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품석
金品釋
? ~ 642
신라 시대의 인물로, 금관국 왕족 출신의 진골 귀족. 김춘추의 사위였다.
백제와 신라를 잇는 요충지에 있는 대야성[1] 의 도독으로 부임했는데, 그놈의 색욕 때문에 부하 검일의 부인을 빼앗아 원한을 샀다. [2] 부하의 마누라를 건드리다가 털린 것이 마치 삼국지의 인물인 여포의 행적과 비슷하다. 642년에 백제의 장군 윤충이 대야성에 쳐들어와서 김품석은 수성을 준비했는데 검일이 창고에 불을 지르고 백제군에 항복해버렸고, 신라군의 사기가 크게 떨어졌고 결국 대야성은 함락당하고 김품석은 아내 고타소를 죽이고 자살했다. 김춘추와 김법민(문무왕)은 고타소의 죽음에 대해 백제에 깊은 원한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3] 시신은 나중에 김유신이 붙잡은 8명의 백제 장수와 교환해서 수습했다.
백제에 투항한 모척과 검일은 백제에서 머물다가 훗날 백제가 멸망하고 사비성이 함락될 때 붙잡혀 처형당했고, 문무왕은 붙잡은 백제 왕자 부여융의 얼굴에 침을 뱉으며 대야성의 원수를 갚았음을 천명했다.[4]
가히 한국사 최악의 낙하산 인사라고 부를만한 인물. 요충지인 대야성을 담당한 장수의 임무를 내팽겨치고 색욕에 미쳐 부하들 부인들을 욕보이는 행위로 본인 목숨과 부인 고타소를 죽음에 이르게하고 요충지 대야성을 잃어버려 신라를 위기에 몰아넣은 일로 삼국사기나 여러 역사서에서도 평가가 매우 안 좋다. 예나 지금이나 오히려 부인을 빼앗긴 복수심에 신라를 배신한 모척과 검일을 두둔하는 의견이 대세다. 한국처럼 유교적 전통인 애국심을 강조하는 나라에서도 매국노들을 두둔해줄 정도로 그 원인제공을 한 김품석이 쓰레기라는것.[5] 특히 백제군이 쳐들오자 천혜의 요새 대야성과 5천의 병력이 있음에도[6] 윤충의 회유에 넘어가 제대로 싸우지도 않고 바로 항복하여 목숨을 구걸하는 그의 최후가 끝까지 싸우다가 전사한 죽죽과 비교된다.
김품석 사후 김춘추가 직접 고구려, 왜국, 당나라를 왔다갔다하며 감옥에 갇히거나 죽을 고비를 넘기는 등 몸을 사리지 않는 활동을 한 것도 김품석의 수치스러운 전사에 정치적 타격을 입고 이를 직접 수습하기 위해서라는 해석이 있다. 김품석은 당연히 장인 김춘추 계파의 직계 핵심 인물이었을테니 신라 정계에서 김춘추에게도 상당한 책임을 입혔다고 유추할 수 있다. 신라 정계는 김춘추가 즉위하기 전까지는 비담, 알천으로 대표되는 귀족 견제세력이 존재했고 이들 계파와 경쟁하는 구도였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사실 고타소는 문무왕의 여동생이라서 참변을 당했을 당시 10대[7] 였을 가능성이 높은데, 정황상 김품석 역시 젊은 나이에 죽었을 가능성이 높다. 어찌 보면 인맥빨로 대야성 같은 요충지에 들어온 철부지 젊은이가 막장스럽게 행동하다가 나라를 멸망 위기에 빠트리는 초대형 사고를 친 셈.
? ~ 642
1. 소개
신라 시대의 인물로, 금관국 왕족 출신의 진골 귀족. 김춘추의 사위였다.
