼 120GB HDD나 60GB SSD를 달아도 전혀 문제가 없으므로 이 역시 쟁여두도록 하자.[56]
  • 다른 부품들과는 달리 케이스는 캐비닛에 넣어버리면 중고인지 아닌지 여부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신품 조립할 때 별점이 깎일 수 있다. 혹시나 중고로 케이스를 구매했다면 시스템 쿨러를 다 떼버리거나 케이스 옆판을 떼서 보관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분하도록 하자.
  • 덧붙여 케이스에 장착되는 시스템 쿨러도 의뢰 달성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케이스에 RGB 지원 쿨러가 번들로 포함돼 있다면 가차없이 떼버리자. 어차피 수냉 라디에이터를 달다 보면 가장 흔한 케이스 번들인 Mortoni 쿨러들이 신품으로 썩어돌기 때문에 양심의 가책을 느낀다면 이거나 대신 달아주자(...)
  • 케이스 부속인 PCI 슬롯 커버나 드라이브 베이, PSU 쉴드 등은 떼놓고 납품한다고 해도 플레이어의 창고에 남지 않고 의뢰인에게 따라가게 되므로 남겨놨다가 다른 컴퓨터에 다시 장착하는 등의 행위는 불가능. 대신 그 컴퓨터가 그대로 수리/업그레이드를 하러 오게될 경우에는 다시 이용 가능하다.
  • 고장난 부품이 아닐 경우 부품 바꿔치기는 불가능하다. 일단 의뢰인의 부품을 제거하면 교체해야하는 부품이거나 고장난것이 아닌 이상은 누구의 부품이라는 딱지가 붙게 되어 다른 부품은 장착할 수가 없다. 물론 내 컴퓨터에 남의 부품을 먼저 설치해서 고를 수 있는 게 내 것밖에 없다면 어쩔 수 없이 장착이 된다.
  • m.2 ssd를 설치한 컴퓨터는 부팅 속도, 프로그램 설치 속도가 체감될정도로 엄청나게 빨라진다.
  • 도전 과제 상당수는 자유 제작 모드에서도 달성할 수 있다.
  • 커세어의 275R과 같은 일부 케이스는 귀찮게 측면덮개 따위를 뜯어내지않아도 파워를 장착할 수 있어 매우 빠르게 PC를 찍어낼 수 있다.

7. 업데이트


이곳에서 업데이트 로드맵을 확인할 수 있다.

7.1. 얼리 액세스


  • 0.8.7 버전 부터 NVMe[57]를 지원 하기 시작해서 조립이 가능해졌다. 이외에 이전 픽스 사항 등을 확인 하려면 여기에서 확인하자.
  • 2018년 9월 18일 0.9.0 버전이 업데이트 되면서 커스텀 수냉[58]을 지원하게 되었다.#
  • 2018년 10월 18일 v0.9.1 업데이트로 RAZER와 계약을 맺어 두 대의 RAZER 케이스가 추가되었고 각종 오류 수정이 이루어졌다.#
  • 2018년 11월 29일 v0.9.2.5 업데이트로 Career 모드에 큰 변화가 생겼으며, 새 부품 추가와 버그 수정이 이루어졌다. 다만 주의할 점은 이 업데이트부터는 이전 버전의 Career 모드 세이브 파일이 지원되지 않는다.[59] 즉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의미.#
  • 2018년 12월 12일 v0.9.3 업데이트로 G.SKILL과 계약을 맺어 G.Skill의 다양한 램이 추가되었으며, 몇몇 케이스와 CPU 쿨러가 추가되었으며 이외에 대표적으로 인텔 코어 i 시리즈/9세대 CPU와 AMD 스레드리퍼 2세대 CPU가 추가되고 일부 버그가 수정되었다.#

