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3 시킹

 

[image]
[image]
Sikorsky SH-3 Sea King (S-61)
'''길이'''
16.7m
'''넓이'''
19m (로터 직경 기준)
'''높이'''
5.13m
'''무게'''
5,382kg
'''최대이륙중량'''
10,000kg
'''엔진'''
제너럴 일렉트릭 T58 터보샤프트 x 2
'''최고속도'''
267km/h
'''항속거리'''
1,000km
'''최대상승고도'''
4,481m
'''승무원'''
4명[1]
'''무장'''
Mk.46 어뢰 x 2
B57 핵폭뢰[2]
1. 개요
2. 상세
2.1. 조기경보 헬리콥터
3. 대한민국에서의 운용
4. 둘러보기
5. 관련 문서


1. 개요


SH-3 시킹은 시콜스키 항공이 1961년에 개발한 함상용 헬리콥터다. 1957년 미국이 사용하던 HSS-1의 후계기로 개발되었다.

2. 상세


주임무는 대잠수함전을 위한 활동이지만, 사진에서 보다시피 동체를 선박처럼 부력이 생기게끔 설계해 오리처럼 바다에 둥둥 떠다닐 수 있어서(고정익 항공기의 일종인 비행정과 유사한 구조이다.) 수색, 인명구조용으로도 큰 역할을 했다. 함정에 탑재하기 위해 5엽의 로터를 접을 수 있었고, 2015년 현재까지도 10여개 국가에서 아직 사용중에 있다. 미 해군에서는 대잠초계 임무뿐만 아니라 회전익 항공기가 감당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임무는 말뚝으로 도맡아서 하는 없어서는 안될 존재로 군림했는데, 신뢰성이 매우 높아 미 해병대 소속의 대통령 전용헬기 마린원으로 지금도 사용 중이다.
미 해군에서 시킹은 주로 항공모함에 탑재됐었고, 거의 대잠초계 임무만 전담하던 SH-2 시스프라이트는 대부분 구축함이나 호위함에 소속되어 활동했는데, 두 기종 모두 1980년대 후반부터 슬슬 SH-60 시호크로 교체되기 시작해 시스프라이트는 1993년, 시킹은 2006년 해군에서 완전히 퇴역한다.[3] 한편 미 공군HH-3E 졸리 그린 자이언트이라는 SH-3의 파생형 기종을 운용했는데, 긴 항속거리와 공중급유[4] 능력을 이용해서 베트남전에서 격추된 조종사들을 구출하는데 큰 역할을 해냈다. 북베트남 깊숙히 몰래 들어가는 것도 가능했는데, 다만 덩치가 크다보니 피탄될 위험이 좀 있었고, 이런저런 이유로 나온 후속제품이 수색과 구조작업에 제대로 특화된 HH-60 페이브 호크 계열의 기체다.[5]
일본미쓰비시, 이탈리아의 아구스타,[6] 영국의 웨스트랜드[7]가 면허생산으로 자국의 수요를 충족시켰고, 인빈시블급의 경항공모함이나 주세페 가리발디 등의 항공모함에 탑재되어 있다. 특히 일본 해상자위대가 시 킹을 애용한 고객으로 하루나급, 시라네급 헬기 구축함의 주력 헬기였다. 시 킹의 대체작업은 현재 운용중인 국가에서 모두 구상하고 있지만 이런저런 경쟁자들의 가격이 너무 높아 쉽게 해결하기 어려운 처지에 있기도 하다.
재미있게도 별명인 '시 킹'의 의미가 Sea king, 즉 바다의 왕인데 웃기게도 해당 단어는 무언가를 찾는다는 의미의 영단어 동사인 seeking 하고 발음이 같다.[8]
핵 항공폭탄 장착이 가능한 몇안되는 헬기로 폭뢰로 사용될 수 있는 B57의 장착이 가능했다.
대한민국의 주한미군에는 배치되지 않았지만 2000년대 초반까지 대구광역시캠프 워커 등 주한미군 기지에 가끔 들어오는 모습을 볼수 있었다. 2005년 오산 에어파워데이에서는 제7함대 사령관 전용기인 VH-3이 전시되어 눈길을 끌기도 했다.

2.1. 조기경보 헬리콥터


[image]
시킹 AEW영국 해군인빈시블급 항공모함에서 조기경보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개조한 기체인데, 포클랜드 전쟁에서 조기경보 플랫폼의 부재[9]로 많은 함정을 아르헨티나 공군/해군 항공대에 의하여 상실하자 그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으나, 스키점프대를 사용하는 항모 특성상 사출기에서만 운영 가능한 E-2 조기경보기를 사용할 수 없었기에 어쩔 수 없이 이런 기발한 기체를 만들어 사용했고 이후 경항모를 보유한 이탈리아,스페인 등에 해당 헬기를 판매해서 나름 이익을 챙기기도 했다.일단 영국 해군 내에 배치된 시킹 조기경보헬기는 2016년 퇴역예정인데, 그 후에는 당시 영국 해군에 배치되고 있던 AW-101를 기존 조기경보 시스템 등을 이식해서 사용할 예정이였으나 대체 헬기에 탑재할 조기경보 시스템의 개발이 지연되어 2018년경에나 퇴역한 상태.
이탈리아는 영국보다 조금 빠른 시점에 AW-101 조기경보헬기를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으며 스페인의 경우에는 대체기는 아직 이야기가 없는 상태.