2. 생애
백제와 신라를 잇는 요충지에 있는 대야성[1] 의 도독으로 부임했는데, 그놈의 색욕 때문에 부하 검일의 부인을 빼앗아 원한을 샀다. [2] 부하의 마누라를 건드리다가 털린 것이 마치 삼국지의 인물인 여포의 행적과 비슷하다. 642년에 백제의 장군 윤충이 대야성에 쳐들어와서 김품석은 수성을 준비했는데 검일이 창고에 불을 지르고 백제군에 항복해버렸고, 신라군의 사기가 크게 떨어졌고 결국 대야성은 함락당하고 김품석은 아내 고타소를 죽이고 자살했다. 김춘추와 김법민(문무왕)은 고타소의 죽음에 대해 백제에 깊은 원한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3] 시신은 나중에 김유신이 붙잡은 8명의 백제 장수와 교환해서 수습했다.
백제에 투항한 모척과 검일은 백제에서 머물다가 훗날 백제가 멸망하고 사비성이 함락될 때 붙잡혀 처형당했고, 문무왕은 붙잡은 백제 왕자 부여융의 얼굴에 침을 뱉으며 대야성의 원수를 갚았음을 천명했다.[4]
3. 평가
가히 한국사 최악의 낙하산 인사라고 부를만한 인물. 요충지인 대야성을 담당한 장수의 임무를 내팽겨치고 색욕에 미쳐 부하들 부인들을 욕보이는 행위로 본인 목숨과 부인 고타소를 죽음에 이르게하고 요충지 대야성을 잃어버려 신라를 위기에 몰아넣은 일로 삼국사기나 여러 역사서에서도 평가가 매우 안 좋다. 예나 지금이나 오히려 부인을 빼앗긴 복수심에 신라를 배신한 모척과 검일을 두둔하는 의견이 대세다. 한국처럼 유교적 전통인 애국심을 강조하는 나라에서도 매국노들을 두둔해줄 정도로 그 원인제공을 한 김품석이 쓰레기라는것.[5] 특히 백제군이 쳐들오자 천혜의 요새 대야성과 5천의 병력이 있음에도[6] 윤충의 회유에 넘어가 제대로 싸우지도 않고 바로 항복하여 목숨을 구걸하는 그의 최후가 끝까지 싸우다가 전사한 죽죽과 비교된다.
김품석 사후 김춘추가 직접 고구려, 왜국, 당나라를 왔다갔다하며 감옥에 갇히거나 죽을 고비를 넘기는 등 몸을 사리지 않는 활동을 한 것도 김품석의 수치스러운 전사에 정치적 타격을 입고 이를 직접 수습하기 위해서라는 해석이 있다. 김품석은 당연히 장인 김춘추 계파의 직계 핵심 인물이었을테니 신라 정계에서 김춘추에게도 상당한 책임을 입혔다고 유추할 수 있다. 신라 정계는 김춘추가 즉위하기 전까지는 비담, 알천으로 대표되는 귀족 견제세력이 존재했고 이들 계파와 경쟁하는 구도였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사실 고타소는 문무왕의 여동생이라서 참변을 당했을 당시 10대[7] 였을 가능성이 높은데, 정황상 김품석 역시 젊은 나이에 죽었을 가능성이 높다. 어찌 보면 인맥빨로 대야성 같은 요충지에 들어온 철부지 젊은이가 막장스럽게 행동하다가 나라를 멸망 위기에 빠트리는 초대형 사고를 친 셈.
