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섬

 

1. 개요
2. 실상
4. 진짜 인가?
5. 또 하나의 섬


1. 개요


[image]
김포시의 거의 전부[1]인천광역시 서구 검단 지역과 검암경서동 일부 및 계양구 계양1동 일부,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일부로 이루어진 . 한강, 아라천, 강화 해협에 둘러싸인 섬이다. 면적은 355㎢이다. 김포도(島), 검단섬, 검단도(島)라고도 한다. 인구는 약 64만 명.
경기 김포지역 ‘섬’ 됐다…교량 없이 접근 불가능

2. 실상


경인 아라뱃길이 개설된 이후부터 사방이 로 둘러싸여서 이 된 '''김포시(정확히는 김포반도)를 장난삼아 부르는 별명이다.''' 하지만, 김포시를 빠져나오려면 무조건 교량[2]을 통과해야 된다. 덕분에 도보나 자전거를 통해 김포를 빠져나가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3. 행정구역 개편 떡밥


김포섬 중 인천광역시 관할 중 일부[3]는 원래는 김포군의 군역이었던 곳으로, 김포시는 이 지역의 반환을 요청하고 있다.[4] 인천광역시는 당연히 반발하면서 오히려 "'''김포 너희가 인천으로 와라. 그럼 검단 줄게'''" '''"인천광역시 김포구 검단동"'''라며 김포시 편입에 대한 의향을 보였다.
주민들의 반응은 제각각이다. 애초에 김포가 일부는 김포로 남고 일부는 인천으로 편입된 것도 예전에 남쪽과 북쪽 주민들의 의견이 갈렸기 때문에 결국 인천 편입 찬성이 많은 남쪽은 실제로 인천에 편입되었고, 반대가 많은 북쪽은 그대로 남아서 지금처럼 분리가 된 것. 인천의 주장에 대해 김포시 '''주민'''들이 발벗고 나서서 "'''그건 절대 안돼'''"를 외치는 상황. 한강신도시는 한 술 더 떠서 '''인천에 먹히기 전에 빨리 고양시랑 통합하자'''는 주장까지 내놓았다. 시청이 말 한 번 잘못 꺼냈다가 주민 감정만 버린 셈. 상황이 이렇다보니 '''김포에서는 편입의 '편'자만 꺼내도 난리가 난다.'''
게다가 김포시 측 주장에는 큰 모순이 하나 있는데, 김포시의 주장대로라면 운하 이북은 김포, 이남은 인천서울이 되어야겠지만, 정작 김포시청은 김포시 관할지역 중 김포섬에 속하지 않은 아라뱃길 김포물류터미널을 서울시에 넘기는 것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행정구역 개편/수도권을 참고.

4. 진짜 인가?


