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문학관

 

1. 개요
2. 상세
3. HD TV 문학관 목록(괄호 안의 숫자는 첫 방영일)

[image]

다시 보기 목록

1. 개요


한국방송공사에서 만들어 오던, 한국의 문학 작품들을 영상화한 옴니버스 드라마 시리즈. 메밀꽃 필 무렵, 소나기, 등신불 같이 한국인이라면 제목만 들어도 아는 수십 년 전의 명작에서부터 2000년대 이후의 작가들의 소설까지 다양한 한국 현대 소설들을 드라마화하였다.

2. 상세


이 프로그램의 뿌리는 1979년부터 1980년까지 방영했던 <문예극장>이라는 프로그램이다. 진행 방식은 <드라마게임>과 비슷하게 진행자가 에피소드 소개를 하는 식이며, 문학평론가 이어령이 진행을 맡았다.
문예극장이 종영한 직후인 1980년 12월 18일에 KBS 2TV에서[1] 김동리의 소설 <을화>를 영상화한 것[2]을 시작으로 TV 문학관은 첫발을 내딛었고, 1987년 10월 3일 <프랑소와즈 김>을 끝으로 종영했다. 이후 1987~1988년까지 <드라마 초대석>, 1991~1992년까지 <TV 문예극장>, 1996~1998년까지는 <신TV문학관>, 1999~2003년까지 <TV문학관>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2005년 이후로는 'HD TV 문학관' 시리즈를 만들고 있는데 각 편마다 퀄리티의 차이가 조금씩 있기는 하지만 화질과 영상미부터 구성, 연출, 작품성이 영화에 필적할 정도로 뛰어나고 연출에서 참신한 시도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시청률은 높지 않아도 새로운 TV 문학관 에피소드가 나올 때마다 챙겨 보고 호응하는 매니아층이 존재하고, 공홈 시청자게시판의 의견들도 거의 대부분 호평들이다. 수출도 빨리 된 작품중 하나인데, 1982년에는 대만(당시 자유중국)에 판매되었으며 83년에는 서독영국에서도 판매되었다. '내가 살았던 집(2005)', '외등(2005)'이 골든체스트상에서. '새야 새야(2005)'가 이탈리아 국제 TV 페스티벌에서 수상하는 등 해외 TV 시상식에서 여러 번 수상하기도 했다. 시리즈의 장기화에 따라 맹만재나 김홍종, 장형일, 한정희, 전세권, 장기오, 주일청, 김충길, 엄기백, 심현우, 이영국, 하강일, 문영남 같은 유명 연출가와 각본가들이 이 드라마를 거쳤다.
다만 이렇게 뛰어난 퀄리티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제작비가 투자되어야 하는데다, 단막극이 점점 사라져가는 지금 추세 때문에 정말 '''가뭄에 콩 나듯이''' 만들어지니 안습. HD TV 문학관 시리즈의 경우에는 원래 10년 동안 100편 제작이 목표였는데, 6년이 지난 2011년 현재 20편밖에 만들어지지 못했다. 2009년 12월 30일 이문열사람의 아들을 방영한 이래 1년이 넘도록 새로운 TV 문학관 에피소드가 제작되지 않고 있다가, 2011년 12월 7~9일 총 3일에 걸쳐 3편을 연속 방송하였다. 그 이후로는 제작이 무기한 중단된 상황.(문학 선생님들이 안타까워하시겠네...)
2년만인 2011년에는 광염소나타, 사랑 손님과 어머니, 엄지네 등 세 편의 TV 문학관이 제작되었다. 광염소나타는 어설픈 CG, 산만한 각색, 주연들의 부족한 연기력 등 이전의 HD TV 문학관 작품들보다 한참 떨어지는 퀄리티로 시청자들을 실망시켰다. 반면 사랑 손님과 어머니, 엄지네는 그럭저럭 준수한 퀄리티로 시청자들로부터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0년 8월 2일부터 KTV에서 줄기차게 방송됐으며, 2019년 7월 26일부터 2020년 8월 4일까지 KBS아카이브가 공식 유튜브 채널 '옛날티비'를 통해 평일 밤 10시마다 무료공개했다. 당시 드라마는 보통 보존 상태가 안 좋지만[3] TV문학관은 타 드라마 작품과 별개로 취급되어서 일부 영상들을 제외하면 보존 상태가 좋은데, 이는 장기보존을 위해 필름으로 제작하였기 때문이다.[4] 이 시대 드라마들이 테이프 돌려쓰기로 남아있지 않아 필름 촬영도 병행한 점은 당시 방송의 한계이기도 했지만... 2020년 8월 5일부터 전작인 <문예극장>을 업로드하기 시작했다.