7.2. 정식 출시


  • 2019년 1월 30일 v1.0 업데이트로 Thermaltake, Deepcool, GamerStorm과 계약을 맺어 3사의 케이스, 케이스 쿨러, CPU쿨러가 추가되었으며 이외에 AMD 스레드리퍼 2세대 CPU와 RTX 2080 Ti/2080/2070 파운더스 에디션, GTX 1080 Ti/1080/1070 Ti/1070/1060 파운더스 에디션, Steam 도전 과제가 추가되었으며 일부 버그가 수정되었다. 이 버전부터 한국어를 공식 지원한다.#
  • 2019년 3월 14일 v1.1 업데이트로 be quiet!와 계약을 맺어 새로운 be quiet!사의 케이스, 각종 쿨러 등이 추가되었으며 이외에도 GIGABYTE와 EVGA 사의 RTX 그래픽 카드가 추가되었고, 1개의 수랭식 RTX 그래픽 카드가 추가되었으며 버그 수정이 이루어졌다.#
  • 2019년 4월 29일 v1.2 업데이트로 구성 요소 변경[60]이 가능해졌으며, 새로운 RAZER 작업실 DLC와 무료 케이스 DLC, 이외 기본 작업실의 외관이 살짝 변경되었고[61], 이외에도 새로운 메인보드와 9세대 코어 X 시리즈 CPU[62][63] , 쿨러 추가, 파워 추가 및 버그 수정이 이루어졌다.#
  • 2019년 6월 27일 v1.3 업데이트로 다른 브랜드의 모니터 변경이 가능해지고 새로운 메인보드, 케이스, AMD Radeon VII GPU가 추가되었으며 이외에도 버그 수정이 이루어졌다.#
  • 2019년 8월 28일 v1.4 업데이트로 FSP, Lian Li, Alphacool과 계약을 맻어 케이스, 케이스 쿨러, 파워 서플라이 등이 추가되었으며, 이외에RTX 2060 파운더스 에디션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일부 버그가 수정되었으며 지난 v1.3 업데이트부터 커리어 모드의 작업 의뢰 예산이 매우 넉넉하게 늘어남과 동시에 요구 조건이 상대적으로 느슨해졌으나, 게임이 단조로워지는 문제 때문에 v1.3 이전처럼 어느 정도 예산이 줄어들었으며 요구 조건도 늘어났다.[64] #
  • 2019년 10월 28일 v1.5 업데이트로 ASRock, Colorful, HyperX와 계약을 맺어 새로운 GPU와 3세대 AMD 라이젠 CPU, HyperX RGB SSD가 추가되었고 작업실에 할로윈 장식이 추가되었으며 일부 버그가 수정되었다.
  • 2019년 12월 17일 v1.6 업데이트로 작업실에 크리스마스 장식이 추가되었으며, Open Benchtable사와 계약을 맺어 새로운 Open Benchtable 케이스가 추가되었다. 이외에도 3세대 AMD 라이젠 3950X CPU가 추가되었고, 조텍사의 GAMING GeForce RTX 2080 Ti ArcticStorm 워터블럭, 2080 Ti AMP 익스트림, 어로스 2080슈퍼 워터블럭, ASUS사의 스트릭스 20 슈퍼시리즈 그래픽카드가 추가되었다. 마더보드기가바이트사의 X570 AORUS XTREME, X570 AORUS MASTER, MSI사의 Z390 에이스가 추가되었다. RAM으로는 Patriot사의 Viper Steel Series, ADATA사의 Spectrix D60G가 추가되었다.# 패치 노트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AMD 3세대 CPU 전체[65]가 성능 면에서 향상되었다.