4. 대중매체에서
- 2006년작 SBS 드라마 연개소문에서는 악역 포지션으로 등장하며 부인 김고타소는 당당한 여걸로 등장. 사실 원래 역사대로면 김품석은 악역이 되는게 맞으니 이게 맞다. 김춘추는 사위인 김품석을 출세시키기 위해 대야성의 성주로 보냈으나 김품석은 성주로서의 권력을 남용하다가 결국 장군들과 부장들의 아내들을 술자리에 불러 희롱하거나 잠자리까지 한다. 결국 자신의 수하인 검일의 아내를 희롱하며 술자리까지 불러냈는데 검일은 이를 참지 못하고 백제군 윤충 부대에 협력해 대야성의 식량 창고와 무기고에 불을 지르고 백제군에게 성문을 열어 주었다. 극 중에서는 김품석이 뛰어난 인물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선덕여왕의 중재로 김춘추의 딸 김고타소와 혼인하였기에 아무리 못난 사위라도 앞길을 열어주기 위해 억지로 대야성이라는 중요한 관문의 성주로 보낸 것이 김춘추의 오판이었다. 결국 김고타소와 함께 윤충에게 목이 잘리고 목이 잘린 몸만 신라로 보내져서 김춘추가 딸과 사위의 복수에 이를 갈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 2011년작 MBC 드라마 계백에서는 배우 지일주가 연기하였다. 윤충이 조기 퇴장하고 의자왕이 친정해 김품석과 김고타소를 직접 참한 뒤에 그들의 시신을 감옥 아래 묻어 죄인들이 밟고 지나가게 하는 것으로 나온다. 성왕의 목을 계단 밑에 묻었다는 기록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는데 정말 그랬을 가능성은 없다.
[1] 지금의 경상남도 합천군[2] 물론 당시 신라 시대상 부인 이외의 여자들과 성관계를 한다고 문제가 될 가능성은 적다. 다만 그 여자들이 자기 부하들 부인들이라는게 문제지(...).[3] 무열왕은 이 소식을 듣고 하루종일 정신나간 사람처럼 기둥에 선 채로 있었으며 앞에 뭔가 지나가도 알아채지 못했다고 한다.[4] “예전에 너의 아비가 억울하게 나의 누이를 죽여 옥중에 파묻었던 일이 나로 하여금 20년 동안 마음이 고통스럽고 머리가 아프도록 하였더니, 오늘에야 너의 목숨이 내 손 안에 있게 되었구나."[5] 애초에 매국노든 배신자든 개인적 사익을 위해 배신한 경우에는 어느 시대건 욕먹는 대상이지만 오자서, 틀락스칼텍 등 명백히 배신할 수 밖에 없던 이유가 있다면 평가가 엇갈리거나 옹호받을 수 있다. 후대 사람의 눈에는 몰라도 당시에 그 당사자들은 그런 선택을 강요받고 있었기 때문이다.[6] 대야성 정도의 성에 5천 병사면 이전에 있었던 신라의 백제 방어전을 볼 때 백제군을 막고도 남았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찬덕 같이 더 작은 성에 적은 병사로도 백제의 대군을 막은 예도 있다.[7] 문무왕은 626년생이고, 삼국사기에서 문무왕이 부여융에게 침을 뱉으며 모욕을 줄 때 고타소를 분명히 '나의 여동생(我妹)'이라고 칭하고 있다. 즉 고타소는 아무리 나이를 많이 잡아도 16세를 넘기지 못한 셈인데, 아예 시집간 직후 참변을 당했을 수도 있다.[8] 내정자의 사위라서 요직에 앉은 낙하산 인사, 아내를 빼앗긴 것에 대한 복수라는 막장 스토리이다. 신라의 폐쇄적인 신분제인 골품제의 폐단, 부족한 리더십의 결과, 일방적으로 강요되는 애국심에 대한 회의 역시 다룰 수 있는 매력적인 스토리이다. 대중매체에서 부정적으로 다루어지는 경우가 적은 김춘추의 핵폭탄급 실책이기에 기존의 인물상을 비틀어 버리는 소재이기도 하며 태종 무열왕과 문무왕의 인생에서도 중요한 사건이기 때문에 크게 다루어진다.[9] 그도 그럴 것이 김품석은 김춘추의 사위였던만큼 김춘추 계열의 인재였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 사람을 역사대로 표현하면 주인공인 김춘추의 역대급 실책이 되어버린다.