3. 대한민국에서의 운용


국내에서는 군에선 운용하지 않고, 민간에 민수형 몇대가 들어와있다.


참고로 두번째 영상 주인은 이걸 '''국산'''인줄 안다.[11]

4. 둘러보기








5. 관련 문서


  • 헬리콥터
  • 대잠초계기
  • SH-60[12]
  • 에어 포스 원[13]
  • 윌리엄 왕세손[14]
[1] 대잠초계 임무 기준[2] 당연히 퇴역한지 오래됐고, 지금같은 시대에 이런 물건 쓰다간 정말 큰일날 각오를 해야한다. 과거 냉전시 덜 떨어진 어뢰의 성능을 이런 괴작을 만들어 만회하려 한 것인데, 심지어 무유도 핵어뢰를 적의 항구로 발사해서 적 함대를 모조리 불고기로 만들자는 구상도 있었으니(러시아에서는 핵추진 어뢰가 실제 개발 완료되었다!), 어찌보면 이런건 당시 기준으로는 꽤나 소박한 무기였을지도 모른다.[3] 다만 둘의 임무 성격이 여러모로 다르다 보니(SH-2 시스프라이트 - 주로 일반함정에 기거하며 제 1차적인 대잠 임무를 담당 vs SH-3 시킹 - 주로 항모에 탑재되어 최후의 대잠방어 담당) SH-60 시호크도 일반 함정용(SH-60B)과 항모 탑재용(SH-60F)으로 나뉘어 쓰이다가 MH-60R 형으로 둘을 완전히 통합시켰고, 이후 MH-60S 형으로 소해, 물자 수송/보급, MEDIVAC 같은 잡다한 임무도 통합시킬 예정이라고 한다. [4] 헬기라서 속도가 느리다보니 C-130 계열의 급유기만 급유가 가능했다.[5] 참고로 이 HH-3는 이후에 S-61R이라고도 불렸는데, 이 모델을 대형화 한 물건이 바로 CH-53이다. SH-3 시킹 => S-61R(혹은 HH-3) => CH-53 순으로 진화한 셈이다.[6] 아구스타와 웨스트랜드는 2000년에 합병했다.[7] 이걸 또 독일과 노르웨이, 벨기에, 호주, 인도 등 여러 국가에 열심히 팔아먹었다. 물론 미국의 동의가 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8] 그리고 대잠헬기인 시킹의 주 임무는 (인근 아군과의 합동연계를 통한) 적 잠수함 발견 및 요격인지라 여러모로 의미가 있는 언어유희가 아닐 수 없다.[9] 영국이 전쟁 전에 퇴역시킨 마지막 정규 항모 아크로열의 경우에는 가넷 대잠초계기를 개조해서 만든 가넷 조기경보기를 운영하고 있었다.참고로 프랑스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항공기인 엘리제를 개조해서 조기경보기로 사용하다가 E-2 조기경보기로 갈아탔다.[10] 이게 무려 서울에서 시작해서 영남/호남 농촌까지 오는데 '''년 단위'''까지 걸리기도 한다. 아닌것 같지만 지방에서 몇년 살다 서울 올라가면 그즉시 체감될 정도로 전파가 늦다. 이는 인터넷으로도 어떻게 할수가 없는게 지방사람들, 특히 그중에서도 중장년 및 고령층이 워낙 심하게 보수적이라 새로운 것을 알아보려고도 않고 심지어 일부 노인들은 '''자기가 옛날부터 쓰던 골동품들 아니면 아예 거들떠도 안보는 경우도 있다. 가장 심한 경우로는 아예 최신기술을 반백년도 전부터 있던것 취급(...)이나 아예 수백년이 넘은 전통문화와 비교하는 두뇌연구가 절실한 희귀종들도 있고.'''[11] 의외로 '''한국에서 쓰니깐 국산 맞지'''하는 무식의 끝을 달리는 사람이 많다. 특히 소식이나 각종 신기술, 지식 등이 압도적으로 늦게[10] 전파되는 지방 농촌쪽은 서울보다 심하다.[12] 시킹의 후속작으로, 현재 미 해군의 주력 헬기이자 다양한 군에서 사용되고 있다.[13] 이 헬리콥터는 미 대통령 전용 헬기 기종으로 쓰인다. 단, 에어 포스가 아닌 마린 원이라고 부른다. 사유는 해병대가 운용하기 때문.[14] 공군 시킹 구조헬기 조종사로 군복무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