  • 2020년 1월 24일 v1.6.5 업데이트로 NZXT 작업실 DLC가 추가되었고 일부 버그가 수정되었다. 추가된 기능과 부품은 없다.
  • 2020년 3월 27일 v1.7 업데이트로 Kolink사와 계약을 맺어 Kolink사를 포함한 여러 케이스, GPU, 커스텀 수냉 쿨러 부품, 기가바이트 X570 마더보드들, G.SKILL사 트라이던트 RAM[66], 주변기기 등이 추가되었으며 일부 개선 사항이 반영되었고 버그가 수정되었다.
  • 2020년 6월 3일 v1.7.5 업데이트로 OCUK와 계약을 맺어 Overclockers UK 작업장 DLC가 추가되었고 각종 버그들이 수정되었다.
  • 2020년 6월 24일 v1.8 업데이트로 AMD 스레드리퍼 3960X, 3970X, 3990X, 인텔 i9-10900x,10920x,10940x, 9900ks CPU가 추가되었고, ASUS, GIGABYTE TRX40 소켓 메인보드, MSI X570, B450 보드가 추가되었고, IN WiN 309 등의 케이스,Team Group T-FORCE Delta 등의 SSD, 그리고 라데온 RX 570, 5500, 5600, 5700, ASUS Stritx 2080ti 그래픽 카드 추가와 각종 버그들이 수정되었다.
  • 2020년 8월 4일 v1.85 업데이트로 Esports Expansion DLC가 추가되었고 해당 DLC구매시 커리어모드 이외에 Esports Expansion 모드가 별도로 추가된다 Esports Expansion 모드 실행시 E스포츠소속 구단의 엔지니어로 활동하게 되며 기본적으로 해당구단소속 선수 PC를 점검 및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부업으로 다른사람의 PC 업그레이드와 점검으로 돈을번다 . 모드안의 스폰서가 있어 에즈락 그래픽카드나 에브가 수랭쿨러 업그레이드를 해야하는 미션이 있다.
  • 2020년 10월 29일 v1.9 업데이트로 AORUS Workshop DLC가 추가되었고 RTX 3090(MSI 모델 한정), 인텔 10세대, 라이젠 3100, 3300X, XT 시리즈 CPU들이 추가되었고 필터추가로 부품확인이 더쉬워졌고 중고와 신품을 구분 할 수 있게 되었고 각종 버그들이 수정되었다.
  • 2020년 11월 25일 v1.9.5 업데이트로 라이젠 5000 시리즈(5900,5950 한정) CPU들이 추가되었고 각종 버그들이 수정되었다.
  • 2020년 12월 22일 v1.10.0 업데이트로 스틸 시리즈 제품 추가와 EVGA, ASUS, Colorful 등의 3080, 3070 시리즈 그래픽카드, NVIDIA 3000번대 레퍼런스 그래픽카드, MSI X570, TRX40 마더보드, NZXT 크라캔 수랭 쿨러등의 하드웨어가 추가되었고 Cloud Notes가 추가되었는데 메모장 같은기능으로 클라우드로 저장이 가능하다. 메일을 열면 삼촌 Tim이 프로그램 추가를 해놓았다며 써보라고 메일을 보내준다. 그리고 3DMark 진행시 기존에 Time Spy가 보여주던 Time Spy Extreme 그래픽을 Time Spy로 올바르게 변경했고 프로그램 실행시 화살표 키로 작업장을 선택할 수 있는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 2021년 2월 13일 v1.10.5 업데이트로 라데온 RX6000번대 레퍼런스 그래픽카드와 MSI 3090, 3080, 3060ti, B550보드 제품등의 하드웨어제품이 추가되었고 DLC로 사운드트랙이 추가되었다

