仁
[clearfix]
1. 개요
'''어질 인(仁).''' '어질다, 자애롭다, 인자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선 U+4EC1, 한자검정시험에선 4급에 배정되어 있다.
亻(사람 인)과 二(두 이)가 합쳐진 한자이다. 자원이 상당히 불명확한 한자로, 일단 갑골문에서는 이 글자를 찾아볼 수 없고(仁 자로 추정되는 자가 있다고는 하는데 불명확하다), 현재 자형(즉 亻+二)이 등장하는 것은 진(秦)나라 때부터이다. 그전까지는 𡰥(尸+二), 身 밑에 心, 忎, 人 밑에 心 등의 형태로 쓰였다. 현재도 仁 자의 구성 요소가 어디서 유래한 것인지는 의견이 분분하며, 회의자인지 형성자인지도 정확히 알 수 없다.
공자가 주장한 유교의 도덕 이념 또는 정치 이념에서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중 하나이다.
잘 쓰이진 않지만 '과일의 씨'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대표적으로 인과 행인두부가 있다.
어질다는 것은 측은지심으로, 우물에 빠진 아이를 보고 불쌍한 마음이 듣는 것을 뜻한다고 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 관과지인 (觀過知仁)
- 살신성인 (殺身成仁)
- 송양지인 (宋襄之仁)
- 인의예지 (仁義禮智)
- 인의예지신 (仁義禮智信)
- 인자무적 (仁者無敵)
3.3. 인명
- 김인직(金仁直)
- 김종인(金鍾仁)
- 나바타메 히토미(生天目 仁美)
- 이아인(李妸仁)
- 오오와다 히토미(大和田 仁美)
- 인조(仁祖)
- 인종#s-2(仁宗)
- 장효인(張孝仁)
- 전인범(全仁釩)
- 정극인(丁克仁)
- 정예인(鄭叡仁)
- 혼다 히토미(本田 仁美)
- 런쥔(黄仁俊)
- 원인철(元仁哲)
- 황보인(皇甫仁)
- 이인영(李仁榮)
- 일본/황실: 남성 황족의 이름 끝에 '仁(ひと)'이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