3. HD TV 문학관 목록(괄호 안의 숫자는 첫 방영일)


  • 소나기(2005.5.8) - 황순원 원작
  • 내가 살았던 집(2005.5.15) -은희경 원작
  • 역마(2005.5.22) - 김동리 원작
  • 메밀꽃 필 무렵(2005.5.25) - 이효석 원작 #
  • 외등(2005.5.29) - 박범신 원작
  • 누가 커트 코베인을 죽였는가(2005.12.22) - 김경욱 원작
  • 서러워라 잊혀진다는 것은(2005.12.23) - 김탁환 원작
  • 새야 새야(2005.12.24) - 신경숙 원작
  • 깃발(2006.3.4) - 하성란 원작
  • 노래여! 마지막 노래여!(2006.3.5) - 유익서 원작
  • 등신불(2006.10.6) - 김동리 원작
  • 나쁜 소설(2006.10.7) - 이기호 원작
  • 달의 제단(2006.10.8) - 심윤경 원작
  • 카스테라[5](2007.3.2) - 박민규 원작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6](2007.3.3) - 조세희 원작
  • 랍스터를 먹는 시간[7](2007.3.4) - 방현석 원작
  • 봄, 봄봄(2008.3.3) - 김유정의 원작 봄봄의 배경을 현대의 제주도로 바꾸어 각색한 작품.
  • 나의 피투성이 연인[8](2008.3.4) - 정미경 원작
  • 언니의 폐경(2009.3.1) - 김훈 원작
  • 사람의 아들(2009.12.30) - 이문열 원작
  • 광염소나타(2011.12.7) - 김동인 원작
  • 사랑 손님과 어머니(2011.12.7) - 주요섭 원작
  • 엄지네(2011.12.7) - 이덕재 원작
이외의 작품은 한국어 위키백과의 해당 문서를 참조. ###

[1] 1981년 2월 14일에 방송된 <삼포 가는 길>부터 KBS 1TV로 변경. KBS 아카이브 공식채널에서도 올려줬으나, 어째서인지 미공개 처리되었다.[2] 제작은 컬러였으나, 정작 2TV의 컬러방송은 22일부터 시작되었다(...). 실질적인 컬러 작품 1호는 25일날 방송된 <신부들>.[3]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초중반까지 드라마를 첫회, 마지막회만 보관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테이프를 수집하는 것밖에 답이 없다.[4] 지금은 흔한 외부 제작도 여기서 처음으로 했다.[5] 단편집 <카스테라>의 작품 중 〈그렇습니까, 기린입니다〉와 〈고마워, 과연 너구리야〉를 재구성하였다.[6] 단편집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 내의 단편 〈뫼비우스의 띠〉, 〈칼날〉,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재구성하였다.[7] 방현석 작가의 〈랍스터를 먹는 시간〉과 김미라 작가의 〈터널을 벗어나며〉를 두 개의 옴니버스 드라마로 재구성하였다.[8] 정미경 작가의 단편 〈나의 보랏빛 사진〉, 〈밤이여 나뉘어라〉, 〈나의 피투성이 연인〉을 세 개의 옴니버스 드라마로 재구성하였다. 참고로 <밤이여 나뉘어라>는 2006년 제 30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