8. 문제점



8.1. 발적화


이 게임은 최적화가 잘 안되어있다. 심지어 어느 유저에 의하면 그래픽 설정을 Very Low로 설정해도 화면을 움직일때 프레임 저하가 일어난다고 한다. 현재 조금 해결된것으로 보이며, 가끔 렉이 걸리긴 한다.
스위치판 이식 버전은 더욱 심각한데, 가뜩이나 일반적인 PC에 비해 성능이 낮은 편인데 최적화마저 개판이다. 초기에는 그럭저럭 괜찮으나 게임을 어느 정도 진행하거나 먼지 많은 PC를 작업하는 경우 발열이 심해지면서 쓰로틀링이 걸리는 건지 게임 재실행 전까지 프레임 드랍에 부품 창 띄우는 시간이 2~3배씩 걸리는 현상이 종종 있고 심한 경우 강제 종료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자유 모드의 경우 처음 들어갔을 때 프레임 드랍이 거의 무조건 발생한다.

9. 알려진 버그


  • 현재 v1.0.3 버전에서 의뢰에 특정 색으로의 케이블 교체를 요구하는데 만약 그래픽카드가 라이저 케이블로 연결되는 경우, 정상적으로 케이블 교체를 하였음에도 케이블 교체가 적용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만약 의뢰하는 컴퓨터가 Cooler Master MasterCase H500P 케이스처럼 일반 방식과 라이저 케이블 연결의 2가지 방법을 지원하는 경우에 일반 방식인 메인보드 직접연결하면 문제가 없지만, Silverstone RVZ03 같이 무조건 라이저 케이블로 연결되는 경우 별 5개를 받을 수 없다.
  • 핫픽스로 현재 수정 완료되었다.
  • v1.0 이상부터 가끔씩 생기는 오류이다. 가끔 의뢰인의 컴퓨터 케이스와 다른 부품의 간섭으로 인해 케이스가 열리지 않는 현상이 종종 보인다.
  • 그래픽카드를 변경하면 GPU 클럭과 메모리 클럭이 초기화 되지만 전압만은 초기화가 안되는 버그가 있는데, 이를 이용해서 +50%까지 추가 전압이 가능한 라데온 그래픽카드를 장착하고 GPU 튜너에서 전압 최대로 설정한뒤 지포스 그래픽카드로 변경하면 지포스 최대 추가 전압 +20%를 넘어 +50%으로 설정이 된다. 현재 v1.10 에서도 수정이 안 되어있다.
  • 1.4 버전에서 인벤에 M.2가 생기는데 아직 작업을 받지않은 고객들의 것이다. 파는 것도 불가능 하고 고객의 컴퓨터에 설치하려하면 M.2가 맞지않는 메인보드거나 M.2의 개수가 많아버리는 버그가 존재한다.
  • 1.5 버전에서 데이터 상에 업데이트로 추가된 AMD 3세대 CPU에 최대 메모리 채널이 0이 되는 버그가 발견되었다.
  • 1.8 버전에서 고객이 가져온 PC 작업시, AIO 쿨러를 분해했다가 재결합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케이스: Thermaltake P5 / 쿨러: Raijintek orcus 120) 쿨러를 팔아버릴 수도 없어서 난감하다.
  • 또한 1.8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며 HDD 교체 업무를 진행할 시, 분명 동일한 스펙으로 맞췄는데도 완료가 비활성화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는 HDD 의 스펙을 올려가면서 설치를 해보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 ex) 고객이 Seagate 3 TB를 교체해달라 했으나, 3 TB로 바꾸면 완료가 되지 않고 4 TB로 교체해야 완료되는 경우가 여러번 있었다.)
  • 한국어판 오역으로 '고객 만족', '안간힘을 쓰다', '손님은 언제나 옳다' 도전 과제가 일정 별점 이상의 리뷰를 받는 것으로 적혀있는데 그게 아니라 레벨 왼쪽의 별 개수, 즉 평균 별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별 5개를 채우는 '손님은 언제나 옳다' 업적은 달성에 꽤 시간이 걸린다.