원래 육지였으나 인공적으로 건설된 운하에 의해 분리된 지역은 일반적으로 섬이라 부르지 않는다. 이러한 경향은 전세계적으로 마찬가지인데, 대표적으로 그리스펠로폰네소스 반도, 덴마크독일유틀란트 반도 등의 사례가 있다. 펠로폰네소스 반도는 19세기 말에 폭 24m, 길이 6,343m의 코린토스 운하가 개통되어 본토와 떨어진 섬(?)이 되었다. 그렇다고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펠로폰네소스 섬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유틀란트 반도 역시 마찬가지. 또 미국의 델마바 반도도 운하에 의해 델라웨어 주 북부와 남부가 운하로 갈라져 섬이 되었는데 그런다고 델마바 반도를 델마바 섬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미국의 매사추세츠 주 코드곶도 운하에 의해 반스테이블 카운티의 몇개 마을만 운하 북쪽에 남고 섬이 되었으나 섬으로 불리지 않는다.
한편 강이 하구에서 갈라지는 곳은 섬으로 부르기도 하고 않기도 한다. 부산 강서구의 경우 대저쪽을 원래는 섬으로 칭하였지만 지금은 섬끼리 이어져 강서구의 가락동, 녹산동, 가덕도를 제외한 본토(낙동강 삼각주)를 으로 부르지 않는다. 그러나 강 사이의 땅이 강폭에 비해 크더라도 섬으로 인정하는 경우도 있다. 애초에 섬이라는 개념은 정서적인 단절감이 중요하다.
하지만 경인 아라뱃길도 아니고 아라'''천'''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그리고 연륙교가 17개나 되기 때문에 김포를 섬으로 보는 것은 조금 무리가 있다. 행정상으로도 김포는 아라뱃길 공사 전과 마찬가지로 구 김포군 지역은 육지, 구 통진도호부 지역은 반도로 표시되어 있다.
전라남도에는 비슷하게 수로에 의해 섬이 된 곳이 2개 존재한다. 김포섬의 원조격인데, 삼호읍에서 영산호와 영암호를 잇는 수로가 생기면서 삼호읍의 주된 시가지가 섬이 되었다. 그마저도 다리는 영산강하구둑-세한대학교(당시 대불대학교)-독천을 잇는 2번 국도, 영암만을 매립한 영암방조제와 몇몇 농수로 다리만 있었을 뿐이었으나, 현대중공업이 삼호읍에도 입주를 한 이후로 중소기업체가 들어오고 인구수가 꽤 늘어나면서 목포신항 쪽에 다리가 하나 더 생겼다. 게다가 사실상 목포가 생활권인 문제로 삼호읍의 목포 편입이 논의중인 점, 삼호읍이 목포에 편입이 될 경우 섬만 편입이 될 가능성이 높은 점이 김포섬과 유사하다.
또한 해남군 산이면도 금호호와 영암호를 잇는 수로가 생기면서 상공리를 중심으로 한 면의 서반부 대부분(원래부터 섬인 금호도 제외)가 하나의 섬이 되었으나 보통 섬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포항시 남구 송도동의 경우 동빈내항에서 막힌 물길이 형산강까지 뚫려 포항운하가 개통되자, 사실상 섬으로 변하게 되었다. 그러나 위 지역들과는 달리 송도동 일대는 원래부터 바닷물이 유입된 내항이었다는 차이가 있다.[5] 애당초 송도동(松島洞) 자체가 원래 섬(島)이었던 걸 생각하면 본래의 형태로 되돌아간 것이라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 물론 아무리 운하로 나뉘었다한들 김포를 섬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것처럼 송도동을 섬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다만 운하로 인해 육지로부터 분리되었으나 섬으로 불리는 안면도처럼 일부 예외가 존재한다.
사실 김포섬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인공수로에 의해 생긴 섬의 진짜 최종보스가 있는데, 바로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이르는 경남 중부(남강~낙동강 이남) 지역'''이다. 남강댐으로 인해 생긴 진양호에서 가화천(가화강)을 확장한 수로를 통해 남해(사천만)로 진양호의 물을 일부 방류하고 있기 때문. 남강이 낙동강의 지류이므로, 생각해 보면 여기서부터 부산의 낙동강하구둑까지 경남 중부 전역이 하나의 거대한 섬이 되는 셈이다. 이런 논리대로라면 '''진주시 남부(혁신도시 영역 포함)'''+사천시+고성군+함안군+'''창원시(인구 110만)'''+'''김해시(장유신도시 포함)'''+통영시(일부)가 전부 섬 인구로 계산되어 김포섬은 물론 제주도를 아득하게 뛰어넘게 된다(...). 그러나 가화천이 지나는 진주시 내동면은 논이긴 하지만 연담되어 있고 해당 지역에 사는 주민들은 시내에 의존하고 있어서 검단땅을 놓고 영토 싸움(...)을 하는 김포섬의 상황과는 다르다.
치바현도 에도시대의 토네강 동천사업에 의해 섬이 됐다.
또한 서유럽+남유럽+일부 중부유럽도 인공수로로 생긴 섬이다. 북해흑해를 잇는 라인-마인-다뉴브 운하가 존재하기 때문.
그리고 미시시피 강오대호를 이어주는 일리노이 수로가 존재하기 때문에 미시시피 강 동쪽에 있는 미국 '''26개 주'''와 세인트로렌스 강 남부의 캐나다 일부분도 하나의 거대한 섬을 이루고 있다.
[image]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건너기 문제로 잘 알려진 러시아칼리닌그라드[6] 북부 시가지와 그 일대도 섬으로 되어있다. 다만 여기는 인공수로가 아니다.

5. 또 하나의 섬


아라뱃길 사업 덕분에 한강 본류 방향 경인아라뱃길과 함께 굴포천과 아라뱃길을 잇는 연결수로가 생기면서[7] 굴포천, 경인 아라뱃길, 굴포-아라 연결수로에 둘러싸인 약 1.5㎢ 넓이의 지역이 또 하나의 이 되었다. 이 섬은 김포시 고촌읍 전호리 일부, 신곡리 극히 일부, 계양구 평동 서반부, 계양구 하야동 극히 일부, 상야동 중부, 노오지동 극히 일부, 귤현동 극히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섬의 2/3은 계양구 상야동에 속하며 이빨을 닮은 것 같이 생겼다. 상야섬 문서 참고.
[1] 김포터미널 서반부 제외.[2] 신강화대교, 강화초지대교, 청운교, 경인아라교, 백석대교, 시천교, 목상교, 다남교, 계양대교, 귤현대교, 벌말교, 백운교, 김포아라대교, 하나교, 전호대교, 김포대교, 일산대교로 총 17개의 연륙교가 있다.[3] 검단, 계양1~3동[4] 그러나 검단은 몰라도 계양은 옛날부터 부평도호부 관할이었고, 1973년 부천군 해체로 인해 할 수 없이 김포군으로 이관시킨 것이기 때문에(이때 오정면도 김포군으로 이관되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부천시로 넘어갔다), 김포가 계양을 '''돌려'''받아야겠다는 주장은 어폐가 있다. 역사성으로는 지금의 행정구역이 더 적합하기 때문. 생활권을 기준으로 하면 아라뱃길 이북 계양 지역중 일부만이 김포로 가는게 적합하다. [5] 내항 바로 옆에 포항의 대표적인 수산시장인 죽도시장이 있다.[6] 원래는 독일의 영토였고 이름도 쾨니히스베르크였으나 독소전쟁으로 인해 러시아땅이 되었다.[7] 경인아라뱃길의 처음 목적이 굴포천 물을 서해로 돌리기 위한 굴포천 방수로 사업을 확대한 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