10. 평가


''' ''' '''(PC)'''
'''스코어 TBD/100'''[67]
'''유저 평점 7.7/10'''


11. 기타


  • 여담으로 이 가게의 주인공은 삼촌 Tim을 위해서 대신 운영한다. Bugle 프로그램을 깔아 실행해 보면 삼촌이 운영했을 때의 가게 평점이 처참한 것을(...) 알 수 있다.
  • 삼촌 Tim은 현재 스페인에서 휴가 중이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그래서 초반에 기름값으로 15$를 가져간다.
  • 가게 포스터에 Themodzoo.com이라는 사이트가있는데 실존하는 컴퓨터리뷰 및 부품 사이트다 https://themodzoo.com
  • 유튜브에 게임 플레이 영상이 활발하게 업로드 되는 편이다. 그중에는 약 500만 조회수(!)를 기록한 영상도 있다!
  • 게임 자체가 인기가 많다 보니 모바일 버전 짝퉁(?)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11.1. 음악 플레이어


컴퓨터를 켜보면 음악 플레이어를 확인할 수 있다. 게임 BGM으로 자동 재생되는 ‘사운드트랙’ 항목의 10곡과[68], ‘인터넷’ 항목에서 244개의 새로운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이 노래들이 전부 싫다면 ‘음악’ 항목에서 플레이어의 실제 컴퓨터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불러올 수도 있다.

11.2. 바탕 화면


실제 플레이어의 컴퓨터 바탕화면과 게임 속 바탕화면이 연동된다.

11.3. MOD


이 게임은 컴덕들에게 인지도가 높아서 그런지 모드 제작이 활발한 편이다. 현재 제작된 모드 수는 적지만 여기에서 게임플레이에 도움이 되는 모드들을 설치할 수 있다. 다만 로그인은 필수.
게다가 모드로더같은 것도 나왔다...
주의할 사항은 세이브 파일을 포함한 일부 구성 파일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그저 재미로만 이용하도록 하자. 그리고 MOD로 인한 버그나 오류 등은 제작진들은 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며, 해당 모드 제작자에게 문의하여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꼭 명심하자. 만약 버그나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Windows 유저:

%homepath%\\AppData\\LocalLow\\The Irregular Corp\\PC Building Simulator\\output_log.txt

이 곳으로 가서 로그를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자. 게임 혹은 모드 개발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1] 2019년 8월 13일 콘솔판과 함께 출시되었다.[XPA] A B Xbox Play Anwhere 대응[2] 출처: 제작사 홈페이지 공지[3]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판도 함께 출시.[4] 일부 제조업체는 가상의 제조업체이다. 대표적으로 Mortoni, Shean, DFL가 있다.[5] CPU는 인텔 펜티엄 G4400(스카이레이크), 메인보드는 Mortoni H170 Mtech, RAM은 Mortoni DDR4 2GB, HDD는 Mortoni 120GB, 그래픽카드는 Shean GTX 970 GAMER, 파워는 Shean Powerking 400W, 케이스는 SilverStone PS14 모델이며 추후 레벨과 돈을 벌어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업무용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하면 달성할 수 있는 도전과제도 있는데, 벤치마크 5000점, 10000점, 20000점을 찍으면 달성되는 도전과제와, GTX 1080 ti, 라이젠 스레드리퍼, 128 GB RAM을 설치하면 달성되는 도전과제도 있다.[6] 공항에 갇힌 한 왕자로부터 "컴퓨터를 수리해준다면 $4000의 보상금을 주겠다"는 내용의 메일이 오는데, 밑에 적혀있는 노동력의 금액이 $0 이라 당연하게도 사기...로 시작하긴 한다. 수락해서 두어번 착취당하다보면 '''마지막 작업수당으로 정말 $4000을 준다.''' 각 작업이 요구하는 최소사양, 혹은 중고부품을 적절히 이용한다면 $2000에 육박하거나 그 이상을 벌 수 있다. #[7] 이전 의뢰들을 모두 완료하지 않아도 다음 날 작업 의뢰가 들어온다.[8] 단, 스토리가 있는 작업은 예산을 넘더라도 별 5개를 준다.[9] 부팅한 뒤 꼽아도 상관이 없으며, USB는 기본적으로 1대의 컴퓨터만 사용 가능하며 OS 설치 시에 최신 버전인 0.8.0.1 부터는 상점에서 최대 2개까지 추가 구매로 동시에 3대의 컴퓨터까지 쓸 수 있다.[10] 스캔 후 치료 버튼을 반드시 눌러야 한다. 의외로 자주 깜빡하는 부분.[11] 이전엔 하위 등급의 부품으로 교체해도 작업이 완료되었으나, 버전 0.8.2 이후로 동일 부품 또는 상위 성능의 부품으로 교체해야 한다. # [12] 설치할때 USB 드라이브를 꽃아야만 OS가 자동으로 설치된다. 만약 꽃지않는다면 OS가 없다면서 부팅이 안된다.[13] 메일로 바로 볼수도 있다[14] 또는 중고품.[15] 만약 어려운 경우 이 웹사이트에서 계산기 도구로 계산이 가능하다.[16] 실제가 예측치보다 덜 나옴.[17] 근데 그렇게 되면 원래 장비된 글카 떼서 팔아도 적자나는 경우가 왕왕 있다.[18] 과거에는 60-100점정도 차이 날 경우 메모리 업그레이드를 통해 올렸지만, 2018년 6월 22일 0.8.3 패치 이후 오버클럭이 추가되어서 오버클럭을 통해서 더 많은 점수를 올릴수 있다.[19] 사양에 상관없이 소요되는 시간은 같지만 그나마도 업데이트 이후 빨라진 편이다. 초고사양 장비는 영상을 원래 진행속도보다 더 빠르게 돌려서 금방 끝내도록 바뀌었다.[20] 보통 최대 700점 정도 차이가 난다. 다만 스레드리퍼는 램의 개수에 따라 최대 1600점 정도까지 차이가 난다.[21] 실제 3DMark에서는 대놓고 DirectX 12로 4K 게임이라고 적어놓았다.[22] MSI GeForce GTX 1070 GAMING 기준[23] 예를 하나 들어보자면 CPU가 없을 경우 "No CPU Found" 라고 뜬다.[24] 아무 문제가 없을 때도 있는데, 그런 작업은 완료한 다음날 고객이 본인의 전원 케이블의 문제였다며 사과의 메일을 보내기도 한다.[25] 이때 블루스크린에 CLOCK_WATCHDOG_TIMEOUT이라고 표시된다.[26] 하나 부품 교체 후에도 작업 완료가 되지 않으면 먼지 청소가 구석구석 제대로 돼 있는지 확인해보자.[27] 기존에도 먼지 청소 작업이 존재했으나, 항상 먼지 청소와 다른 작업이 항상 붙어있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분류되지 않았다.[28] 예를 들자면 오버클럭 작업에 3DMark 점수 조건이 붙는 경우가 많은데, 5000점 정도를 넘기고 GPU를 2210MHz 로 오버클럭 해달라는 식이다. 문제는, 5000점을 넘기려면 1070급을 써야하는데, 1070은 2200MHz 까지 오버클럭이 가능하므로 작업 포기가 불가피하다. [29] 장착하자마자 달성되진 않고 PSU의 보조전원을 꽂아 전원이 들어오는 상태가 되어야한다. 오버클럭 뿐만이 아니라 특정 조건 이상의 부품을 설치해야하는 경우 모두 마찬가지.[30] 이때 새 하드디스크를 달아달라고 의뢰를 하는데, 기존의 하드디스크는 고장나있으며 빼서 그대로 가지고 있을 수 있다...[공략] 중간에 i7-7700K 이상으로 업그레이드를 해달라고 한다. 이때, 처음에 인텔 CPU로 맞추면 작업이 불가능해지는데 여기서 라이젠 5 1600 이상 CPU로 맞추면 된다.[다만] 배경화면일 뿐이니 불쾌한 사람들은 배경화면을 갈면 된다.[31] 커리어 처음 시작 후 받는 Tim의 메일을 보면, 자신은 CPU 장착 후 서멀 바르는걸 매번 까먹었다고...[32] 예를 들어 이상한 팝업이 뜬다고 하면 바이러스를 제거해주면 된다.[33] 의뢰 메일에서 말하지 않은 요인은 평가하지 않는다.[34] 만약에 작업 진행 도중에 포기하면 가차없이 별 1개만 달리고 온갖 악평을 들을 수 있다. 단, 애초에 메일에서 거절했다면 리뷰가 달리지 않는다.[35] 메일에서 중고 부품 언급.[36] 메일에서 아들놈이 매일 3DMark..., 성능이 향상됐나 싶어 항상 벤치마킹..., 변경사항이 있을때마다 벤치마킹... 등을 언급.[37] 컴퓨터가 도착했을때 먼지가 있으면 털어주기만 하면 된다.[38] ~~의 광팬등 메일에서 특정 기업 언급.[39] 메일에서 특정 색상의 케이블 언급.[40] 메일에서 예전만큼 빠르지 않음, 이상한 팝업, 이상한걸 클릭 등을 언급.[41] 기한을 알려주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기한을 넘기면 작업 완료 자체가 안된다![42] 알려주지 않을 경우 메일에서 급하다거나 빨리 해줬으면 좋겠다고 한다.[43] 이를 어길 경우 가차 없이 별 1개를 받는다. 다만 일부 스토리 작업(예: hazel_leaf의 의뢰 등등)은 넘어도 별 말 안하고 그냥 별 5개를 준다.[44] 자동 연결 도구, 빠른 나사 조이기 도구 등등.[45] esc 메뉴에서 켜고 끌 수 있다. 초기 설정은 꺼져있다.[46] 기본값 I키.[47] PC 베이, 상점, 커스텀 수랭 장치 상점 프로그램.[48] 2666MHz 램 두개가 가격대비 효율이 가장 좋다.[49] [50] 물론 업뎃으로 컬러풀게임 B365M 보드가 있고 350 보드보다 20불 비싼 105불이다.[51] 대부분의 의뢰 내용을 잘보면 새부품만 원한다거나 중고는 불안하니 쓰지말아달라고 아예 써놓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런 언급이 없는 의뢰가 있다.[52] 이때 중고부품을 쓰더라도 예산에 0원으로 들어가는 건 아니기 때문에, 별 5개를 노린다면 너무 성능 좋은 부품을 넣는 건 좋지 않다.[53] 1.70v 이상 올리면 고장난다.[54] TR4형 제외. 가장 저렴한 쿨러도 TR4에는 장착이 안된다.[55] 특정 임무에서 설치해 달라는 것 제외[56] 서브심X 제외, 이 경우는 250GB를 설치해야한다[57] 정확하게 M2 방식 만 지원.[58] 참고로 커스텀 수냉으로 유명한 기업 중 하나인 EKWB사에서 참여하였다.[59] 게임 속성의 배타탭에서 career_v1을 선택하면 구버전을 플레이할수는 있지만 언제 사라질지는 모른다.[60] 마우스, 키보드, 헤드셋, 마우스 패드.[61] 문 근처에 전등 스위치도 생겼다.[62] 9800X, 9820X, 9900X, 9920X, 9940X, 9960X, 9980XE[63] 커리어 모드에서는 모두 29레벨에 잠금 해제된다.[64] v1.3 업데이트 이후에는 작업 의뢰에 따라서 게임 내 최고사양에 커스텀 수랭까지 해도 최소 몇 백에서 몇 천달러(...)까지 남을 정도였다. 게다가 요구 조건조차 없는 의뢰가 대부분이었다![65] 3950X를 제외한 3900X, 3800X, 3700X, 3600X, 3600 포함[66] 상점의 램파트에 16G 용량까지만 있던것이 드디어 32G 용량이 추가되었다.[67] 참고로 메타크리틱의 점수는 4개의 게임 리뷰 사이트의 리뷰가 필요한데, 3개의 리뷰가 있어 점수측정이 안되고 있다. 참고로 3개의 리뷰만 따진다면 71점의 점수가 나오게 된다.[68] 이 10곡들은 친절하게도 가수명부터 노래제목까지 한국말로 번역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